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443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1-12-08
책 소개
목차
제1장┃구약성경에서의 안식일: 배경(I)
1.1. 모세오경
1.2. 역사서
1.3. 예언서
1.4. 요약
제2장┃주후 1세기까지 유대교에서의 안식일: 배경(II)
2.1. 외경과 위경
2.2. 쿰란 문서들
2.3. 요세푸스
2.4. 필로
2.5. 그리스·로마 문학에 나타난 유대교에 관한 언급들
2.6. 랍비 문학
2.7. 요약
제3장┃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 예비적 고찰
3.1. 연구를 위한 전제들
3.2.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율법
제4장┃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 본문 연구(I)
4.1. 안식일 논쟁 단락들(12:1-8, 9-14)의 문맥
4.2. 하나님의 계시와 예수님의 멍에(11:25-30)
4.3. 안식일에 곡식을 잘라 먹음(12:1-8)
4.4. 안식일에 손 마른 자를 고침(12:9-14)
4.5. 하나님의 택한 종 예수님(12:15-21)
4.6. 결론
제5장┃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 본문 연구(II)
5.1. 마태복음 24:20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5.2. ‘안식일에도 말고’- 필자의 제안
5.3. 결론
제6장┃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 비교 연구
6.1. 안식일에 행해진 예수님의 가르침과 치유(막 1:21-34; 눅 4:31-41; 참조. 마 4:13; 눅 28-29; 8:14-17)
6.2.나사렛 회당에서 예수님의 설교(눅 4:16-30; 막 6:1-6; 마 13:53-58)
6.3. 안식일에 행해진 예수님의 다른 치유들(눅 13:10-17; 14:1-6; 참조. 마 12:11-12; 막 3:1-6)
6.4. 안식일에 갈릴리로부터 온 여인들의 안식(눅 23:56; 참조. 막 16:1; 마 27:61-28:1)
6.5. 결론
제7장┃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 초대교회에서 그 의의와 영향
7.1. 이그나티우스
7.2. 바나바서
7.3. 디다케
7.4. 디오그네투스서
7.5. 결론
제8장┃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 오늘날 교회를 위한 함의와 적용
8.1. 요약
8.2. 마태에게 있어서 예수님의 안식일 성취의 신학적 의의
8.3. 마태와 그의 공동체에게 있어서 예수님의 안식일 성취의 실천적 함의
8.4. 오늘날 교회를 위한 예수님의 안식일 성취의 의의와 적용
참고문헌
저자색인
성구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칼빈( J. Calvin)은 안식일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으며 따라서 폐지되었음을 명백히 하였다. 더 나아가서 일요일에 예배드리는 것은 편의와 질서를 위한 것이고, 일요일에 쉬는 것은 예배드리는 시간 확보를 위해 요청되는 것일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음을 명백히 하였다.
*서론 중에서
마태는 그의 공동체에게 안식일 준수를 그만두고, 그 대신 안식일의 주(主)이신 예수님 자신과 안식일의 궁극적인 목표인 예수님의 구속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도록 격려할 충분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격려는 내부적인 율법주의의 위험과 외부적인 결의론적 바리새주의의 위협에 직면하여 더욱 필요하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런 내외적인 결의론적 율법주의는 예수님의 안식일 성취의 진정한 의미와 중요성을 망각하도록 하는 위험을 수반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문 연구 (I) 중에서
마태에게 있어서 안식일은 성전이나(24장; 참조. 12:6) 그 결과 제사장 제도 및 제사 제도와 마찬가지로 그 성취 때까지만 구속력이 있다. 예수님의 안식일 성취 이후 모형으로서의 안식일의 기능은 안식일의 실체이신 예수님의 구속에 의해 대체되었으며, 따라서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다. 그렇다면 마태는 그의 공동체에게 안식일 준수를 그만두고, 그 대신 안식일의 주(主)이신 예수님 자신과 안식일의 궁극적인 목표인 예수님의 구속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도록 격려할 충분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만일 그의 공동체가 내부적인 율법주의의 위험과 외부적인 결의론적 바리새주의의 위협에 직면하여 있었다면 그와 같은 권고는 더욱 필요하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내외적인 결의론적 율법주의는 예수님의 안식일 성취의 진정한 의미와 중요성을 망각하도록 하는 위험을 수반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교회를 위한 함의와 적용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