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2521657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2-12-15
책 소개
목차
서문
1. 말씀으로, 빛으로, 성전으로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
2. 시대를 열고 장벽을 넘어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
3. 죽음을 넘어 생명으로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
4. 섬김과 살림의 사랑으로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
5. 우리를 성전 삼아 거하려고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
6. 죽을 만큼 사랑하려고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롤로그(1-18절)에서 우리가 살펴볼 마지막 주제는 예수님이 우리 가운데 오신 이유, 목적이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그것을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이 14절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말씀을 요한복음의 요절로 봅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여기에서 우리는 ‘성전’ 모티브를 발견하게 됩니다. 여기 나오는 ‘거하신다’는 직역하면 ‘장막을 치다’입니다. 이것은 구약의 광야 성막을 연상시키고 더 나아가 솔로몬 성전을 떠올리는 표현입니다. 그러니까 로고스 예수님, 말씀이신 예수님, 창조주 하나님이신 성자 예수님이 성육신하여 우리 가운데 오신 사건은 다름 아니라 ‘성전’이 되신 사건이라는 겁니다. 성전은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⑴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곳입니다. ⑵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하시는 곳입니다. ⑶ 하나님께 속죄제사를 드려서 사죄를 받고 하나님과 백성의 교제가 있는 곳입니다. 이제 이 성전의 역할을 예수님이 하실 것입니다. 구약의 성막과 성전에 하나님의 영광이 임했었는데, 이제 예수님께 영광이 임했다고 말합니다. 그리스도를 회복된 하나님의 영광과 동일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_ “1. 말씀으로, 빛으로, 성전으로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요 1장)” 중에서
2-4장의 큰 구조를 보면 두 개의 표적이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고, 가운데 부분인 2-3장에는 성전 척결 사건과 유대인 니고데모와의 대화가 나오고,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와 사마리아 사람들의 반응이 4장에 나옵니다. 이것을 보면 유대인들의 부정적인 반응과 사마리아 사람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대조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육적인 기준, 땅의 기준, 혈통의 기준으로만 보면, 구원에서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자들과 구원에서 가장 멀다고 생각하는 자들이 대조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결과는 예상과 전혀 다릅니다. 유대인들은 빛이신 예수님을 영접하지 않았지만 사마리아 사람들은 예수님을 영접합니다. 새 언약의 시대에는 더 이상 혈통이나 인간적인 조건이 중요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믿음만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_ “2. 시대를 열고 장벽을 넘어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요 2-4장)” 중에서
5-10장에서는 예수님이 구약의 절기들을 완성하시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5장에는 안식일을 성취하시는 예수님이 등장하고, 6장에서는 유월절을 성취하시는 예수님을 만납니다. 7-8장은 초막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9장에는 맹인을 치유하시는 빛 되신 예수님이 등장하고, 10장에서는 양들을 위해 자기 목숨을 내어 주시는 선한 목자 예수님으로 등장합니다.…앞서 1장의 프롤로그에서 우리는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1:14)라는 말씀과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어진 것이요 은혜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1:17)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5-10장은 이 구약의 말씀과 절기들과 성전을 완성하시고 새 이스라엘을 창조하시는 예수님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제 참된 생명은 바로 이 예수님 안에 있습니다. 결코 유대교의 율법 체계나 성전 체계에 순응할 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_ “3. 죽음을 넘어 생명으로 우리 곁에 오신 예수님(요 5-10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