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쉽게 읽는 고문진보 : 시

쉽게 읽는 고문진보 : 시

황견 (엮은이), 송병렬 (감수), 조재도
문학과지성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쉽게 읽는 고문진보 : 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쉽게 읽는 고문진보 : 시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88932044712
· 쪽수 : 171쪽
· 출판일 : 2025-11-05

책 소개

중국 송나라 황견의 고전을 시인 조재도가 오늘의 언어로 풀어낸 책이다. 한문투를 걷어내고 에세이처럼 읽을 수 있게 한 새로운 고문 입문서로, 수천 년을 이어온 명문 속 인간과 세상의 이치를 현대의 감성으로 되살린다.

목차

머리말_ 고문을 에세이처럼 읽게

권학문勸學文 | 주희
서늘한 밤에(청야음淸夜吟) | 소옹
사계절(사시四時) | 도연명
강에 눈 내리고(강설江雪) | 유종원
도사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방도자불우訪道者不遇) | 가도
누에 치는 아낙(잠부蠶婦) | 작자 미상
농부를 불쌍히 여기다(민농憫農) | 이신
왕소군王昭君 | 이백
일곱 걸음의 시(칠보시七步詩) | 조식
길 떠나는 아들의 노래(유자음遊子吟) | 맹교
자야오가子夜吳歌―추가秋歌 | 이백
벗과 함께 묵다(우인회숙友人會宿) | 이백
전원에 돌아와 살다(귀전원거歸田園居―세번째 시)|도연명
왕우군王右軍 | 이백
술 마시며 하지장을 그리워하다(대주억하감對酒憶賀監) | 이백
음주飮酒―다섯번째 시 | 도연명
고시古詩 | 작자 미상
달빛 아래 홀로 술을 마시며(월하독작月下獨酌) | 이백
잡시雜詩―첫번째 시 | 도연명
자식을 꾸짖다(책자責子) | 도연명
고시古詩 | 작자 미상
꿈에 이백을 보다(몽이백이수夢李白二首) | 두보
석호촌 관리(석호리石壕吏) | 두보
산속에서 속인에게 답하다(산중답속인山中答俗人) | 이백
산에서 대작하다(산중대작山中對酌) | 이백
금릉의 봉황대에 올라(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 | 이백
술잔을 들고 달에게 묻다(파주문월把酒問月) | 이백
소년행少年行 | 왕유
강가에서 슬퍼하다(애강두哀江頭) | 두보
우미인초虞美人草 | 증공
봄에 생각하다(유소사有所思) | 송지문
봄날 계수나무의 문답(춘계문답春桂問答) | 왕유
술을 권하다(장진주將進酒) | 이백
술을 권하다(장진주將進酒) | 이하
태항산 오르는 길(태항로太行路) | 백낙천
대풍가大風歌 | 유방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 두보
장한가長恨歌 | 백낙천
가난한 사귐(빈교행貧交行) | 두보
비파의 노래(비파행琵琶行) | 백낙천

발문_ 조재도의 『쉽게 읽는 고문진보』를 읽고 | 송병렬

저자소개

황견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문진보>의 편자로 알려진 사람. 명나라 때 한 중각판의 발문에 이름이 나오나, 정확하지 않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고문진보>의 편자를 황견으로 보고 있고, 조선에서는 원나라 때의 사람 진력(陳轢 : 1252~1334)이라는 설도 있다.
펼치기
조재도 ()    정보 더보기
시인이자 아동·청소년문학 작가이다. 천안 태조산 아래에서 밥 먹고 책 읽고 글(시) 쓰고 산에 다니는 단순한 생활을 하고 있다. 부여에서 태어나 청양에서 자랐다. 공주사대를 졸업한 후 국어교사가 되어 충남의 여러 학교에서 학생들과 글쓰기 교육을 열심히 했다. 1985년 『민중교육』지로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그 일로 전두환 군사정권의 용공조작 사건에 휘말려 필화를 겪었고, 1989년 전교조 결성으로 다시 해임되었다. 1988년 첫시집 『교사일기』 발간 이후, 시집, 청소년 소설, 산문집, 동화, 그림책 등 60여 권을 출간했으며, 시 「자물쇠가 철컥 열리는 순간」과  「큰 나무」가 2025년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기도 하다. 그동안 나는 나를 여러 실험 대상으로 여기며 살았다. 자기 탐구라 할 수 있겠다. 먹는 음식도 생각이나 감정도 살폈다. 그러면서 내 안에서 울려 나오는 ‘외침’에 따라 살고자 했다. 그 외침이 이번에는 삶의 지평을 한 단계 더 밀어 올리길 요청했고, 그리하여 5년제 인생대학에 다녔으며, 따라서 이 책은 그렇게 공부(수행)하고 실천한 일에 대한 보고서이다. 비록 ‘소수’일지라도 자기 삶을 살고자 하는 이들이 이 책을 읽어, 가슴에 불이 화르릉 지펴졌으면 좋겠다.
펼치기
송병렬 (감수)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어머니 손에 들린 실로
길 떠나는 아들 옷을 짓는다.

떠날 때 되어 더욱 촘촘히 꿰맴은
돌아옴이 늦을까 걱정하시기 때문.

짧은 풀 같은 자식의 마음으로
석 달 봄 같은 어머니 사랑에 보답하기 어렵다.

<해설과 감상>
자애로운 어머니가 길 떠나는 아들을 위해 실로 옷을 짓는다. 옷을 더욱 촘촘히 꿰매는 것은 아들이 늦게 돌아올까 봐 걱정하기 때문이다. 그런 어머니의 한없는 사랑은 봄철 내내 비추는 햇볕 같은데, 자신은 이제 막 돋아난 짧은 풀과 같다. 한 치 풀 같은 아들의 마음으로 어떻게 석 달 봄 같은 어머니의 은혜를 갚을 수 있을까,
(맹교, 「길 떠나는 아들의 노래(유자음遊子吟)」)


기쁜 일 있으면 마땅히 즐기고
말술이 생기면 이웃을 불러 모음다.

인생에 젊은 시절은 다시 오지 않고
하루에 새벽은 두 번 오기 어렵다.

제때에 마땅히 힘써 노력하기를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해설과 감상>
인생에 젊은 시절은 두 번 오지 않고, 하루에도 새벽은 두 번 오지 않는다. 세월은 덧없이 흐를 뿐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으니, 좋은 때를 만나면 헛되이 보내지 말고 자기가 해야 할 일을 열심히 해야 한다.
(도연명, 「잡시雜詩―첫번째 시」)


〔……〕
세상살이 어렵구나, 진짜 어렵구나.
사람으로 태어나려거든 절대
여자로는 태어나지 마라.
백 년 고락이 남의 손에 달렸으니.

살기가 어렵구나. 산보다 어렵고 물보다 험하구나.
인간 세상 부부만 그런 게 아니라
임금과 신하 또한 그렇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왼쪽의 납언과 오른쪽의 납사 같은 신하가
아침에 은총을 받다 저녁에 죽는 것을.

세상살이 어려움은
산 때문도 물 때문도 아니고
오직 사람의 변덕스러움 때문이다.

<해설과 감상>
이 시의 화자는 중년 여성이다. 백낙천은 중년 여성의 입을 빌려 여성으로서 겪는 인생살이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겉으로 드러난 의미일 뿐, 진짜 속뜻은 세상의 군주 된 자를 반성시키려는 데 있다. 〔……〕 임금의 왼쪽에서 그 말을 기록하던 납언이라는 벼슬, 오른쪽에서 정치적인 일을 기록하던 납사라는 벼슬을 하며 총애를 한 몸에 받던 사람도 저녁에 죽임을 당하는 것은 실로 반복무상한 인정에 있다. 그러니 세상 살기의 어려움은 산 때문도 물 때문도 아니고, 사람의 변덕스러운 감정 때문인 것이다.
(백낙천, 「태항산 오르는 길(태항로太行路)」)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