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자공예

도자공예

김영원, 강대규 (지은이)
솔출판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자공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자공예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88981337483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5-01-10

책 소개

도자기 발달사는 문명, 문화의 발달사이기도 하다. 고려와 조선의 자기를 통해 도자기의 역사와 양식을 돌아본다. 도자기의 역사와 양식을 상세하게 소개하며, 올컬러도판의 다양한 사진자료를 실어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만의 아름다움을 직접 확인하도록 했다.

목차

저자의 말

1. 하늘의 조화를 빌려 탄생한 고려청자
1. 청자의 시작 - 알아두기 : '순화 4년'이 새겨진 항아리
2. 비색 청자의 완성
3. 상감 청자의 발생
4. 청자에 나타난 문양 - 알아두기 : 금으로 장식한 청자
5. 청자의 수요계층 - 알아두기 : 청자 기와
6. 청자의 제작지 그리고 장인

2. 고려 청자 명품 열전
1. 청자 참외모양 병 ㅣ 2. 청자 음각 연화문 매병 ㅣ 3. 청자 음각 연당초문 매병 ㅣ 4. 청자 음각 초화문 잔과 받침 ㅣ 5. 청자 음각 연당초문 항아리 ㅣ 6. 청자 양각 버드나무.갈대.물새문 정병 ㅣ 7. 청자 양각 대나무마디문 병 ㅣ 8. 청자 양각 연못.동자.화문 대접 ㅣ 9. 청자 양각 모란문 꽃모양 대접 ㅣ 10. 청자 양각 도철문 향로 ㅣ 11. 청자 양각퇴화 연판문 대접 ㅣ 12. 청자 석류모양 주전자 ㅣ 13.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ㅣ 14. 청자 비룡모양 주전자 ㅣ 15. 청자 사자모양 뚜껑 있는 향로 ㅣ 16. 청자 기린모양 뚜껑 있는 향로 ㅣ 17. 청자 오리모양 연적 ㅣ 18. 청자 여자아이모양 연적 ㅣ 19. 청자 투각 칠보문 향로 ㅣ 20. 청자 투각 용머리장식 필가 ㅣ 21. 청자 양각 모란당초문 사발 ㅣ 22. 청자 상감 보자기.모란문 매병 ㅣ 23. 청자 상감 모란문 목이 긴 병 ㅣ 24. 청자 상감 모란.운학문 베개 ㅣ 25. 청자 상감 모란당초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ㅣ 26. 청자 상감 모란문 항아리 ㅣ 27. 청자 상감 모란문 주전자 ㅣ 28. 청자 상감투각 거문등문 상자 ㅣ 29. 청자 상감 운학문 항아리 ㅣ 30.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ㅣ 31.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ㅣ 32. 청자 상감 운학문 대접 ㅣ 33. 청자 상감 갈대.버드나무.물새문 정병 ㅣ 34. 청자 상감 갈대.버드나무.물새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ㅣ 35. 청자 상감 매죽문 매병 ㅣ 36. 청자 상감 매죽학문 매병 ㅣ 37. 청자 상감 구름.봉황문 꽃모양 대접 ㅣ 38. 청자 상감 와옥인물문 편호 ㅣ 39. 청자 상감 운룡문 편호 ㅣ 40. 청자 상감 용.봉황.모란문 뚜껑 있는 합 ㅣ 41. 청자 상감동화 모란문 매병 ㅣ 42. 청자 상감진사채 포도동자문 ㅣ 43. 청자 철화 꽃가지문 매병 ㅣ 44. 청자 철화 버드나무문 병 ㅣ 45. 청자 퇴화 연당초문양 주전자 ㅣ 46. 청자 상감퇴화 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와 승반 ㅣ 47. 청자 철재퇴화 인삼잎문 매병

3. 인류 도자의 절정, 분청사기와 백자
1. 도자의 종류와 특징
2. 도자 역사의 시기구분
3. <세종실록 지리지>의 자기소와 도기소
4. 사옹원 분원
5. 광주 일대의 요지와 출토 자기
6. 조선 도자기의 수요계층

4. 조선 도자기 명품 열전
48. 분청 상감 초화문 네 귀 달린 항아리와 분청 상감 인화 국화문 네 귀 달린 항아리 ㅣ 49. 분청 상감 연꽃.연못문양 매병 ㅣ 50. '정통 오년'이 새겨진 분청 상감 연꽃.물고기문양 세숫대야모양 묘지 ㅣ 51. 분청 상감 모란.버드나무문 병 ㅣ 52. 분청 상감 쌍어문 매병 ㅣ 53. 분청 상감 연당초문 병 ㅣ 54. 분청 상감 인화 운룡문 항아리 ㅣ 55. 분청 인화 태국화문 항아리 ㅣ 56. 분청 조화 모란문 편병 ㅣ 57. 분청 조화 물고기문 편병 ㅣ 58. 분청 박지 연화문 편병 ㅣ 59. 분청 박지 연꽃.물고기문 편병 ㅣ 60. 분청 조화 물고기문 장군 ㅣ 61. 분청 조화박지 연당초문 항아리 ㅣ 62. 분청 조화박지철회 모란문 병 ㅣ 63. 분청 조화박지철재 모란문 자라모양 편병 ㅣ 64. 분청 철회 당초문 항아리 ㅣ 65. 분청 철화 물고기문 병 ㅣ 66. 분청 철회 당초문 장군 ㅣ 67. 백자 반합 ㅣ 68. 백자 항아리 ㅣ 69. 백자 태항아리와 태지 ㅣ 70. 백자 큰 달항아리 ㅣ 71. '태일전'이 새겨진 백자 상감 초화문 잔과 받침접시 ㅣ 72. 백자 상감 연당초문 대접 ㅣ ㅣ73. 백자 상감 모란문 병 ㅣ 74. '성화 병술'이 새겨진 묘지와 백자 상감 초화문 편병 ㅣ 75. 백자 상감 나무줄기문 병 ㅣ 76 . 백자 철회청화 삼산문 산뢰 ㅣ 77. 백자 청화 매죽문 항아리 ㅣ 78. 백자 청화 매죽문 항아리 ㅣ 79. 백자 청화 매조문 항아리 ㅣ 80. '홍치 이년'이 새겨진 백자 청화 송죽문 항아리 ㅣ 81. 백자 청화 송하인물문양 항아리 ㅣ 82. 백자 청화 매화.새문 병 ㅣ 83. 백자 청화 난초문 각병 ㅣ 84. 백자 청화 운룡문 항아리 ㅣ 85. 백자 청화 난초문 표주박모양 병 ㅣ 86. 백자 청화 산수, 매죽문 항아리 ㅣ 87. 백자 청화 까치.호랑이 문 항아리 ㅣ 88. 백자 청화 학.거북문 항아리 ㅣ 89. 백자 청화 운룡문 큰 항아리 ㅣ 90. 백자 청화 국화문 각병 ㅣ 91. 백자 청화 파도.물고기문 병 ㅣ 92. 백자 청화 접시 ㅣ 93. 백자 철회 새끼줄문 ㅣ 94. 백자 철회 매죽문 항아리 ㅣ 95. 백자 철회 죽문 편병 ㅣ 96. 백자 철회 운룡문 항아리 ㅣ 97. 백자 진사 연화문 항아리

도움이 되는 글과 그림
- 고려.조선 가마터 분포도
- 문양 연표 도자사
- 연표
- 용어설명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사진 및 자료 제공

저자소개

김영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문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역사부장, 국립광주박물관 실장, 국립공주박물관·국립제주박물관·국립전주박물관 관장을 역임했고,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소장을 끝으로 37년 4개월 동안의 공직에서 정년 퇴임했다. 저서로는 『조선백자』(대원사, 1991), 『朝鮮前期 陶磁의 硏究』(學硏文化社, 1995), 『조선시대 도자기』(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제1회 고유섭 학술상 수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조선 전기 도자사』(일조각, 2011,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수상) 등이, 번역서로는 『中國陶磁史』(열화당, 1986)가 있다. 공저로는 『장보고와 21세기』(도서출판 혜안, 1999), 『항해와 표류의 역사』(국립제주박물관, 솔, 2003), 『도자공예』(솔, 2005), 『조선 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예경, 2006),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용어: 미술사』(국립중앙박물관, 2006), 『동서의 예술과 미학』, 유라시아북방총서(2)(솔, 2007), 『계룡산 분청사기』(국립중앙박물관, 2007), 『한국미술 전시와 연구』(국립중앙박물관, 2007), 『中國陶磁』(국립중앙박물관, 예경, 2007), 『고려 왕실의 도자기』(국립중앙박물관, 통천문화사, 2008), Korea Ceramic (Stad Antwerpen: Snoeck-Ducaju & Zoon, 1993), Eleganz und Verzicht―Weiβe Keramik im Korea der Joseon-Dynastie (The Korean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Guest of Honour at the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Smile of Buddha (Brussel: Bozsr Books, 2008), The Asian Art Legacy [Alfonso Ojeda(Ed.), Madrid: Ibersaf Industrial, S.L. Spain,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강대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83년 국립박물관에 들어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관을 역임했고, 2005년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고려 청자의 문양」「전남지방 분청자 연구」「분청사기 가마의 조사현황과 구조검토」「고흥 운대리요지의 분포현황과 성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 시대 지방 가마에서는 오랫동안 사용해온 결과 기술적인 문제도 없었고 구하기도 손쉬운 안료인 철사안료로 문양을 표현한 철회 분청이 제작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산지가 충남 공주 계룡산 학봉리 가마이다. 철회 분청은 분청이 전반적으로 쇠퇴해가는 시기에 양산된 것인데, 가마 한 기에서의 생산량은 소량에 지나지 않았다. - 본문 212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