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이슬람교
· ISBN : 9788933704691
· 쪽수 : 831쪽
· 출판일 : 2005-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이슬람의 이해
1. 이슬람은 세계 인구 1/5의 종교
2. 하나님만을 믿는 유일신교
3. 아브라함의 신앙을 중시하는 종교
4. 이슬람은 신앙체계만이 아니다
5. 성직자제도가 없고 샤리아를 따르는 종교
6. 서방세계에서 본 이슬람
7. 오해받고 있는 이슬람세계
제1장 간추린 이슬람 역사 1400년
1. 예언자 무함마드 시대(610~632년)
2. 정통 칼리파 시대(632~661년)
3. 아랍제국, 우마이야조(661~750년)
4. 이슬람제국, 압바스조(750~1256년)
5. 셀주크, 몽골, 맘루크의 등장
6. 오스만 터키제국 시대
제2장 예언자 무함마드
1. 새로운 예언자의 출현
2. 신의 사자, 무함마드의 생애
3. 무함마드의 지위와 업적
제3장 <꾸란>과 하디스
1. 신의 말씀, <꾸란>
2. 무함마드의 언행, 하디스
제4장 신앙과 실천의 6신(信)과 5주(柱)
1. 신앙과 실천의 여섯 믿음
2. 신앙과 실천의 다섯 기둥
제5장 순니와 쉬아
1. 순니와 쉬아의 분립
2. 순니와 쉬아 사상의 차이
3. 쉬아파의 주요 갈래
4. 예언자의 빛과 열두 이맘
제6장 신앙의 실천주의자들, 카와리지
1. 카와리지의 출현
2. 카와리지의 주요 교의
3. 카와리지 분파와 반정운동
4. 카와리지의 영향
제7장 이슬람법, 샤리아
1. 이슬람법의 내용과 구성
2. 이슬람법의 형성과 발전
3. 이슬람법의 법원과 법학파
4. 현대에서의 샤리아
제8장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
1. 수피로의 길
2. 수피의 영적 도정
3. 수피주의 발전과 대표적 수피들
4. 수피 종단들
제9장 이슬람과 인권
1. 이슬람에서 인권의 개념
2. 이슬람의 인권원리와 가치들
3. 현대 무슬림세계와 인권
제10장 중세 이슬람 정치사상과 칼리파제
1. 정교일치와 칼리파제
2. 압바스조 초기의 왕권적 칼리파제
3. 칼리파제 이론의 정립과 발전
4. 칼리파제의 소멸과 샤리아 정치론의 출현
5. 이븐 칼둔의 종교정치?이성정치론
제11장 이슬람 전통에서 보는 기독교 ― <꾸란> 속의 예수를 중심으로
1. 방황하는 자들의 길
2. 예수의 탄생
3. 하나님의 아들
4. 예수의 신성(神性)
5. 예수의 사명
6. 십자가 사건과 기독교 구원관
7. 예수의 승천과 재림
8. 예수는 무슬림
제12장 이슬람 개혁주의와 부흥운동
1. 살라피야 사상과 원리주의
2. 전(前)근대 원리주의 이슬람 부흥운동
3. 근대주의 이슬람 개혁운동
4. 현대의 원리주의 이슬람 부흥운동
제13장 이집트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
1. 이슬람 부흥운동의 출현
2. 근대주의와 세속적 민족주의
3. 무슬림 형제단의 원리주의 운동
4. 급진 원리주의 무장조직과 활동
5. 무바라크 통치하의 원리주의 운동
제14장 싸이드 꾸틉의 급진 이슬람 원리주의
1. 꾸틉의 생애와 주요 저작들
2. 꾸틉의 급진 원리주의 사상
3. 꾸틉의 급진 원리주의 사상의 영향
4. 꾸틉의 사상과 과격 급진 무장조직
제15장 이슬람 부흥운동과 이슬람의 이데올로기화
1. 이슬람 부흥운동의 특징
2. 이슬람 이데올로기화의 이론적 근거
3. 이슬람 부흥주의자의 분류
4. 이슬람의 이데올로기화 과정
5. 정치적 이슬람과 서구
참고문헌
용어풀이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슬람과 이슬람세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서장에서 강조하고 있듯이 먼저 이슬람이 단순한 신앙체계만이 아니라 종교와 세속 모두를 포괄하는 신앙과 실천의 체계라는 사실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삶과 종교가 일치하는 독특한 가치관의 세계이기 때문에 무슬림들이 정치, 경제뿐만 아니라 전쟁, 협상 등 모든 생활영역에서 항상 이슬람의 깃발을 앞세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정교분리의 세속적 가치관 속에서 살아온 서구인들이나 우리가 이슬람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더욱이 우리는 이슬람권과 오랫동안 첨예하게 대립해온 서양이나 미국의 언론을 통해 이슬람세계를 접하고 굴절된 서구의 프리즘으로 그들의 사회를 잘못 들여다보는 사례가 많았다.
오해와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제 우리는 나름대로의 객관적 시각을 갖고 이슬람사회의 제도, 관습, 종교, 문화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이 처한 특수한 환경과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그들을 볼 수 있는 문화상대주의라는 시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 본문 6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