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2521527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1-09-24
책 소개
목차
왕과 예언자의 연대
패널 목록
서론
지도 목록
1장 이사야서
연대와 목적
이사야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이사야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2장 예레미야서
연대와 목적
예레미야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예레미야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3장 예레미야애가
연대와 목적
예레미야애가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예레미야애가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4장 에스겔서
연대와 목적
에스겔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에스겔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5장 다니엘서
연대와 목적
다니엘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다니엘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2예언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6장 호세아서
연대와 목적
호세아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호세아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7장 요엘서
연대와 목적
요엘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요엘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8장 아모스서
연대와 목적
아모스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아모스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9장 오바댜서
연대와 목적
오바댜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오바댜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0장 요나서
연대와 목적
요나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요나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1장 미가서
연대와 목적
미가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미가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2장 나훔서
연대와 목적
나훔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나훔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3장 하박국서
연대와 목적
하박국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하박국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4장 스바냐서
연대와 목적
스바냐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스바냐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5장 학개서
연대와 목적
학개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학개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6장 스가랴서
연대와 목적
스가랴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스가랴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7장 말라기서
연대와 목적
말라기서에 대한 비평적 해석
구조와 개요
신학적 주제
수사학적 의도
정경 안에서의 말라기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책속에서
정치적으로 이사야는 위기 상황에서 왕이 국가를 보호하도록 고안된 정치적 수단보다 여호와를 신뢰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했다(예. 사 7-8, 18-22, 30-31장). 하나님만이 ‘높이 들리시기’ 때문에 그분께만 모든 역사를 다스릴 능력이 있다. 그분은 유다의 왕들뿐 아니라 다른 모든 나라와 심지어 자연 만물까지도 다스릴 권세를 갖고 계신다(29:6). 이는 유다가 적들의 손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면, 그것은 여호와께서 그렇게 결정하셨기 때문임을 뜻한다. 그렇기에 앗수르는 “내[여호와의] 진노의 막대기”로 묘사될 수 있었다(10:5). 이사야도 알고 있듯이(10:7-11) 앗수르 사람들에게 나름의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 스스로 자신이 하나님의 진노의 막대기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사야가 말하고자 한 바는 이것이다. 지도자들은 특정 상황에서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일은 여호와의 목적에 따라 전개되기에 우리의 올바른 태도는 그분을 신뢰하는 것이다.
_1장. 이사야서 중에서
예레미야서에는 심판에서 구원으로 향하는 이동이 있다. 이런 이동이 책의 표면에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책을 전체적으로 신중하게 볼 때 찾을 수 있다. 예레미야서는 유다가 회개해야 한다고 설교함으로써 시작하는 듯 보인다. 이는 4: 1-4 같은 본문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2-6장에 많이 등장하는, 이스라엘 백성을 고소하는 말씀조차 아마 원래는 그들을 회개의 자리로 이끌려고 하신 말씀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예레미야는 활동 초기에 포로 생활을 필연적인 일로 생각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유다가 언약을 지켰다면 그들은 약속의 땅에서 계속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 수 있었을 것이다. 우리가 정확히 짚을 수는 없지만, 어느 순간엔가 예레미야는 이 백성이 변하지 않을 것이고 여호와께서 그들을 징벌하실 것임을 깨달았다. 우리는 18, 19장에 있는 토기장이 에 관한 두 이야기에서 이 사실을 볼 수 있다. 첫째 이야기에서는 사람들이 회개하도록 결말을 열어 두지만, 둘째 이야기에서는 고칠 수 없는 깨진 항아리처럼 사람들의 멸망을 고정되고 최종적인 것으로 묘사한다.
이는 구원의 방식이 변했음을 의미한다. 유다는 여전히 여호와의 백성이 될 수 있지만 포로 생활을 거쳐야만 가능하다. 이런 패턴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땅에서의 모든 삶이 중단될 것임을 주로 확증하는 예레미야 16장 중간에 포로 생활의 종식을 희미하게 내다보는 표현이 나온다(16:14-15). 동일한 표현을 3: 15-18에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예레미야는 아마 심판의 말씀을 전하는 동시에 포로 생활 후에 임할 희망에 관한 말씀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_2장. 예레미야서 중에서
에스겔서는 이 주제[하나님의 임재]로 책을 시작하고 마무리한다. 따라서 이 주제는 에스겔서를 이해하는 핵심이다. 에스겔에게 포로생활의 의미에 관한 문제는 하나님의 임재에 관한 문제였다. 1장과 10장의 기이한 환상들에서 그리고 성전 환상에서(40-48장) 이 주제에 관한 이스라엘의 전통들은 새로운 조사 대상이 된다. 시내산(출 24:9-11)과 성막과 솔로몬 성전에 관한 하나님의 기억이 이 환상들 배후에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이에 수반되는 일군의 개념들 역시 마찬가지다. 이스라엘 전통에서 시온산은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이었다(다른 백성의 신들에게 ‘거룩한 산들’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참조. 이사야서의 “신학적 주제” 중 “시온, 하나님의 도성”).
_4장. 에스겔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