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74356712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12-0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약어
개역 개정판 서문
영문판 서문
서론
1. 문제
2. 적합한 해석을 향하여
3. 로마서 집필 배경과 목적
1장│로마서 15:14-21: 서신을 해석하는 열쇠인가?
1. 바울의 사도적 자기 인식에서 쓰여진 로마서: 15:14-21
A. 담대한 서신인 로마서: 15:14-15a
B. 바울의 담대함의 근거: 15:15b-21
(a) 자신의 역할에 대한 바울의 자기 인식: 15:15b-16
(b) 바울의 사도적 사역의 열매: 15:17-20
(c) 구약 예언에 근거한 바울의 복음전도 원리: 15:21
C. 바울의 담대함의 내용
(a) ‘이사야가 매우 담대히 이르기를’: 10:20-21
(b)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 아니하노니’: 1:16-17
D. 요약
2. 바울의 사도적 자기 인식에서 출발한 로마서: 1:1-15
A. 이방인을 위한 사도직에 관한 바울의 자기 소개: 1:1-7
B. 이방인을 향한 바울의 사도적 의무: 1:8-15
3. 하나님의 구원에 이방인도 동등하게 포함되다: 1:16-17
A. 첫째는… 유대인에게요
유대인의 우선권(priority)?
B. 이방인을 포함하다
4. 유대인과 이방인을 모두 섬기시는 그리스도: 15:8-9a
A. 문맥 안에서의 15:8-9a
B. 15:8-9a의 구문론
5. 이방인과 관련한 구약의 예언들: 15:9b-12
A. 로마서 15:9b(=LXX 시편 17:50=LXX 사무엘하 22:50)
B. 로마서 15:10(=LXX 신명기 32:43)
C. 로마서 15:11(=LXX 시편 116:1)
D. 로마서 15:12(=LXX 이사야 11:10)
E. 결론
6. 결론
2장│유대인과 이방인의 죄성의 동등성: 1:18-3:20
1. 이스라엘의 역사를 반영하여 인간의 죄성을
고소: 1:18-32
A. 유대인의 우상숭배에 대한 고소는 창세기 자료에
근거한 것인가?
B. 성적 부도덕에 대한 고발 대상은 이방인들뿐인가?
C.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간직하기를 거부한 유대인들이
더 큰 형벌을 받아야 하지 않는가?
D.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죄를 짓도록 내버려 두셨는가?
E. 결론
2. 유대인의 자만에 대한 좀 더 직접적인 고소: 2:1-29
A. 2:1의 dio,와 그것이 1:18-2:5의 ‘논쟁’에 함의하는 바
B. 하나님의 편벽치 않으심에 대한 논의:
그러나 이방인의 편에서?: 2:6-11
C. 유대인에 관한 비판적인 논쟁과 이방인에 관한
긍정적인 진술: 2:12-29
(a) 긍정적인 진술 - ‘이방인들이 율법을 행하다’: 2:12-16
(b) 비판적인 논쟁 - ‘유대인이 율법을 범하다’: 2:17-24
(c) 유대인의 육신적 할례와 이방인의 영적 할례: 2:25-29
(d) 요약
3. 유대인의 자만에 관한 후속적인 성경적 논의: 3:1-20
A. 불신 유대인에 대한 하나님 심판의 합법성: 3:1-8
B. 유대인의 타락에 대한 바울의 논지: 3:1-20
C. 이방인의 죄성과 동등한 유대인의 부패에 대한
성경적 조명: 3:9-18
D. 요약
4. 결론
3장│유대인과 이방인의 칭의의 동등성: 3:21-4:25
1. 이신칭의에 있어서의 동등성: 3:21-26
A. 율법과 상관 없는 하나님의 의
B.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께 대한 인간의 믿음에서 오는 칭의
2. 유대인의 자랑은 배제되었다: 3:27-4:25
A. 사람의 자랑 혹은 유대인의 자랑?
B. 율법에 대한 유대인의 자랑
C. 하나님에 대한 유대인의 자랑
D. 아브라함에 대한 유대인의 자랑
3. 많은 민족/이방인의 조상인 아브라함: 4:1-25
A. 아브라함의 칭의와 “경건치 않은 자”의 복: 4:1-8
B. 아브라함의 믿음과 그의 조상됨: 4:9-12
C. 약속, 그리고 많은 민족/ 이방인의 조상으로서의
아브라함: 4:13-25…
4. 결론
4장│유대인과 이방인의 새로운 신분의 동등성: 5:1-8:39
5장│ 유대인과 이방인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의 동등성: 9:1-11:36
1. 로마서 1-8장과 9-11장의 상관관계
2. 유대인을 완악하게 하고 이방인을 선택하시는
하나님의 자유: 9:1-29
A. (이방인과 공유하는) 유대인의 특권: 9:1-5
B. 하나님의 선택의 자유: 9:6-23
C. 유대인과 이방인을 향한 하나님의 선택과 적용: 9:24-29
D. 요약
3. 보편적인 구원 원리와 이스라엘의 불신: 9:30-10:21
A. 구원의 수단인 그리스도를 향한 믿음: 9:30-10:13
B. 선교 원리와 이스라엘의 불신: 10:14-21
C. 요약
4. 메시야 거절: 역전된 선교의 우선순위: 11:1-36
A. 이스라엘의 완악함: 11:1-10
B. 이방인과 유대인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 역사: 11:11-16
(a) 하나님의 계획에서 이스라엘의 실족은 꼭 필요한 일이었는가?
(b) 이스라엘의 상실과 이방인의 부요함
C. 이방인 신자들을 향한 권면: 11:17-24
D. 유대인과 이방인의 상호의존성과 동등성의 신비: 11:25-32
(a) 이방인이 오만해질 가능성과 비밀
(b) 유대인의 수위권 옹호를 자제하는 바울
(c) 특별한 길(Sonderweg)이 아닌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
E. 요약
5. 결론
결론
부록_바울의 사도적 자기 인식과 그의 ‘나의 복음’
개역 증보판 부록_초대교회의 이방 선교와 율법관의 변화
약어표
참고문헌
저자 색인
성구 색인
주제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