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성경공부교재 > 청장년
· ISBN : 9788932520858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4-08-25
책 소개
목차
본서에 적용된 주요 원칙들 8
용어 및 약어 해설 10
서문 12
서론 17
1. 저자 18
2. 수신자 22
3. 수신지와 저작 연대 29
4. 문학 장르와 구조 34
5. 신학적 논지 43
6. 구약성경 사용 46
주제도입(1:1-4) 50
제1부(1:5-2:18): 논의의 기반 59
1. 천사보다 뛰어나신 하나님의 아들(1:5-14) 61
2. 적용적 권면 1: 큰 구원의 중요성(2:1-4) 73
3. 천사와 구별되신 완전한 인간 예수님(2:5-18) 78
제2부(3:1-7:28):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의 대제사장직 100
1. 신실하고 자비로운 대제사장(3:1-4:16) 101
2. 대제사장 자격을 갖추신 그리스도(5:1-10) 141
3. 적용적 권면 3: 수신자들의 미숙함(5:11-6:20) 155
4. 멜기세덱 계열을 따른 대제사장(7:1-28) 187
제3부(8:1-10:39):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 230
1. 하늘 지성소와 새 언약(8:1-13) 231
2.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의 단회성과 완전성(9:1-10:18) 245
3. 적용적 권면 4: 성도의 삶(10:19-39) 300
제4부(11:1-13:19): 결론적 권면 329
1. 믿음의 성격과 모본들(11:1-40) 330
2. 믿음과 하나님의 단련에 수반되는 인내(12:1-29) 390
3. 마지막 권면(13:1-19) 426
결말(13:20-25) 451
참고문헌 459
본서에 언급된 고대 문헌 목록 및 설명 467
부록: 히브리서 교리 단락 체제 이해 472
인명색인 473
주제색인 476
저자소개
책속에서
“적지 않은 독자들은 히브리서 전체의 논지를 적절히 파악하지 못한 채,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몇몇 단편적인 주요 구절들에 초점을 맞추어 히브리서 이해를 대신하곤 한다. 하지만 히브리서의 정수(精髓)는 그런 몇몇 단편적인 구절들이 대표할 수 없다. 사실 히브리서는 매우 체계적인 책이어서, 그 논지를 적절히 파악하지 않고서는 그 본연의 메시지를 깨닫기 어렵다. 본서는 독자들이 이처럼 쉽지 않은 히브리서를 좀더 친근하게 읽고 체계적으로 적절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기 위해 본서는 히브리서 전체의 논지 전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그러한 논지 전개를 통해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_서문 중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누리는 안식의 가장 특징적인 측면은 그 모든 일을 완결하게 하신 하나님께 안식일 준수/경축의 필수 요건인 감사와 찬양의 예배를 드리는 모습일 것이다. 그렇다면 9절에서 언급된 안식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의 제사를 통해 이미 누리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참조. 13:15). 이렇게 볼 때, 10절은 종말론적 안식이 왜 예배와 축제로 특징지어지는 ‘안식일 준수/경축’(‘사바티스모스’)을 수반하게 되는지 잘 설명해 준다.”
_신실하고 자비로운 대제사장(3:1-4:16) 중에서
“‘약속들을 상속받는 자들’의 특징은 ‘믿음과 인내’다(12下절).여기서 ‘믿음’과 ‘인내’라는 두 개념의 연결은 의미심장하다. 히브리서 저자에게 ‘믿음’은 단지 신념의 문제가 아니다. 3:7-4:11에서 출애굽 세대의 불신앙이 불순종과 직결되듯이, ‘믿음’은 구원을 약속하신 하나님께 대한 신뢰와 순종을 포괄한다. 따라서 ‘믿음’은, 약속받은 것이 미래로 남아 있는 동안, 힘든 현실에 직면해서도 하나님께 순종하는 데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인내’를 수반하게 된다(참조. 10:36-39). 히브리서 저자는 ‘믿음과 인내’로 약속들을 상속받는 자들의 예로서 다음 단락(특히 13-15절)에서 아브라함을 제시한다. 또한 11장에서는 아브라함을 포함하여 이스라엘의 역사 가운데 나타났던 훨씬 더 많은 인물을 모본으로 제시하며(참조. 10:36-39), 12:1-3에서는 믿음의 창시자이신 예수님을 그 모본들의 절정으로 제시한다.”
_적용적 권면3: 수신자들의 미숙함(5:11-6:2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