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용서와 상담

용서와 상담

데이비드 G. 베너, 리로이 아덴 (지은이), 전요섭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용서와 상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용서와 상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3411209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2-06-30

책 소개

본서의 기고자들은 인간 곤경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대답을 죄, 죄책감 그리고 용서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구원과 치료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특별히 용서는 관계의 핵심으로 죄와 죄책감의치유를 위한 중심 영역이 된다. 기고자들은 신학과 심리학 입장에서 진지하게 이런 주제들에 대해 의미 있는 관점들을 제시한다.

목차

추천사/ 5
역자 서문/ 7
기고자/ 9
서론/ 13

제1부: 죄
1장. 죄의 심리학적·신학적 관점 / 27
2장. 죄의 심리적·영적 관점/ 47
3장. 임상 현장에서 발견되는 죄와 질병 / 65
4장. 실패의 원인으로서 죄와 질병 / 75
5장. 정신병리와 죄책감·고백 그리고 속죄 / 105
6장. 호바트 마우러의 심리학적·신학적 평가 / 119

제2부: 죄책감
7장. 기독교상담과 죄책감 / 141
8장. 죄책감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기여 / 171
9장. 수치심과 인간 곤경 / 185
10장. 기독교상담과 자기 의 / 211
11장. 상담과 책임감의 발달 / 227

제3부: 용서
12장. 용서의 처벌 모델과 화해 모델 / 241
13장. 용서와 인간관계 / 267
14장. 용서와 가족치료/ 295

결론/ 313
참고문헌/ 317
색인/ 323

저자소개

데이비드 G. 베너 (지은이)    정보 더보기
York University(Ph. D., 임상심리학) 미국 Richmont Graduate University 심리/영성학 명예석좌교수 저서 Spirituality and the Awakening Self: The Sacred Journey of Transformation(Brazos Press, 2012)
펼치기
리로이 아덴 (지은이)    정보 더보기
Lutheran Theological Seminary 목회학 명예교수 저서 Preaching God’s Compassion: Fortress Resources for Preaching(Fortress Press, 2002)
펼치기
전요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 성결대학교(신학 및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전공)/ 학사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수료 및 대학원(기독교교육전공)/ 석사 • 미국 Oral Roberts University대학원(목회상담전공)/ 박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상담전공)/ 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교육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 [경력] • 육군군종장교 소령 • 육군종합행정학교(장교영어과정) 졸업 • 평택대학교(목회상담학)교수 • 캐나다, Trinity Western University대학원 교환교수 • 중국, 인민대학교(人民大學校) 방문교수 • 법무부 보호관찰위원 • 법원행정처 민사정책심의관실 전문심리상담위원 • 숭실고등학교 운영위원장 • 학술진흥유공자 표창(교육부장관) • 최우수 연구교수상(성결대학교 총장) • 월간 「목회와 신학」 국내 상담분야 최고강사 선정 • 성결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장, 진로교육상담소장, 심리상담연구소장, 대학원/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 전공주임교수, 학생지원처장, 교목실장, 신학대학장, 신학전문대학원장, 파이데이아(교양)대학 학장 • 상담교사(교육부) • 직업훈련교사(직업재활/고용노동부) • 진로상담/교정상담 전문영역 수련감독상담사(사단법인 한국상담학회) • 정신보건 전문상담사(한국상담심리학회·한국상담학회) • 가족상담 수련감독상담사(사단법인 한국가정상담연구소) • 임상상담교육(CPE)인턴과정 수련(한양대학교병원) • 정신종양전문가과정 이수(국립 암센터) •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 회장 • 한국복음주의 상담학회 회장 • 한국상담학회 교정상담학회 회장(현) • 한국기독교학문연구회 상담심리분과 회장(현) [저서] •『스스로 해결하는 상담 및 심리치료』 •『상담질문기법』 •『심리상담: 마음다스리기』 •『아하! 행복한 가정이 보인다』 •『효과적인 기독교상담기법』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생각을 바꾸면 행복이 보인다』등 40여 권 [역서]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Integration of Theology & Psychology) •『위기상담학』(Crisis Counseling) •『기독교 상담심리학개론』(Introduction to Psychology) •『가족치료』(Family Therapies) •『희망소식: 불안과 두려움에 맞서고 싶은 사람에게』(Good News about Worry) •『상담받아야만 하는 문제』(What Your Counselor Never Told You) 등 30여 권 [기타] • <반려동물 상실의 심리적 이해와 상담> 외 130편 논문 발표 • KBS-TV 〈여성공감〉, 〈스폰지〉 등 출연, 〈퀴즈 대한민국〉 출제 자문 • CBS-TV 〈성경인물전〉 등 출연 • CTS-TV 〈4인4색〉, 〈로뎀나무 그늘아래〉, 〈미라클〉 등 출연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으로부터 거의 100여 년 전 시그문드 프로이드(Sigmund Freud)시그문드 프로이드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인간 곤경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한 바 있다. 그의 연구를 통해 일부 기독교상담학계에서는 심리학 연구의 결과물을 신학과 연관 지으려는 온갖 노력을 시작했다. 교회와 사회는 줄곧 인간 본성에 관한 이해를 생산적으로 교류해 왔지만 둘 사이의 대화는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합의점을 찾지 못했고 두 가지를 연관시키려는 노력은 전문적인 영역이라고 하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처음 있는 시도였다.
이제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비롯된 통찰을 어떻게 신학에 적용할 수 있는지, 또 그 반대로 신학적 통찰을 어떻게 상담 및 심리치료에 적용이 가능한 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시도했다. 이런 시도는 심리학에서부터 신학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심리학적 연구에 매료된 목회신학자들이 좀 더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인간은 육체를 가진 피조물임과 동시에 하나님의 형상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이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최고의 걸작품인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며 다른 피조물과 관계를 맺는 재능을 부여받았다. 그것은 비록 하나님의 능력에는 비할 수 없겠지만 다른 피조물과 비교해서는 매우 우월한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모습은 완벽하여 그 모습이 거울에 반사되거나 복사본이라기보다는 유사하고 닮은 모습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인간이 피조물로서의 한계와 하나님과 같은 특성을 동시에 지닌 것이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사실 그것은 모순되지 않는다.
고대 히브리인들은 인간이 무엇인가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자유와 관계를 사용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고 주장했다. 그것은 하나님을 창조주요 안내자라는 끊임없는 인식을 포함한다.
그 기본적인 능력에 대한 전통적인 용어는 “타고난 의”라고 한다. 그러나 유대교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실제 상황은 그것과 달랐다. 자유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오용되었고, 관계는 하나님을 무시하든지 아니면 다른 사람을 이용하는 것이 되었다. 이런 왜곡에서 나온 것들은 그것이 무엇이든지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이 아니며, 분명히 인간이 만들어낸 산물이다. 그들은 그것을 “원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인간이 심리적, 영적 타락이라는 근본적이고 특유한 본성을 처음 깨달은 이래 불안은 인간의 본질적이고 보편적인 경험이 되었다. 인간 특유의 불안은 체계적이고 상황적이다. 불안은 사실상 근본적이고 인간 정체성의 본질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모든 사람은 불안에 의해서 발생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에리히 프롬(Erich Fromm)에리히 프롬은 그의 저서 『인간 파괴성에 대한 해부』에서 인간사에 나타나는 불안으로 인한 비극적인 면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존 핀치(John G. Finch)존 핀치는 인간 특유의 불안이 어쩌면 인간 성장에 건설적 원동력이 되는 중요한 영향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워드 힐트너는 인간의 두려움과 하나님의 은혜를 효과적으로 연결시켰다. 바바라 메르쯔(Barbara Mertz)바바라 메르쯔는 인간 특유의 불안을 두려움과 소망소망에 관련지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