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33706145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1-08-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조선 전기 도자의 연구
서론
제1장 _ 조선 전기 도자사 시기구분
Ⅰ 기존 학설
Ⅱ 새 시기구분
제2장_ 분원의 설치
Ⅰ 설치 의의
Ⅱ 설치 배경
1. 국내 배경
(1) 조선 초 소所의 소멸과 도자 수요의 증가
(2) 왕실에서 금은 기명 사용 제한에 따른 백자 수요의 증가
(3) 국가의례용 백자 수요의 증가
(4) 대명관계에 소용되는 백자의 증가
(5) 왕실 내 청화백자 사용 욕구의 팽배
(6) 관요가 광주에 설치된 배경
2. 대외 배경
(1) 조선왕실에 전래된 명 청화백자의 영향
(2) 조선왕실에 전래된 명 청화백자의 양식
Ⅲ 설치 시기
제3장_ 분원 설치 이전의 공납자기
Ⅰ 1기(1392∼1417년경)의 공납자기
1. 문헌적 고찰
(1) 1392∼1400년경(태조∼정종 연간)
(2) 1400∼1417년경(태종 즉위년∼태종 17년경)
2. 도자양식
(1) 분청사기
(2) 인각백자
Ⅱ 2기(1417∼1468년경)의 공납자기
1. 문헌적 고찰
(1) 1417∼1450년경(태종 17년경∼세종 연간)
(2) 1450∼1468년경(문종∼세조 연간)
2. 도자양식
(1) 1417∼1450년경(태조 17년경∼세종 연간)
(2) 1450∼1468년경(문종∼세조 연간)
제4장_ 분원 설치 이후의 진상자기
Ⅰ 3기(1468∼1544년경)의 진상자기
1. 문헌적 고찰
(1) 1468∼1494년경(예종∼성종 연간)
(2) 1494∼1506년경(연산군대)
(3) 1506∼1544년경(중종 연간)
2. 도자양식
(1) 상감백자
(2) 청화백자
(3) 순백자
(4) 분청사기
Ⅱ 4기(1544∼1592년경)의 진상자기
1. 문헌적 고찰
(1) 1544∼1545년경(인종 연간)
(2) 1545∼1592년(명종∼선조 25년)
2. 도자양식
(1) 청화백자
(2) 순백자
(3) 철화백자
(4) 분청사기
결론
영문초록
제2부 조선 전기 가마터
분청사기의 보고, 계룡산 학봉리 가마
1. 머리말-분청사기, 백토와 추상의 미학
2.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와 출토 자기
3.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 발굴 역사, 1927년부터 2007년까지
4. 계룡산 학봉리 도자기, 동화와 추상의 세계
5. 학봉리 가마의 운영시기
6. 맺음말-한국 도자사에서의 계룡산 학봉리 가마
영문논고
광주시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 발굴 성과와 그 의의
1. 머리말
2. 발굴과 보고서 작성 경과
3. 유구 노출 상황
4. 출토 유물의 종류와 특징 및 명문 예
(1) 출토 유물의 종류와 특징
(2) 명문 예
5. 가마의 운영시기
(1) 1호 가마
(2) 2호 가마
(3) 3호·4호 가마
6. 발굴자료 해석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
7. 발굴 성과와 의의
(1) 도자양식과 편년
(2) 요업체제와 수급체계의 변화
8. 맺음말
영문논고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