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88932117638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1-05-02
책 소개
목차
편집자 서문 9
책머리에 11
머리말 - ‘조선 순교자록’을 새롭게 펴내면서 5
들어가며 - 한국 천주교의 유래 ― 초대 주교와 전교 신부 15
1 기해박해 순교자
제1장 박해의 시조 ― 이 베드로 43
제2장 묘의 박해령 54
제3장 정 프로타시오 57
제4장 이 아가타 외 순교자 8위 60
이 아가타, 박 안나, 김 막달레나, 한 바르바라, 김 아가타,
권 베드로, 남 다미아노, 이 아우구스티노, 박 루치아
제5장 장 요셉, 이 바르바라, 김 바르바라 79
제6장 김 로사 외 순교자 7위 84
김 로사, 이 막달레나, 이 데레사, 김 마르타, 김 루치아,
이 요한, 김 안나, 원 마리아
제7장 김 루치아 97
제8장 이 바르바라 외 순교자 5위 100
이 바르바라, 권 바르바라, 이 마리아, 박 마리아,
김 아녜스, 박 요한
제9장 최 프란치스코 107
제10장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118
제11장 정 바오로와 유 아우구스티노 143
제12장 허 막달레나 외 순교자 8위 157
허 막달레나, 박 막달레나, 전 아가타, 홍 페르페투아,
김 골롬바, 김 율리에타, 조 가롤로,
남 세바스티아노, 김 이냐시오
제13장 이 가타리나와 조 막달레나 178
제14장 유 베드로 181
제15장 유 체칠리아 185
제16장 1839년 11월 23일의 윤음 188
제17장 최 베드로 외 순교자 6위 193
최 베드로, 현 베네딕타, 이 막달레나, 한 막달레나,
정 엘리사벳, 조 바르바라, 고 바르바라
제18장 이 아가타, 김 데레사 207
제19장 정 안드레아, 민 스테파노 210
제20장 이 마리아 외 순교자 9위 214
이 마리아, 손 막달레나, 권 아가타, 이 아가타, 홍 베드로,
박 아우구스티노, 허 바오로, 최 바르바라, 홍 바오로, 이 요한
제21장 김 안토니오 235
제22장 박해 후 조선 천주교회의 참상 237
2 병오박해 순교자
제23장 김 안드레아 신부 243
제24장 현 가롤로 290
제25장 임 요셉 외 순교자 6위 294
임 요셉, 우 수산나, 김 데레사, 이 아가타, 정 가타리나,
남 베드로, 한 라우렌시오
3 병인박해 순교자
제26장 유 베드로 311
제27장 베르뇌 주교 외 순교 사제 3위 317
베르뇌 주교, 브르트니에르 신부, 볼리외 신부, 도리 신부
제28장 남 요한, 최 베드로, 전 요한 372
제29장 정 마르코, 우 알렉시오 387
제30장 다블뤼 주교 외 순교자 4위 396
다블뤼 주교, 오메트르 신부, 위앵 신부, 황 루카, 장 요셉
제31장 손 토마스 442
제32장 조 베드로 외 순교자 6위 447
조 베드로, 이 베드로, 정 바르톨로메오, 손 베드로, 한 요셉,
정 베드로, 조 요셉
제33장 이 요한 473
시성식 강론 477
<한국의 순교 복자들은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증거했습니다(요한 바오로 2세 교황)>
리뷰
책속에서
한국〔朝鮮〕 천주교회의 기원은 참으로 특이한 사실(史實)이어서 하느님의 지혜로운 인도를 받은 사람의 지혜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 하는 훌륭한 본을 보여 주고 있다. 그것은 베트남〔越南〕이나 일본이나 중국의 교회와 같이 선교사(missionnaire)의 열성으로 창설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들어가며: 한국 천주교의 유래 - 초대 주교와 전교 신부’ 중에서
“나는 허기가 져서 대단히 고생합니다. 왜냐하면 새벽 두 시 반에 일어나 일을 하고 정오나 되어서야 별로 영양가도 없는 음식을 먹게 되니 조선과 같이 춥고 메마른 지방에서는 용이한 일이 아닙니다. 점심을 먹고 잠시 쉰 다음에 학생들에게 신학 강의를 하고 그다음에는 다시 밤까지 고백을 듣습니다.”
- ‘들어가며: 한국 천주교의 유래 - 초대 주교와 전교 신부’ 중 앵베르 신부의 편지
“사교(邪敎)는(우리 성교를 이렇게 불렀던 것입니다.) 부모의 은덕을 배반하는 것이요, 또 정부에서 엄금하고 있거늘 어찌하여 그것을 신봉하느냐?”
“결단코 사교가 아니옵니다. 천주교를 믿고 그 계명을 지키는 사람이면 국왕을 공경하고 부모를 극진히 사랑하며 남을 자기같이 사랑해야 합니다. 누가 이러한 교를 가리켜 부모의 은덕을 배반하는 것이라고 말하겠습니까?”
- ‘제1장 박해의 시조 ― 이 베드로’ 중 이호영의 문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