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2310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12-09-3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제1과 서 론
제2과 아람어의 역사에 대한 짧은 소개
제3과 아람어 소개
제4과 자 음
제5과 모 음
제6과 명사와 정관사
제7과 동사 체계
제8과 G 완료형
제9과 G 분사
제10과 단 어
제11과 인칭대명사와 ?????
제12과 전치사
제13과 대명접미사
제14과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
제15과 G 미완료형
제16과 형용사와 속격 구문
제17과 수 사
제18과 G 명령형과 부정사
제19과 D 동사 (파엘)
제20과 H 동사 (하펠)
제21과 약동사
제22과 불규칙 동사
제23과 구문론
제24과 수동형
제25과 재귀 동사
제26과 기타 동사 활용
제27과 다니엘 7장
제28과 비 문
제29과 서 신
제30과 사해 두루마리
제31과 미드라쉬
제32과 탈 굼
나가는 말
패러다임
단어 모음
문제 풀이
책속에서
아람어는 아람 민족보다 훨씬 오래 살아 남았을뿐 아니라 여러 민족에 의해 사용되면 서 수많은 문헌을 남겼습니다. 역으로 이 언어가 오래도록 살아남게 된 이유는 다양한 민족이 아람어를 차용하여 사용하면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 방대한 양의 문헌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북서 셈어의 동사 체계는 대부분 두 개의 시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완료형으로 접미사를 덧붙여 활용하고, 다른 하나는 미완료형으로 접두사를 위주로 하여 경우에 따라 접미사를 덧붙여 활용합니다.(반면 동셈어인 아카드어는 두 시제 모두 접두사로 활용한다.) 이미 살펴 본 완료형에 덧붙여 이 장에서는 미완료형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람어 미완료형은 모음에서 약간의 차이를 빼면 히브리어의 미완료형과 거의 흡사합니다.
현재 발견된 아람어 비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이스라엘 분열왕국 시대에 현재의 북 시리아 지역에서 기록된 비문들입니다.1 이들 중 몇몇은 주전 9세기와 8세기 어간 ‘사므알’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작은 왕국의 왕들이 쓴 것입니다. 당시 아람인들은 이 지역에 여러 개의 작은 나라를 세우고 있었습니다. 성경은 이들 중 다메섹, 소바, 벳 르홉, 마아가 등에 대해 언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