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294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3-06-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형동 박사: 부산장신대학교 신약학 교수)·5
시리즈 서문 ·7
저자 서문·9
역자 서문·11
약어표·13
◆ 서론
1. 고린도 시·22
2. 바울과 고린도 교인들·28
3. 문학적 문제점들·39
4. 고린도에서의 바울에 대한 반대·60
5. 저술 연대·75
◆ 본문 주석
Ⅰ. 해결된 위기에 대한 바울의 반응(1:1-9:15)·83
1. 서문(1:1-11)·83
1) 문안인사(1:1-2)·83
2) 감사(1:3-11)·87
2. 응답을 다루는 본문(1:12-7:16)·103
1) 바울의 여행 계획 변경(1:12-2:4)·103
(1) 정직성에 대한 일반적 변호(1:12-14)·103
(2) 여행 계획의 변경에 대한 변호(1:15-2:4)·107
2) 근심하게 한 자에 대한 용서(2:5-11)·119
3) 디도를 기다림(2:12-13)·123
4) 승리로 인도됨(2:14-17)·125
5) 추천서(3:1-3)·131
6) 새 언약의 일꾼(3:4-6)·134
7) 대조되고 대비되는 두 사역(3:7-18)·136
(1) 출애굽기 34:29-32의 주해(3:7-11)·138
(2) 출애굽기 34:33-35의 주해(3:12-18)·140
8) 바울이 사역 가운데 보여준 처신(4:1-6)·148
9) 질그릇에 담긴 보배(4:7-12)·154
10) 믿음의 마음(4:13-15)·157
11) 믿음의 목표(4:16-5:10)·159
(1)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4:16-18)·159
(2) 하늘에 있는 집(5:1-10)·162
대응(5:11-15)·172
(2)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화해 행위(5:16-21)·179
(3) 화해를 위한 간청(6:1-13)·188
(4) 거룩한 삶에 대한 요청(6:14-7:1)·195
(5) 화해를 위한 추가적 호소(7:2-4)·203
13) 위기가 해결된 이후의 바울의 기쁨(7:5-16)·206
3. 헌금 문제(8:1-9:15)·213
1) 마게도냐인들의 사례(8:1-6)·216
2)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에게 다른 사람을 능가하라고 권
면함(8:7-15)·220
3) 헌금을 수령할 사람들을 위한 추천(816-24)·228
4) 준비하여 수치를 피하라(9:1-5)·234
5) 넉넉한 마음가짐에 대한 권고(9:6-15)·236
Ⅱ. 새로운 위기에 대한 바울의 대응(10:1-13:14)·245
1. 대응의 몸체(10:1-13:10)·247
1) 진지한 간청(101-6)·248
2) 바울이 비난에 대해 대응함(10:7-11)·253
3) 적절한 한계 안에서의 자랑(10:12-18)·258
4) 고린도 교인들의 어리석음(11:1-6)·263
5) 재정적 보수의 문제(11:7-15)·269
6) 어리석은 언사(11:16-12:13)·275
(1) 나를 어리석은 자로 받으라(11:16-21a)·275
(2) 바울의 유대적 계보와 사도로서 경험한 시련들
(11:21b-33)·279
(3) 환상과 계시(12:1-10)·288
(4) 사도의 표식(12:11-13)·300
7)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에게 부담주기를 거절함(12:14-
18)·303
8) 바울의 어리석은 언사의 진정한 목적(12:19-21)·308
9) 바울이 그의 세 번째 방문에서 강한 조치를 취하겠다
고 위협함(13:1-10)·312
2. 결론(13:11-14)·321
1) 마지막 권면과 인사(13:11-13)·321
2) 축도(13:14)·324
추가 주석
1. 바울이 아시아에서 겪은 환난·100
2. 2:14에 있는 트리암뷰온티 베마스(thriambeuonti b?mas)의 의미·129
책속에서
고대 고린도 시의 아스클레피오스 사당에서 발생한 그러한 치료가 사실로 인정된다면, 우리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어떤 이가 다가와 그 와 같은 치료를 행할 수 있다고 주장할 때, 고린도 교인들이 그에게 깊은 인상을 받을 수 있는 경향이 있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고린도에 있던 바울의 대적자들은 그러한 능력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하였고, 바울은 그 분야에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고 암시하였다.
바울과 고린도 교인들 사이의 관계성에 있어서 가장 당혹스러운 문제들 가운데 하나는 그가 쓴 서신의 수와 그 모든 서신들이 보존되었는지 여부(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에 대한 것이다. 다양한 견해들이 폭넓게 제시되고 있다. 이 주석에서 채택된 사건들의 재구성을 지지하는 견해는 바울이 고린도에 있는 교회에게 다섯 통의 편지를 썼다고 본다.
벌 받는 것으로 번역된 에피티미아(epitimia)는 신약성경에서 오직 여기에서만 사용되나 외경적 문서들 안에서는 법적 처벌이나 상업상의 제재 등의 부과에 대해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그 어휘의 사용은 전자의 의미에 더 가까우며 고린도교회 회중이 근심하게 한 자에 대하여 공식적으로 그리고 사법적인 방식으로 대응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