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2521503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1-03-04
책 소개
목차
일러스트 목록
패널 목록
서문
감사의 말
서론
1장 역사서란 무엇인가?: 최근 학자들의 견해
역사서 개관
몇 가지 질문
고대 근동의 정황에서 본 역사서
문학적인 자료로서의 역사서
역사적인 문헌으로서의 역사서
더 큰 이야기의 일부인 역사서
역사서, 신학 그리고 윤리
결론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2장 고대 근동: 주전 1550-63년
주전 1550-1200년
주전 1200-934년
주전 934-610년
주전 610-539년
주전 539-332년
주전 332-63년
결론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3장 여호수아서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4장 사사기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5장 사무엘서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6장 열왕기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7장 여호수아서-열왕기와 신명기적 역사 기술의 이론들
서론
신명기적 역사: 연구사의 요약
평가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8장 룻기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9장 에스더서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0장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11장 역대기
서론
내용 개요
비평적인 쟁점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참고도서
책속에서
역사서에 대한 우리의 해석은 문학적인 통일성이라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우리는 문학적이고 신학적인 복합성의 차원에서 역사서들을 바라보는 학자들의 이론을 알고 있고, 필요한 부분에서 그러한 이론들과 대화를 하려 한다. 우리는 많은 자료와 손길들이 역사서 형성에 어느 정도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결코 배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역사서들을 현재 형태의 본문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기 전에는, 이러한 문제들에 관하여 어떤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고 느낀다. 현대 독자들에게 알려진 문학적인 관례들과는 어느 정도 상이한 관례에 따라 역사서들이 해석될 가능성을 우리는 인정해야 한다. 우리가 반대 견해들을 제시하고 나면, 독자들은 문학적인 통일성을 전제로 하는 우리의 견해가 타당함을 인정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문학적으로 어색한 부분들이나 신학적으로 상충하는 부분들에서도, 우리는 내러티브의 예술성과 신학의 통일성을 발견한다.
_1장. 역사서란 무엇인가?: 최근 학자들의 견해 중에서
여호수아서는 여호와께서 모든 지파에게 ‘안식’(1:13, 15)을 주실 것이라는 선언으로 시작하고, 전투가 끝난 후 이 ‘안식’에 대한 약속이 이루어졌음을 보고한다(11:23; 14:15; 21:44; 22:4; 23:1). 신명기 12:10은 이스라엘이 요단을 건너 여호와께서 주시는 땅에 거하게 될 때, 혹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로 사방의 모든 대적을 이기게 하시고 안식을 주사 평안히 거하게 하실 때를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그때 이스라엘이 여호와께서 택하실 장소에서(14절) 어떻게 여호와를 예배할 것인지를 언급한다. 신명기는 이스라엘이 그 땅을 온전히 소유하게 되는 시점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다. 그렇지만 흥미롭게도 여호수아서에는 아직 많은 땅이 점령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데도 이스라엘이 안식을 누릴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실제로 성막이 세워지는 실로는 여호수아 18-22장에서 신명기가 언급한 여호와께서 택하실 곳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사사기에서 안식은 이스라엘 백성이 일시적으로 누리는 것이 되어 버린다(삿 3:11; 5:31; 8:28). 그리고 다윗 시대에 가서야 신명기 12장의 성취 가능성은 다시 현실로 다가온다(삼하 7장).
_3장. 여호수아서 중에서
다른 차원에서 삼손은 사사 시대의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그는 거룩한 부르심에 대해 적당히 타협하고, 여기저기서 잘못을 범하고, 스스로 어려운 상황에 빠지고, 여호와의 구원을 경험하고, 여호와를 이용하며(16:20), 여호와께 버림을 받은 것 같지만 완전히 버림받지는 않는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 모든 것은 이스라엘에 적용된다. 사사기 13-16장에 나오는 어떤 모습들은 내레이터가 상징적인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의도일 수도 있다. 내러티브는 삼손의 행동에서 변덕스럽고 자기중심적인 모습을 강조한다. 특히 16장은 거의 사실적이지 않다. 삼손이 블레셋 지도자들과 장난을 치고,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위험을 감수한다(그렇지 않다면 들릴라가 ‘블레셋 사람이 당신에게 들이닥쳤다’고 말할 때, 삼손은 그 말을 농담으로 믿고 있었는가?). 불임 여성이 아이를 낳는 것(13장), 수수께끼(14장), ‘마술적인 힘’(16장)과 같은 민담의 요소들은 삼손 내러티브로 하여금 정형화된 느낌을 받게 한다. 바로 이러한 특이한 모습이 우리로 하여금 삼손 내러티브를 단순하게 나타난 것만을 보지 않게 하고, 여호와 앞에서의 이스라엘의 위치를 보여 주는 하나의 비유로 보게 한다.
_4장. 사사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