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의 외교정책

일본의 외교정책

신희석 (지은이)
을유문화사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의 외교정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의 외교정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일본
· ISBN : 9788932450926
· 쪽수 : 494쪽
· 출판일 : 1991-10-01

목차

머리말 = 3
서장 현대 일본의 외교와 상호 의존의 국제 정치
제1절 문제의 소재와 시각 = 13
제2절 전후 외교 정책의 기조 형성 = 14
1. 일본의 대미(對美) 기대와 상호 의존의 발상 = 14
2. 외교 정책의 3대 기조 = 15
제3절 경제 성장과 일본 외교의 변용 = 16
1. 급속한 경제 성장과 자기 이미지의 형성 = 16
2. 대한(對韓) 및 대중(對中) 관계의 개선 = 17
3. 미·일 무역 불균형의 시작 = 18
4. 석유 위기와 상호 의존 외교의 대두 = 19
제4절 경제 대국으로서의 일본 외교의 시련 = 20
제5절 현대 일본 외교의 전망 - 내셔널리즘의 부상 = 25
제1장 일본 외교 정책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
제1절 전전(戰前)의 정책 결정 기구와 외교의 일원화 = 29
1. 서언 = 29
2. 외교 조사회의 설치를 둘러싼 정치 과정 = 31
3. 주요 활동 상황과 여론 = 40
4. 외교 조사회의 폐지 = 43
제2절 노·일 강화 교섭의 국제 정치 역학 = 47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47
2. 노·일 전쟁의 성격과 의의 = 49
3. 노·일 강화 교섭에 대한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개입 = 50
4. 미국의 중개에 의한 노·일 강화 교섭의 타결 = 54
5. 루스벨트의 중개 역할에 대한 평가 = 59
제3절 만몽(滿蒙) 권익을 둘러싼 외교 정책 사학(史學) = 61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61
2. '정치 특사' 이시이 기쿠지로의 방미 = 64
3. 만몽(滿蒙) 권익을 둘러싼 미·일간의 상극 = 67
4. 소위 만몽 조항 해석의 상위(相違) = 69
5. 협정 체결의 필요성과 미·일 관계 = 72
6. 만몽 문제의 애매한 타결과 신 4국 차관단 = 74
제4절 중국 대륙을 둘러싼 미·일간의 항쟁 = 78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78
2. 분석의 시각 - 정책 결정 연구 방법론 = 82
3. 문제 영역의 특질과 선택 동기 = 84
4. 신차관단의 결성과 미·일간의 항쟁 = 86
5. 맺음말 = 107
제2장 일본의 외교 정책 결정 과정과 기구
제1절 외교 정책의 성격과 특징 = 111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111
2. 외교 목표와 과제 = 112
3. 외교 정책의 성격과 특색 = 114
4. 전후 일본 외교의 흐름과 변용 = 119
5. 맺음말 - 일본 외교 정책의 방향과 전망 = 122
제2절 외교 정책 결정 과정론 = 123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123
2. 일본 외교 정책 결정의 역사적 배경 = 125
3. 외교의 기본 과제와 정책 결정 요인 = 130
4. 정책 결정 과정과 기구 = 150
제3절 외교 정책 결정 과정과 자민당 = 161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161
2. 외교 정책 결정 기구의 변용과 자민당 = 163
3. 자민당내의 정책 형성 과정 = 166
4. 자민당의 정책 결정 요인 = 172
5. 맺음말 = 177
제3장 일본의 외교 정책에 비친 여론과 사조
제1절 한·일 국교 정상화를 둘러싼 대중 여론 분석 = 181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181
2. 여론과 외교 정책 결정 = 182
3. 한·일 회담의 타결 과정에 있어서 일본인의 대(對) 한국관 분석 = 186
4. 한·일 회담의 정식 조인과 대중 여론의 태도 분석 = 198
5. 여론과 외교 정책 = 208
제2절 신보수주의 사조와 외교 정책 = 211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211
2. 신보수주의 발상의 요인과 배경 = 215
3. 보수 우경 사조의 전개 = 228
4. 향후 일본의 정책 노선과 우경(右傾) 사조의 전망 = 243
제4장 일본 방위력 증강과 동북아
제1절 군사력과 동북아의 국제 환경 = 249
1. 방위 논쟁의 배경 = 249
2. 방위 전략의 이념적 기조와 전개 = 253
3. 방위력의 증강 요인과 제약 조건 = 262
4. 향후의 안보 노선과 한계 방위 전략 = 267
5. 한반도 유사시의 일본 = 272
제2절 한·미·일 외교 안보 협력의 현상과 전망 = 275
1. 외교 안보 협력의 필요성 = 276
2. 한·미·일 안보 협력의 내용 = 278
3. 안보 협력에 관한 태도와 입장 = 279
4. 안보 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 281
제3절 향후 일본의 안보 정책 노선 분석 = 282
1. 동북아의 안보 환경 = 283
2. 동북아의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요인 = 284
3. 방위 정책의 실상과 변용 = 286
4. 향후의 정책 노선 분석 = 292
5. 일본의 선택과 한반도 = 294
제5장 현대 일본의 대외 관계론
제1절 1990년대의 미·일 관계 전망과 한국 = 297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297
2. 전후 미·일 관계의 배경과 전개 = 300
3. 국제 정치의 변용 속에서의 미·일 관계 = 309
4. 무역 마찰을 둘러싼 미·일 관계의 경쟁과 협조 = 314
5. 방위 협력을 통해서 본 미·일 관계 = 320
6. 미·일 관계의 현상(1990년대)과 재조명 = 326
7. 맺음말 = 330
제2절 무역 마찰을 둘러싼 일본적 외교 행태의 특질 = 335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335
2. 미·일 무역 마찰의 배경 = 336
3. 무역 마찰의 추이와 교섭 = 339
4. 일본의 대미 인식과 딜레마 = 343
5. 무역 마찰에 대응하는 일본적 외교 행태의 특질 = 346
제3절 전후 일·소 관계의 현상과 전망 = 354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354
2. 일·소 관계의 사적(史的) 배경과 그 전개 = 356
3. 최근 일·소 관계의 현상(1980년대 이후) = 367
4. 일·소 평화 우호의 전제로서의 북방 영토 문제 = 372
5. 경제 협력 구조의 현상과 문제점 = 377
6. 일·소 관계의 발전 전망 = 385
7. 정책적 고려 사항 = 388
제6장 일본의 대북한 정책
제1절 일·북한 관계를 통해서 본 일본의 정치 문화 = 391
1. 문제의 소재와 시각 = 391
2. 북한 방문단의 성격과 의미 = 392
3. 일·북한의 입장과 태도 = 393
4. 방북 결과에 대한 평가 = 395
5. 일·북한 관계의 현주소 = 396
6. 일본적 정치 문화의 특질 = 398
제2절 북한 정책을 둘러싼 논쟁의 실체 = 400
1. 일본의 기본 입장 = 400
2. 일·북한간의 교류 현황 = 403
3. 자민당 정권의 딜레마 = 405
4. 사회당의 입장과 갈등 = 409
제3절 일본·북한 관계의 현상과 전망 = 415
1. 배경과 전개 과정 = 415
2. 가네마루[金丸]방북단의 성격과 의미 = 420
3. 정부간 교섭의 내용과 결과 = 422
제7장 한·일 관계의 역사적 전개와 현상
제1절 일본의 식민지 통치와 이데올로기 = 429
1. 일본 제국주의의 형성 배경 = 430
2.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한국 식민지화 과정 = 442
3.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 458
제2절 구한마 외교사 속의 한·일 관계 = 468
1. 연구의 소재와 시각 = 468
2. 구한말 외교사의 현대적 의의 = 470
3. 국내환경 - 대내적 모순의 누적과 국권의 동요 = 473
4. 국제환경 - 인식의 부족과 국권 상실 = 475
5. 구한말 외교사의 현대적 교훈 = 481
제3절 한·일 정상 회담 이후의 양국 관계 전망 = 483
1. 서언 = 483
2. 가이후 수상 방한(訪韓)의 정치적 의미 = 485
3. 한·일 정상 회담에 임하는 양국의 입장과 태도 = 486
4. 과거사 문제의 타결과 미래 지향적 논리의 등장 = 488
5. 가이후 수상의 정치적 딜레마와 자민당 정권 = 491
6. 한·일 관계 전망 = 492

저자소개

신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대에서 법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연세대에서 법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국제법 및 인권법을 주로 공부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 국제인권규범 위반행위와 관련한 일본기업의 국제법적 책임, 보편적 여성인권과 특정적 反식민 민족주의 사이의 ‘위안부’ 배상운동 등을 주제로 논문을 쓴 바 있다. 일제 강제동원 문제를 인류 보편적 시각에서 연구하고 싶어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