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2242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2-08-2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5
저자 서문 / 7
역자 서문 / 9
1부 서론
1장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 / 19
1. 역사적 배경 / 22
2.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 27
2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부정적 응답
2장 단호한 거부: 데이비드 웰스 / 33
1. 근대성에 대한 묘사 / 35
2. 포스트모더니즘의 발흥 / 41
3. 기독교의 반응 / 46
4. 복음주의 신학의 실종 / 50
5. 해결 / 53
6. 평가 / 58
3장 미래로 돌이키라: 토마스 오덴 / 63
1. 근대성의 특징 / 66
2. 포스트모던성 / 73
3. 근대성의 죽음 / 75
4. 평가 / 86
4장 이성에로의 도피: 프란시스 쉐퍼 / 93
1. 상황의 분석 / 95
2. 인간의 곤경 / 102
3. 기독교에 대한 적극적인 변호 / 104
4. 비기독교인에 대한 접근 / 115
5. 평가 / 117
3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긍정적 응답
5장 어떤 복음주의자도 가보지 않은 곳까지 담대히 가보자: 스탠리 그렌츠 / 123
1. 현재 상황에 대한 묘사 / 124
2. 근대 정신에 대한 묘사 / 125
3. 포스트모던성에 대한 묘사 / 127
4. 복음주의에 대한 묘사 / 132
5.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평가 / 134
6. 포스트모던 신학의 윤곽 / 137
7. 탈개인주의 / 139
8. 탈합리주의 / 142
9. 탈이원론 / 144
10. 탈지식 중심 / 145
11. 평가 / 145
6장 신학은 이전의 신학과는 다르다: 리차드 미들턴과 브라이언 왈시 / 155
1. 포스트모던적 상황에 대한 묘사 / 157
2. 실재에 대한 생각 / 158
3. 해체 / 161
4. 거대담론에 대한 불신 / 165
5. 성경적 대답 / 168
6. 자아 / 173
7. 분석적인 요약 / 182
8. 평가 / 183
7장 해체주의적 복음주의: 케이스 퍼트 / 191
1. 지식에 대한 현대적 접근 / 192
2. 포스트모던적 비판 / 196
3. 신학에 대한 포스트모던적인 매개체 탐구 / 198
4. 퍼트의 신고난(theopassional)의 신학 / 204
5. 분석적인 요약 / 216
6. 평가 / 217
4부 결론
8장 포스트모던적 변증학: 해체된 말이 물가로 갈 수 있는가? / 227
색인 / 239
책속에서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서양의 몰락이다. 19세기에 이러한 몰락을 예견한 목소리가 있기는 하였지만 20세기에 이러한 목소리는 훨씬 더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우리가 나란히 보고 있는 것은 쇠락의 요소와 부흥의 요소이다. 쇠락의 요소는 계몽주의적인 정향을 가진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고려하고 있는 듯하다. 이들에게 진보라고 하는 것은 항상 긍정적이다. 반면에 유대 기독교적인 일련의 가치를 가지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해체 가운데서 실체론적 가치평가로 나아가는 첫 단계를 본다. 실체론적 가치평가 없이는 부흥이 불가능하다.
웰스는 “심리치료 시대의 묘책이 신앙고백을 대치하였으며, 설교가 심리화 되었으며, 기독교 신앙의 의미는 개인적이요 사적인 것이 되었다. 고백은 그 핵심이 단칼에 제거되었고 반성은 주로 한 사람의 자아에 대한 생각으로 환원되었다”라고 말한다. 목회자는 그 문화가 가장 선망하는 두 가지 역할을 통해서 자신의 목회 사역과 기능을 규정하고자 한다. 그것은 관리자와 심리치료사이다. 이것은 신학이 축소된 것이다. 학문세계에서의 반성과 교회에서의 실천도 이 두 가지 기능에 집중하고 있다.
오덴이 근대성에 대하여 환멸을 느끼고 나서 만족스럽다고 발견한 기독교의 유형은 고전적인 정통 기독교이다. 오덴은 고전적인 정통 기독교를 교회가 존재해 온 역사적인 시대를 통틀어 대다수 교회가 견지하였던 합의된 핵심적인 신념들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기독교 초기 수 세기 동안의 종교회의를 통한 신경들과 같은 그런 문서들에 나타나 있다. 포스트모던적인 정통성의 활력있는 근원이 될 것으로 입증이 된 것이 바로 주류 기독교에 의해 오래도록 간과되고 무시되었던 이 자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