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2823553
· 쪽수 : 1024쪽
· 출판일 : 2025-07-18
책 소개
목차
서문_ 팀 켈러
머리말
감사의 말
서론
1장 삼위일체
2장 창조
3장 인간
4장 죄와 사회
5장 죄와 자율
6장 죄, 인간론, 비대칭
7장 라멕에서 노아까지
8장 바벨
9장 아브라함과 약속
10장 아브라함과 언약
11장 모세, 출애굽, 토라
12장 예언과 권력
13장 예언과 문화 비평
14장 지혜 문학
15장 성육신, 공간, 시간
16장 성육신, 물질성, 인격
17장 예수님의 사역,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
18장 십자가, 전복, 은혜
19장 십자가, 비대칭, 역설
20장 부활, 변화, 능력
21장 마지막 날, 교회, 사회
22장 마지막 날과 시차적 삶
23장 마지막 날과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24장 마지막 날과 근대성
25장 종말론과 묵시록
26장 종말론과 시간
27장 종말론과 정체성
28장 종말론과 문화
결론
참고 문헌
주제 찾아보기
성경 찾아보기
인물 찾아보기
책속에서
지난 몇 년 동안 나는 어떤 ‘기독교적 고등 이론’(Christian High Theory) 같은 것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크리스 왓킨이 이 책에서 하고 있는 작업이 정확히 내가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그것을 “성경적 비판 이론”이라고 부르는 게 더 낫다고 생각했고 나도 그 이름을 택하는 것이 좋겠다는 확신이 든다. 그가 제시하는 이유는 충분하다. 즉 우리는 (1) 우리의 비판 이론을 신학 일반에서만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과 직접 접촉하여 세워야 하고, (2) 문화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많은 교단들이나 기독교 전통들이 가지고 있는 경향처럼 어떤 한 부분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적 구속사의 모든 주요 ‘전환점’을 고려해야 한다. ‘성경적’(biblica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 목표를 계속 염두에 두는 데 도움이 된다.
서문(팀 켈러)
우리는 ‘무엇?’ 또는 ‘왜?’에 대해서는 배우지만 ‘그래서?’에 대해서는 그렇게 많이 배우지 못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죄, 심판, 약속, 언약, 율법, 예언, 유배, 성육신, 십자가, 부활, 승천, 말세, 종말에 관한 ‘그래서?’에 대해서도 많이 배우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인간은? 그래서 사회, 우리의 희망, 두려움, 가장 깊은 가치는? 그래서 예술, 정의, 역사, 환경은? 이러한 성경적 진리와 그 외 많은 진리는 모든 영역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온다. 더욱이 이러한 결과는 종종 우리 시대의 지속적인 사회 및 문화의 문제에 대해 신선하고 건설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서론: 우리는 어떻게 하나님이 세상에 던지는 질문이 될 수 있을까?
오늘날 지적·사회적 논쟁에 건설적으로 개입하려는 많은 그리스도인의 시도에는 안타까운 아이러니가 있다. 바로 그리스도인들이 피하고 싶어 하고, 당혹스러워하는 성경적 진리와 구절들이야말로 핵심 영역에서 가장 결정적이고, 혁신적으로 새로운 사고를 형성할 수 있는 구절들이라는 점이다. 오늘날 삼위일체만큼 그리스도인 사이에서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얼굴을 붉히게 하는 교리도 드물 것이다. 하지만 이 장에서 나는 삼위일체 교리가 정교한 토론과 창의적인 사회적·문화적 통찰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정치적·사회적 질문에 사려 깊은 그리스도인이 건설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를 바란다.
1장. 삼위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