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송경근, 손주영 (지은이)
가람기획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프리카/오세아니아사 > 현대사
· ISBN : 9788984352896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9-04-30

책 소개

나일 강이 흐르고 피라미드와 스핑크스가 있는 신비의 나라 이집트는 아마 우리들뿐 아니라 지구촌에 살고 있는 세계인 누구나 언젠가는 꼭 한 번쯤 가보고 싶은 동경의 나라일 것이다. 인류 최초의 삶과 문명이 시작된 나라, 세계역사의 중심무대가 바로 이집트이기 때문이다.

목차

차례

머리말

Ⅰ. 고대 이집트 시대(기원전 3000∼기원전 341)
1. 이집트 나일 문명의 태동(기원전 5000∼기원전 3300)
2. 고대 이집트 인의 시간과 달력(기원전 3500∼기원전 2500)
3. 고대 이집트 인의 죽음과 저승세계(기원전 3300∼기원전 2700)
4. 고대 이집트 문자,히에로글리프 (기원전 3200)
5. 메네스, 최초로 통일 이집트 왕국을 건설(기원전 3150)
6. 조세르, 계단식 피라미드를 세우다(기원전 2650)
7. 기자 피라미드 시대의 개막(기원전 2550∼기원전 2450)
8. 신비의 스핑크스(기원전 2500)
9. 헬리오폴리스의 신전과 태양신 라의 숭배(기원전 2500)
10. 고왕국시대 농부들의 생활(기원전 2500)
11. 국가의 엘리트, 서기와 귀족들(기원전 2500)
12. 기울어지는 파라오의 권세(기원전 2300)
13. 고왕국시대의 종말(기원전 2150)
14. 제1중간기의 거친 세상에서 움트는 자유와 평등사상(기원전 2150∼기원전 2080)
15. 혼란기에 태동한 염세적 세속문학(기원전 2150∼기원전 1750)
16. 중왕국 세누스레트 왕들의 시대(기원전 1917∼기원전 1817)
17. 힉소스 족의 침입과 이집트 지배(기원전 1750∼기원전 1528)
18. 힉소스 지배에 대한 테베의 저항(기원전 1641∼기원전 1539)
19. 힉소스 족을 물리친 아흐모세 1세의 위업(기원전 1539)
20. 투트모세 1세, 왕가의 계곡을 건설하다(기원전 1493∼기원전 1481)
21. 수염을 달고 이집트를 지배한 남장 여왕 하트셉수트(기원전 1473∼기원전 1458)
22. 17차례 원정을 한 위대한 정복자 투트모세 3세(기원전 1479∼기원전 1425)
23. 고대 이집트 시대의 군대와 병사(기원전 1400)
24. 아톤 신을 숭배한 종교개혁자, 이크나톤(기원전 1344∼기원전 1328)
25. 고대 이집트 외교문서의 표본, 아마르나 문서(기원전 1344∼기원전 1328)
26. 황금가면의 주인, 소년왕 투탕카멘(기원전 1318)
27.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대결전, 카데시 전투(기원전 1275)
28. 위대한 이집트 문명의 건설자 람세스 2세(기원전 1279∼기원전 1213)
29. 고대 이집트 여인들의 생활상(기원전 1200)
30. 모세가 이끈 유대 인의 출애급(기원전 1200)
31. 해양민족들의 침입(기원전 1207, 기원전 1177∼기원전 1171)
32. 리비아 인 군주, 소센크 1세(기원전 945∼기원전 924 재위)
33. 파피루스 종이의 생산(기원전 800)
34. 흑인 파라오 피예와 샤바코(기원전 747∼기원전 702 재위)
35. 아시리아의 침입과 이집트 지배(기원전 656)
36. 상인 왕조, 사이스 조(기원전 672∼기원전 525)
37. 페르시아의 캄비세스 2세, 이집트를 정복하다(기원전 525)
38. 고대 이집트 인들의 사랑과 남녀관계(기원전 500년 이전)


Ⅱ. 그리스-로마 시대(기원전 332∼서기 641)
39. 알렉산더, 이집트 정복 후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하다(기원전 332)
40. 프톨레마이오스 조의 시작(기원전 305)
41. 고대 문명의 불가사의-파로스 등대(기원전 285∼기원전 247)
42. 사제 마네톤, 《이집트 사》를 편찬하다(기원전 246)
43. 세계 최대 규모였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기원전 220)
44. 위대한 여걸 클레오파트라와 안토니우스의 사랑(기원전 32)
45. 악티움 해전과 클레오파트라의 최후(기원전 31)
46. 로마 제국의 속주로 전락한 이집트(기원전 30)
47. 아기 예수의 피난길(기원전 7?)
48. 마가의 복음 전도와 순교(서기 68)
49. 수력을 이용하는 기중기를 발명한 헤로(서기 80)
50. 알렉산드리아에서 일어난 폭동들(115∼116, 172)
51. 로마의 기독교도들에 대한 탄압(250∼251, 303∼311)
52. 예수의 신성론에서 앞장서간 알렉산드리아의 신학파(381년)
53. 알렉산드리아의 여성 철학자, 하이페티아(395년)
54. 이집트,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다(395년)
55. 사막의 배, 낙타(520년)

Ⅲ. 이슬람 시대(641~1798)
56. 아무르 빈 알-아스의 아랍·이슬람 군, 이집트를 정복하다(641년)
57. 이집트의 새 수도, 푸스타트의 건설(642년)
58. 이슬람 제국의 속주가 된 이집트(642∼868)
59. 아랍 인의 이집트 정착과 이집트의 아랍화, 이슬람화(809∼868)
60. 이슬람 국가, 이집트에서의 콥트 교도들(809∼868)
61. 독립왕조, 툴룬 조의 성립(868년)
62. 장엄한 건축미를 자랑하는 이븐 툴룬 모스크(876년)
63. 파티마 조, 이집트를 정복하고 새 수도 카이로를 건설하다(969년)
64. 알-아즈하르 사원이 건립과 알-아즈하르 대학의 개원(972/982)
65. 기인 칼리파 알-하킴(996∼1021)
66. 시인 쿠스라우가 본 파티마 조의 번영(1047년)
67. 십자군을 물리친 무슬림 세계의 영웅, 살라딘(1192년)
68. 알-카밀과 프레데릭 2세 간의 평화조약(1229년)
69. 포로가 된 프랑스 왕 루이 9세와 최초의 무슬림 여왕 샤자르 알-두르(1249/1250)
70. 노예 출신 술탄들이 통치한 맘루크 국의 등장(1250년)
71. 맘루크 통치에 대한 아랍의 반란(1253년)
72. 아인 잘루트 전투(1260년)
73. 맘루크 술탄, 허수아비 칼리파 제를 세우다(1261년)
74. 알-아즈하르의 융성과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가 된 카이로(1290년)
75. 맘루크 군, 십자군 세력을 시리아에서 몰아내다(1291년)
76. 몽골의 가잔 칸과 맘루크 술탄 나세르와의 대결(1299∼1303)
77. 티무르렌의 침입(1400∼1401)
78. 포루투갈, 맘루크 해군을 격파하고 인도양을 지배하다(1509년)
79. 오스만 터키의 이집트 정복(1517년)
80. 알리 베이의 반란(1770년)


Ⅳ. 현대 이집트(1798~현재)·315
81.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입(1798년)
82. 나폴레옹에 저항한 알-아즈하르의 쉐이크들(1798년)
83. 로제타 석 발견으로 상형문자 해독되다(1799년)
84. 근대 이집트의 아버지 무함마드 알리의 등장(1805년)
85.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과 치적(1811∼1840)
86. 근대 이집트의 전쟁영웅, 이브라힘 파샤(1789∼1848)
87. 최초로 바다와 바다를 이은 수에즈 운하 개통(1869년)
88. 오라비 반란과 민족주의 세력의 등장(1879∼1882)
89. 이집트와 영국의 수단 공동통치(1899년)
90. 딘샤와이 마을 사건(1906년)
91. 영국, 이집트의 독립을 선언하다(1922년)
92. 엘-알라메인 전투(1942년)
93. 팔레스타인 전쟁_제1차 아랍·이스라엘 전쟁(1948년)
94. 자유장교단의 혁명(1952년)
95. 수에즈 전쟁_제2차 아랍·이스라엘 전쟁(1956년)
96. 6일 전쟁_제3차 아랍·이스라엘 전쟁(1967년)
97. 불에 타버린 카이로의 오페라 하우스(1971년)
98. 10월 전쟁_제4차 아랍·이스라엘 전쟁(1973년)
99. 캠프 데이비드 협정(1978년)
100. 사다트의 암살과 무바라크 대통령의 취임(1981년)


부록
이집트 사 연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송경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졸업하였다. 이집트 알 아즈하르 대학교 역사와 문명과를 졸업,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이슬람학회 회장,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아랍어과 학과장, 동대학 부학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아랍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중동지역 연구』(조선대학교 출판부, 2000), 『케임브리지 이슬람사』(공동번역, 시공사, 2002), 『고등학교 아랍 문화』(교과서 교육인적자원부, 2003),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의 성장, 투쟁, 사회적 역할 및 제도권 진입에 관한 연구」 「오만의 이슬람과 그 전망」 「몽골의 동부 이슬람 세계의 침입」 「한국의 이슬람사」 「중국의 이슬람」 「기독교와 이슬람의 역사적 관계」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손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이집트 알 아즈하르 대학교 역사와 문명과를 졸업,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이슬람학회 회장, 한국중동학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학과장, 동대학원 중동 아프리카 지역 연구학과 주임교수, 중동연구소 소장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이슬람 칼리파제사'(민음사, 1997), '이슬람 세계의 정치와 국제관계'(공저, 도서출판 오름, 1999), '중동의 새로운 이해'(도서출판 오름, 1999), '이슬람 사상의 형성과 발전'(공저, 아카넷, 2000), '역사상의 국가권력과 종교'(공저, 일조각, 2000), '20세기 중동을 움직인 50인'(공저, 가람기획, 2000), '이슬람, 교리, 사상, 역사' (일조각, 2005), '대 아랍 비밀협정', '이슬람 국가의 정치제도 연구', '이집트의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수천 개의 스핑크스가 이집트에 세워졌지만 기자에 남아 있는 것이 가장 크고 유명하다. 그러니까 이 스핑크스는 스핑크스 중의 스핑크스인 셈이다. 이 스핑크스는 그 크기가 너무나 엄청나서 놀라지 않을 수 없는데, 또 하나 더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하나의 바위를 조각해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그것도 다른 데서 돌을 옮겨온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자리에 있던 하나의 거대한 석회암 바위를 깎아 만든 것이다. 단, 발톱 부분만은 벽돌로 만들어졌다. 또 이 스핑크스는 오늘날 남아 있는 스핑크스 기념석상 중에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간주된다. 전장이 약 70m, 높이가 약 20m되는 거상으로 기자에서 두 번째로 큰 카프라 왕의 피라미드와 연결되어 세워져 있다.
-8.신비의 스핑크스

고대 이집트 사회는 남녀간의 역할이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부호의 저택에서 일하는 악사, 미용사, 재단사 등은 남자가 아니라 여자가 하는 일로 인식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여인은 집안에서 부리는 하녀들을 감독했으며, 궁전이나 사원에서 일하다가 고위직에 올라갈 수도 있었다. 여성은 행정관리로 임명되지 않았으나, 남편이 행정관리일 경우 남편을 대신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었다.
여성들의 의사는 어디에서나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뿐만 아니라 여성들은 자기의 재산과 하인을 소유할 수 있었으며, 자기 재산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권리도 가졌다. 친형제는 물론 남편도 아내의 재산을 무턱대고 처분할 수 없었다. 자신이 물려받는 유산은 부친뿐만 아니라 모친한테서도 재산을 물려받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지만 부유한 가족의 도움으로 여성 혼자서 독립적으로 살기도 했다. 그러나 여성들은 의무적으로 결혼해야 했고, 미혼여성이나 미망인은 가족 구성원 중에서 그 위치가 가장 취약했다.
-29.고대 이집트 여인들의 생활상


1798년, 마침내 프랑스의 탈리랑 수상은 나폴레옹 장군에게 대원정 사업을 맡겼다. 그가 나폴레옹에게 이집트 원정을 맡긴 것은 그가 남달리 유능하다는 점도 고려했겠지만, 한편으로는 한참 떠오르고 있던 나폴레옹이 자신의 능력과 인기를 이용해 무력으로 권력을 쟁취하려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감 때문이었다. 탈리랑은 나폴레옹을 멀리 이집트로 보냄으로써 그를 중앙 정치무대에서 뗴어놓으려는 속셈이었다.
나폴레옹의 프랑스 함대는 13척의 전함과 6척의 프리킷트 함에 총 3만 명의 병력을 태우고, 1798년 4월에 툴롱 항을 떠났다. 이 함대는 이탈리아에 들러 증원군을 태운 뒤, 두 달 뒤인 6월에 말타를 점령했다. 그리고는 호라티오 넬슨의 영국함대를 피해 그해 7월에 알렉산드리아에 출현했다.
-81.나폴레옹의 이집트 침입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