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프로이트
· ISBN : 9788932924816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문
감사의 말
옮긴이 서문
번역 용어에 대하여
일러두기
어휘 대조표
사전
프로이트 저작 연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정신분석은 다른 직업이나 학문처럼 그것에 고유한 용어가 필요하다. 정신분석은 새로운 연구와 치료 방법이고, 심리 장치의 정상적이고 병리적인 작용에 대한 이론인데, 어떻게 새로운 발견과 개념이 새로운 용어의 힘을 빌리지 않고 공식화될 수 있겠는가? (……) 일반 언어에는 심리 구조와 움직임을 가리킬 만한 단어가 없다. 상식의 눈으로는 심리 구조와 움직임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게 되는데, (……) 정신분석 문헌을 참조하는 것 외에, 그 용어들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은 없다. (……) 그것은 정신분석 경험에 익숙한 전문가들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만 말을 넘어서 사실과 관념을 향하는 방향성이 〈지식 사전〉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결국 관건은 용법을 대조하고, 서로가 서로를 조명하고, 그것의 난점을 잘라 내려고 하지 말고 그것을 드러내는 것이다. (……) 우리의 소망은 그것이 정신분석에 몸담고 있는 연구자와 학생뿐 아니라 다른 분야의 전문가나 호기심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작업 도구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_감수자 다니엘 라가슈의 〈머리말〉에서
각 용어는 정의와 해설을 담고 있다. 정의는 정신분석 이론에서 사용되는 그 개념의 엄격한 용법에서 나오는 대로의 의미를 수집하려고 했다. 해설은 비판적인 부분과 우리의 연구의 핵심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적용한 방법은 세 항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역사, 구조 그리고 문제 제기가 그것이다. 역사는 엄격한 연대기순에 얽매이지 않고, 각 개념에 대해 그것의 기원과 그것의 주요 발달 단계를 제시하려고 했다. 그러한 기원에 대한 탐구는, 우리가 보기에, 단순한 박학에 대한 관심 이상의 것이다. 즉, 우리가 기본 개념들을, 그 개념들을 탄생시키는 경험과 새롭게 대조해 보고, 그것들의 발전 단계를 설정하고 발전 방향을 바꾸는 문제들과 대조해 보았을 때, 그것들이 명백해지고, 그것들의 생생한 윤곽과 상호 연결 지점이 밝혀지는 것을 보고 우리는 강한 인상을 받았다. (……) 우리의 해설은 정신분석의 주요 개념에 대해, 그것의 애매성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그 애매성을 명확히 밝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의 모순을 드러내려고 노력했다. _공저자 라플랑슈·퐁탈리스의 〈서문〉에서
이 재판의 개정 번역이 완전하다거나 오역이 없다고 생각지 않는다. 단지 역자는 초판 이후에 15년 넘게 꾸준히 수정해 왔고, 그에 따라 조금 더 나은 번역에 이르렀을 뿐이다. (......) 새로운 번역 용어를 굳이 제시하려는 것은, 그동안에 널리 쓰이고 있던 번역어가 프로이트의 원어가 부여하지 않은 엉뚱한 인상과 의미를 주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프로이트가 분명히 구분하고 부정한 개념을, 마치 정확한 개념인 양, 한국어 독자에게 확인시켜 주는 번역어도 여럿 있다. 그래서 역자가 새로운 번역어를 제시하는 것은, 내 것만이 옳다고 주장하기 위함이 아니라, 프로이트의 독창적인 어휘 뒤에 숨어 있는 의미나 개념 그리고 그 개념들의 조직에 대해, 정신분석을 공부하는 우리가 한 번 더 성찰하고 더 깊이 숙고하여, 그것을 잘 전달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를 찾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 이 개정 번역판이 프로이트를 공부하고 프로이트와 함께 공부하는 모든 독자에게, 현재 통용되면서도 동시에 시대에 역행하는 정신분석 사전이 되기를 기원한다. _〈옮긴이 서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