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프리카/오세아니아사 > 현대사
· ISBN : 978898435579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04-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고대 이집트 시대(BC3000년~BC341년)
1. 이집트 나일 문명의 태동
2. 고대 이집트인의 시간과 달력
3. 고대 이집트인의 죽음과 저승세계
4. 고대 이집트 문자, 히에로글리프
5. 메네스, 최초로 통일 이집트 왕국을 건설
6. 조세르, 계단식 피라미드를 세우다
7. 기자 피라미드 시대의 개막
8. 신비의 스핑크스
9. 헬리오폴리스의 신전과 태양신 라의 숭배
10. 고왕국 시대 농부들의 생활
11. 국가의 엘리트, 서기와 귀족들
12. 기울어지는 파라오의 권세
13. 고왕국 시대의 종말
14. 제1중간기의 거친 세상에서 움트는 자유와 평등사상
15. 혼란기에 태동한 염세적 세속문학
16. 중왕국 세누스레트 왕들의 시대
17. 힉소스족의 침입과 이집트 지배
18. 힉소스 지배에 대한 테베의 저항
19. 힉소스족을 물리친 아흐모세 1세의 위업
20. 투트모세 1세, 왕가의 계곡을 건설하다
21. 수염을 달고 이집트를 지배한 남장 여왕 하트셉수트
22. 17차례 원정을 한 위대한 정복자 투트모세 3세
23. 고대 이집트 시대의 군대와 병사
24. 아톤 신을 숭배한 종교개혁자, 이크나톤
25. 고대 이집트 외교문서의 표본, 아마르나 문서
26. 황금가면의 주인, 소년왕 투탕카멘
27.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대결전, 카데시 전투
28. 위대한 이집트 문명의 건설자 람세스 2세
29. 고대 이집트 여인들의 생활상?123
30. 모세가 이끈 유대인의 출애급
31. 해양민족들의 침입
32. 리비아인 군주, 소센크 1세
33. 파피루스 종이의 생산
34. 흑인 파라오 피예와 샤바코
35. 아시리아의 침입과 이집트 지배
36. 상인 왕조, 사이스 조
37. 페르시아의 캄비세스 2세, 이집트를 정복하다
38. 고대 이집트인들의 사랑과 남녀관계
제2장. 그리스·로마 시대(BC332년~AD641년)
39. 알렉산더, 이집트 정복 후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하다
40. 프톨레마이오스 조의 시작
41. 고대 문명의 불가사의, 파로스 등대
42. 사제 마네톤, 《이집트 사》를 편찬하다
43. 세계 최대 규모였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44. 위대한 여걸 클레오파트라와 안토니우스의 사랑
45. 악티움 해전과 클레오파트라의 최후
46. 로마 제국의 속주로 전락한 이집트
47. 아기 예수의 피난길
48. 마가의 복음 전도와 순교
49. 수력을 이용하는 기중기를 발명한 헤로
50. 알렉산드리아에서 일어난 폭동들
51. 로마의 기독교도들에 대한 탄압
52. 예수의 신성론에서 앞장서간 알렉산드리아의 신학파
53.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철학자, 하이페티아
54. 이집트,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다
55. 사막의 배, 낙타
제3장. 이슬람 시대(641년~1798년)
56. 아무르 이븐 알 아스의 아랍·이슬람군, 이집트 정복하다
57. 이집트의 새 수도, 푸스타트의 건설
58. 이슬람 제국의 속주가 된 이집트
59. 아랍인의 이집트 정착과 이집트의 아랍화, 이슬람화
60. 이슬람 국가, 이집트에서의 콥트교도들
61. 독립왕조, 툴룬 조의 성립
62. 장엄한 건축미를 자랑하는 이븐 툴룬 모스크
63. 파티마 조, 이집트를 정복하고 새 수도 카이로를 건설하다
64. 알 아즈하르 사원의 건립과 알 아즈하르 대학의 개원
65. 기인 칼리파 알 하킴
66. 시인 쿠스라우가 본 파티마 조의 번영
67. 십자군을 물리친 무슬림 세계의 영웅, 살라딘
68. 알 카밀과 프레데릭 2세 간의 평화조약
69. 포로가 된 프랑스 왕 루이 9세와 최초의 무슬림 여왕 샤자르 알 두르
70. 노예 출신 술탄들이 통치한 맘루크국의 등장
71. 맘루크 통치에 대한 아랍의 반란
72. 아인 잘루트 전투
73. 맘루크 술탄, 허수아비 칼리파 제를 세우다
74. 알 아즈하르의 융성과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가 된 카이로
75. 맘루크군, 십자군 세력을 시리아에서 몰아내다
76. 몽골의 가잔 칸과 맘루크 술탄 나세르와의 대결
77. 티무르렌의 침입
78. 포르투갈, 맘루크 해군을 격파하고 인도양을 지배하다
79.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정복
80. 알리베이의 반란
제4장. 현대 이집트(1798년~현재)
81.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입
82. 나폴레옹에 저항한 알 아즈하르의 쉐이크들
83. 로제타 석 발견으로 상형문자 해독되다
84. 근대 이집트의 아버지 무함마드 알리의 등장
85.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과 치적
86. 근대 이집트의 전쟁영웅, 이브라힘 파샤
87. 최초로 바다와 바다를 이은 수에즈 운하 개통
88. 오라비 반란과 민족주의 세력의 등장
89. 이집트와 영국의 수단 공동통치
90. 딘샤와이 마을 사건
91. 영국, 이집트의 독립을 선언하다
92. 엘 알라메인 전투
93. 팔레스타인 전쟁: 제1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94. 자유장교단의 혁명
95. 수에즈 전쟁: 제2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96. 6일 전쟁: 제3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97. 불에 타버린 카이로의 오페라 하우스
98. 10월 전쟁: 제4차 아랍·이스라엘전쟁
99. 캠프 데이비드 협정
100. 사다트의 암살과 무바라크 대통령의 취임
이집트역사 연표
리뷰
책속에서
사실상 인류 역사의 수많은 주역들이 이 땅을 밟았고, 그들 중 많은 영웅들이 이곳을 점령하고는 위대한 제국을 세웠다. 이 땅의 주인이었던 파라오들이 세운 고대 이집트 파라오 제국은 물론이거니와 외부에서 침입해 들어온 알렉산더가 그리스 대제국을 세웠고, 뒤를 이은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이슬람 제국, 오스만 제국 모두가 그러했다.
-머리말 中에서
모든 동물은 생존하기 위해 먹으며, 또 생존을 위해서 먹을 것이 풍부한 곳을 찾아다닌다. 인간도 그런 조건에서 예외일 수는 없었다. 구석기 시대의 이집트인들도 다른 아프리카 사람들처럼 아주 간단한 도구를 가지고 유목생활을 하면서 먹을 것이 풍부한 곳을 찾아다녔다. 그러다 지구의 빙하기가 끝나고, 북아프리카의 건조화가 시작되면서 대부분 지역이 사막화되어 가자 사람들은 나일 계곡으로 몰려들었다. 나일 계곡은 물이 풍부하고 무엇보다 먹을 것이 많았던 것이다.
-이집트 나일 문명의 태동中에서
이집트인의 무덤은 그야말로 사자死者의 집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하나의 완벽한 생활 공간이었다. 무덤 안에는 죽은 자를 위해 시중을 들 요리사와 빵 굽는 사람, 이발사 등의 동상이 있었고, 사자가 지루한 시간을 보내는데 쓸만한 온갖 기구와 악기들도 갖추어놓았던 것이다. 죽은 자가 부자일수록 값이 나가는 보석들이 함께 묻혔으며, 심지어 사자를 위해 화장실까지 마련한 경우도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의 죽음과 저승세계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