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

주도홍, 이은선, 안인섭, 서창원, 조병하, 이승구, 이신열, 박찬호, 임종구, 우병훈, 유정모, 조용석, 유디스 베커, 페터 오피츠 (지은이)
킹덤북스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58862626
· 쪽수 : 610쪽
· 출판일 : 2022-10-25

목차

추천사 6
프롤로그 츠빙글리의 생애와 신학 사상 12
주도홍(츠빙글리 종교개혁 기념대회 대회장, 전 백석대학교 부총장)

01. 울리히 츠빙글리와 개혁교회의 역사 40
Ulrich Zwingli und die Geschichte der reformierten Kirche
유디스 베커(Prof. Judith Becker)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교수(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in Germany)
Prof. Dr. Judith Becker, HU Berlin/IEA Nantes

02. 1523년 츠빙글리의 논쟁과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교회의 시작 86
Zwinglis Disputationen von 1523 und die Anfänge einer auf
“Gottes Wort” hörenden Kirche
페터 오피츠(Prof. Peter Opitz)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교수(University of Zurich in Switzerland)

03. 예배, 어떻게? 118
주도홍(총신대학교 초빙교수)

04. 정의란 무엇인가? 150
이은선(안양대학교 교수)

05. 통일, 어떻게? 184
안인섭(총신대학교 교수)

06. 설교, 어떻게? 212
서창원 교수(전 총신대학교 교수)

07. 츠빙글리와 루터의 성만찬 논쟁에 나타난 그리스도 신앙 이해 248
(Understanding the Faith in Christ in Zwingli and
Luther’s Controversy for the Lord’s Supper)
조병하(전 백석대학교 교수)

08. 불링거와 칼빈의 만남 284
이승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09. 국가와 가난한 자들에 대하여 326
이신열(고신대학교 교수)

10.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하나? 368
박찬호(백석대학교 교수)

11. 성찬식 어떻게 해야 하나? 398
Reflections on Zwingli and Calvin’s Sacraments
임종구(대신대학교 교수)

12. 그리스도인의 삶, 어떻게? 432
우병훈(고신대학교 교수)

13. 참 자유는 무엇인가? 470
유정모(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14. 기독교 평화, 어떻게? 504
Zwingli’s Understanding of Freedom as an impulse
for Christian Peace Ethics for the Korean Peninsula
조용석(안양대학교 교수) Yong Seuck Cho

15. 어떻게 살아야 하나? 530
주도홍(총신대학교 초빙교수)

16. 하나님의 언약, 어떻게? 566
이은선(안양대학교 교수)

에필로그 재발견된 츠빙글리, 한국 교회에 말하다. 606
안인섭(츠빙글리 종교개혁 기념대회 편집위원장, 총신대학교 교수)

저자소개

이승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개혁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로서 현재 합신의 초대 조직신학 교수님이셨던 신복윤 교수님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합신의 석좌 교수직인 남송 석좌 신학 교수(Namsong Professor of Divinity)로 있다. 총신대학교에서 기독교 교육학(B.A)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윤리학과 가치 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MA), 합동신학원을 졸업하였고, 영국 쎄인트 앤드류스 대학교(The University of St. Andrews) 신학부에서 연구(research)에 의한 신학석사(M. Phil., 1985) 학위와 신학박사(Ph. D., 1990) 학위를 받았다. 미국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에서 연구원(Research Fellow)로 있다가(1990-1992) 귀국하여, 웨스트민스터신학원(1992-1999)과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1999-2009)에서 조직신학 교수, 부총장을 역임하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를 역임하였고(2009-2023), 한국장로교 신학회 회장(2016-2018), 한국개혁신학회 회장(2018-2020),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2020-2022), 현재는 한국성경신학회 회장(2023- )으로 섬기고 있다. 그 동안 다음 같은 책을 내었다. 『현대 영국 신학자들과의 대담』 (대담 및 편집). 서울: 엠마오, 1992. Kierkegaard and Barth. Seoul: The Westminster Theological Press, 1994. 『개혁신학에의 한 탐구』. 서울: 웨스트민스터 출판부, 1995, 재판, 2004. 『교회론 강설: 교회란 무엇인가?』. 서울: 여수룬, 1996, 2판, 2002. 개정판. 서울: 나눔과 섬김, 2010. 4쇄, 2016. 재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진정한 기독교적 위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1. 서울: 여수룬, 1998, 2002. 개정판. 나눔과 섬김, 2011. 2쇄, 2013. 3쇄, 2015. 재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2. 『성령의 위로와 교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2. 서울: 이레서원, 2001. 2쇄, 2003, 개정판, 2009. 개정 2쇄, 2013. 개정 3쇄, 2015, 5쇄, 2023. 『인간 복제: 그 위험한 도전』. 서울: 예영, 2003. 개정판, 2006. 『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서울: SFC, 2003, 개정판 5쇄, 2009. 재개정, 2014, 2016, 2023. 『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라보는 21세기 한국 사회와 교회』. 서울: SFC, 2005. 2쇄, 2008. 5쇄, 2016. 개정판. 서울: CCP, 2018. 『사도신경』. 서울: SFC, 2005, 개정판, 2009. 재개정판, 2013. 2쇄, 2015. 5쇄, 2023. Kierkegaard on Becoming and Being a Christian. Zoetermeer: Meinema, 2006. 『21세기 개혁신학의 동향』. 서울: SFC, 2005, 2쇄, 2008. 개정판, 서울: CCP, 2018. 『한국 교회가 나아갈 길』. 서울: SFC, 2007, 2011. 개정판, 서울: CCP, 2018. 『코넬리우스 반틸』. 서울: 도서출판 살림, 2007, 2012. 『전환기의 개혁신학』. 서울: 이레서원, 2008, 2쇄. 3쇄, 2016. 『광장의 신학』.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0. 2쇄, 2010. 『우리 사회 속의 기독교』.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0. 2쇄, 2010. 『개혁신학 탐구』. 서울: 하나, 1999. 2쇄, 2001. 개정판,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12. 재개정판, 2020. 『톰 라이트에 대한 개혁신학적 반응』.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13. 2쇄, 2013. 『거짓과 분별』. 서울: 예책, 2014. 『우리 이웃의 신학들』.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4. 2쇄, 2015. 『위로 받은 성도의 삶』.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3. 서울: 나눔과 섬김, 2015. 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묵상과 기도, 생각과 실천』.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5. e-book, 서울: 말씀과 언약, 2023.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서울: SFC, 2018. 2쇄, 2022. 『하나님께 아룁니다』.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교회, 그 그리운 이름』. 서울: 말씀과 언약, 2021. 『데이비드 웰스와 함께하는 하루』. 서울: 말씀과 언약, 2021. 『성경적 종말론과 하나님 백성의 삶』. 서울: 말씀과 언약, 2022. 재판, 2023. 『변증목회: 그 가능성과 실제』. 서울: 말씀과 언약, 2023. 『벨직신앙고백서 강해』. 서울: 말씀과 언약, 2023. 『교리사』.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23. 『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의 삶』. 서울: 말씀과 언약, 2024.
펼치기
주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백석대학교 서울캠퍼스 부총장을 지낸 송천(松川) 주도홍은 1996-2019년까지 백석대학교에서 역사신학 정교수로 봉직하다 정년으로 퇴임하였다. 총신대학교에서 개혁신학을 공부한 후, 독일 보쿰대학교 Ruhr-Universitaet Bochum 신학부에서 17세기 독일과 네덜란드의 개혁교회 역사인 개혁교회 경건주의 연구로 신학석사(Mag.theol. 1990년)와 신학박사(Dr.theol. 1993년) 학위를 취득했다. 『새로 쓴 세계교회사』(1996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개혁교회 경건주의』, 『통일, 그 이후』, 『통일로 향하는 교회의 길』, 『설교』, 『페네라의 빵』(수필집) 등 20여 권의 저서와 『모차르트, 음악과 신앙의 만남』(한스 큉),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학』(콘라드 체리) 등의 역서가 있다. 지금까지 저자가 걸었던 주요 길을 돌아보면, 독일에서 도르트문트제일교회 담임목사(고신, 1982-1992년), 미국에서 시카고 개혁교회(현, 예본교회) 담임목사(CRC, 1992-1996년), 한국에서 광주 아델리안교회 설교목사(합동, 2006-2008년, 20014-20016년), 기독교 통일학회 설립 및 회장(2006-2014년), 명예회장(2014년-현재), 한국개혁신학회 회장(2014-2016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백석) 남북위원장(2016-2018년), 아시아복음주의협의회(AEA) 신학위원장(2017-현재), 개혁교회종교개혁 500주년기념대회 대회장(2018-2020년)을 역임했고, 사단법인 평화통일연대 공동대표(2020- 현재), 정년 후 세계 선교사들의 신학교육을 돕는 국제개발대학원(GSID)의 교수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조병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0년 3월6일 목사안수를 받은 조병하는 이어서 4년동안 군목으로 목회하였다. 1986년 2월 독일로 유학을 떠나, 1994년 12월21일 독일 튀빙겐대학에서 신학박사학위(Dr.theol,)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1995년부터 국내 여러대학과 대학원에서 강의해오다. 2001년 3월부터 현재까지 백석대학교 역사신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국내 주요 신학회의 임원과 회원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와 역서는 아래와 같다. 저서 Trinitdtslehre und Christologie bei Ambrosius(박사학위논문,1994) <마르틴 루터와 개혁사상의 발전: 종교개혁사연구1>(1517-1530년 이전)(한들출판사,2003) <신촌교회 50년사>(1955-2005)(2005) <교부들의 신학사상1>(도서출판 그리심,2005) <교부들의 신학사상2>(도서출판 그리심,2015) 그밖에 5권의 공동저서들 번역서 <신학전문용어 및 외래어 사전>(크리스천다이제스트사,1998) <고대 그리스도교의 역사>(기독교문사,2003) <테르톨리아누스부터 암브로시우스까지>(호서대학교출판부,2013)
펼치기
박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미국 칼빈신학교와 풀러신학교에서 공부하였다.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과 현대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창조론오픈포럼의 공동대표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복음주의신학의 대변자 칼 헨리』(도서출판 살림, 2006), 『주의 성령을 거두지 마옵소서』(킹덤북스, 2011), 『개신교는 가톨릭을 이길 수 있을까』(CLC, 2017), 『칼뱅의 기독교 강요 읽기』(세창미디어, 2018) 등이 있다. 역서로는 밀라드 에릭슨의 『기독교신앙과 포스트모더니즘』(CLC, 2012), 『복음주의 신학 논쟁』(CLC, 2014), 『현대신학의 지형도』(새물결플러스, 2016), 『기독교를 위한 변론』(새물결플러스, 2016), 「현대 신학자 연구』(공역, CLC,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우병훈 (감수)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10년간 교리를 가르치고 강단에서 매주 설교하며 실제적인 설교쓰기를 고민한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자원공학과 서양고전학을 공부하고 고려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했다. 미국 칼빈신학교(Th.M, Ph.D)에서 종교개혁 신학과 현대 신학 및 철학을 공부하였고, 현재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구원, 그리스도의 선물》, 《구속사적 설교》, 《교리 설교》(이상 다함), 《교회를 아는 지식》, 《기독교 윤리학》(이상 복있는사람), 《룻기, 상실에서 채움으로》(좋은씨앗), 《처음 만나는 루터》(IVP)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교부들과 성경 읽기》(공역, 터치북스)가 있다.
펼치기
조용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동대학원 및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보쿰대학교에서 스위스 종교개혁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HK연구교수이다. 저서로는 『16세기 유럽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 역서로는 『리콜도의 사라센 논박 역주』, 『마르틴 루터의 꾸란 주석 역주』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수도사 윌리엄 루브룩의 몽골 선교여행 연구-『순례기』 (Itinerarium) 연구”, “수도사 플라노 드 카르피니의 『몽골인들의 역사』(Ystoria Mongolorum) 연구-몽골방문의 목적 및 저술의도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신열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개혁주의학술원장 현재,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교수이며, 신학대학장 및 개혁주의학술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칼빈신학의 풍경』, 『종교개혁과 과학』,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윤리학』이 있으며, 역서로는 『과학의 영혼』(저자 : 낸시 피어스 & 찰스 택스턴), 『성찬의 신비』(저자 : 키이스 매티슨), 『구약 윤리학 ? 구약의 하나님은 윤리적인가?』(저자 : 폴 코판) 등이 있다.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 오순절 및 은사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판, 칼빈신학의 현대적 함의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개혁주의학술원은 한국 교회와 대학, 그리고사회를 위한 역사적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의 새로운부흥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본원은 칼빈을 위시한 개혁자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다시 원전으로(ad fontes) 돌아가는 연구 운동을 전개하여 개혁주의 신학의 본래적 정체성과 생명력을 회복시키고 한국 개혁신학의 창의적 연구와 신학적 자립을 위한 길을 열어가도록 노력하는 학술원이다.
펼치기
안인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B.A.)와 총신대 신대원(M.Div.)을 거처,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신학교인 캄펜신학대학교(Kampen Theological University)에서 석사(Drs. Theol.)및 박사(Dr. Theol.)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 총신대학교 신대원 교수로 종교개혁사와 근현대교회사 등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칼빈, 종교개혁, 근세 칼빈주의 역사, 네덜란드 개혁주의, 어거스틴, 기독교와 통일 등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는 종교개혁500주년기념사업회(Refo500)의 아시아 책임자 및 아시아신학연맹(ATA)의 중앙이사(Board member), 한국칼빈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성경적 평화통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기독교통일학회 회장, 남북관계발전위원회(통일부 장관산하) 위원 그리고 남북사랑네트워크(사) 이사장 등으로 봉사했다. <저서> 『한권으로 읽는 교회사』 (서울: GMS, 2022). 『칼빈: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열정의 사람』 (서울: 익투스, 2015).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를 위한 신학』 (서울: 그리심, 2009). (한국 기독교출판문화상 수상, 2010). 『목포새한교회 120년사: 1897-2017』 (용인: 킹덤북스, 2017) (공저).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서울: 박영사, 2020) (공저) 등.
펼치기
페터 오피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위스 취리히 대학 신학부 교회사 교수는 현재 신학부 학장이며 종교개혁 이후 현대에 이르는 개혁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또한 취리히 대학 스위스 종교개혁 연구소 소장으로서 왕성하고 깊이 있는 학문 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임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신대학교를 거쳐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시절 푸른초장교회를 개척하여 오늘까지 봉직하고 있다.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Th. M., Ph. D.)에서 칼뱅 원전 연구의 대가 박건택의 지도를 받아 칼뱅의 제네바 목사회 회의록(RCPG)을 연구하였다. 대신대학교에서 교회사 교수로 후학들을 가르치며 세계 개혁주의 협의회(WRF) 이사와 제자훈련 목회자 네트워크(CAL-NET) 전국 대표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칼빈과 제네바 목사회』(부흥과 개혁사, 2015), 『단단한 교회』(국제제자훈련원, 2018), 『강구가다』(홍림, 2019), 『설교자의 인생』(다함,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유정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역)서로는 『John Edwards(1637-1716) on Human Free Choice and Divine Necessity』, 『Glory to the Three Eternal』, 『청교도 인물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교육학과 신학을 전공하고 총신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양대학교에서 교회사 교수로 가르치고 있다. 안양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단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개혁신학회 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서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처음 신앙을 가지게 되었을 때 하나님의 귀한 섭리 가운데 정통보수주의 신학으로 무장된 교회에 출석하게 되었다. 저자는 왕십리교회에서 배운 칼빈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총신대학에서 그리고 신학대학원에서, 또 오직 복음 선포에 충실한 설교자들을 길러내고자 로이드 존스 목사가 설립한 런던신학교에서, 그 이후 장로교회의 창시자인 존 녹스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신학교와 뉴 칼리지에서 정통장로교회의 보수 신학을 더 깊이 숙독하며 온몸으로 익힌 설교자이다. 성경에 충실한 교회가 많아져야 진리의 말씀에 목숨 걸 일군들을 배출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에 교수사역보다 목회사역에 치중한 그는 하남시에서, 그리고 삼양동에서, 심지어 고창에서까지 복음이 필요로 하는 곳에서 목양에 전념하였다. 모교인 총신에서는 91년부터 개혁주의 정통 신학에 충실했던 청교도들, 언약도들을 소개하고자 강사로 시작하여 겸임교수로 그리고 2014년부터 전임교수로 지금까지 섬기며 올해 은퇴를 앞두고 있다. 학교를 섬긴 30주년을 기념하여 오직 성경, 그리스도의 왕권 및 가장 성경적인 장로회주의 원리를 목숨 걸고 지킨 언약도들의 영적 리더십을 한국의 장로교회 앞에 내놓게 되었다. 저자는 한국의 교회 강단이 성경에 충실한 강단이 되게 하려고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을 1992년에 설립하여 지금까지 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