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6447
· 쪽수 : 636쪽
· 출판일 : 2024-02-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형동 박사/부산장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 5
시리즈 서문 ··························································· 6
저자 서문 ····························································· 8
역자 서문 ····························································11
약 어 표 ····························································13
참고 문헌 ····························································19
서론
1. 복음서들 가운데서 마가복음의 위치 ················ 38
2. 마가복음의 특징 ································· 43
3. 마가복음의 기원 ································· 45
4. 신학적 강조점 ··································· 67
5. 마가복음의 구조 ································· 77
◆ 본문 주석
I. 복음의 시작(1:1-13) 85
1. 표제어(1:1) ·····································86
2. 예수님과 세례 요한(1:2-8) ························89
3.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된 예수 그리고 사탄과의 충돌(1:9-13) ··97
II. 예수님의 메시아적 권위(1:14-8:21) 103
1. 하나님 나라와 예수님의 권위(1:14-3:6) ···········103
1)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포(1:14-15) ········104
2) 제자들을 향한 예수님의 부르심(1:16-20) ···········107
3) 예수님의 가르침, 치유와 귀신 축사(1:21-45) ·······112
4) 종교지도자들과의 논쟁(2:1-3:6) ··················123
2. 열두 제자와 하나님의 나라(3:7-6:6) ··············148
1) 예수님의 사역: 요약(3:7-12) ······················149
2) 예수님이 열두 제자를 부르심(3:13-19) ·············153
3) 예수님의 가족, 대적자들과 권세(3:20-35) ··········161
4)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유들(4:1-34) ················171
5) 예수님의 권세에 대한 증거(4:35-5:43) ·············189
6) 나사렛에서의 거부(6:1-6) ························216
3. 그리스도 예수님과 열두 제자의 선교(6:7-8:21) ·····224
1) 열두 제자의 선교(6:7-13) ························224
2) 세례 요한의 처형(6:14-29) ·······················229
3) 오천 명을 먹이심(6:30-44) ·······················241
4) 물 위를 걸으심(6:45-52) ·························249
5) 겐네사렛에서 병자를 고치심(6:53-56) ·············255
6) 전통과 정결에 대한 논쟁(7:1-23) ··················257
7) 수로보니게 여인의 믿음(7:24-30) ·················273
8) 귀먹고 말 더듬는 사람의 치유(7:31-37) ············279
9) 사천 명을 먹이심(8:1-10) ························284
10) 표징을 구하는 바리새인들의 요구(8:11-13) ········287
11) 바리새인과 헤롯에 대한 경고(8:14-21) ············291
III. 예수님의 메시아적 고난(8:22-15:47) 297
1. 메시아의 고난에 대한 계시(8:22-10:52) ···········298
1) 베다니에서의 시각장애인의 치유(8:22-26) ··········299
2)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시다라는 베드로의 선언(8:27-30) ·303
3) 첫 번째 수난과 부활에 대한 예언(8:31-33) ·········308
4) 제자도의 조건(8:34-9:1) ·························314
5) 예수님과 엘리야의 변모(9:2-13) ··················322
6) 예수님이 귀신 들린 아이에게서 귀신을 쫓아내심(9:14-29) ···329
7) 예수님의 두 번째 수난과 부활에 대한 예언(9:30-32) ···338
8) 제자도에 대한 가르침(9:33-50) ···················340
9) 이혼에 대한 가르침(10:1-12) ·····················354
10) 예수님이 아이들을 축복하심(10:13-16) ···········361
11) 부자와 제자도(10:17-31) ························364
12) 예수님의 세 번째 수난과 부활에 대한 예언(10:32-34) ·375
13) 자기 희생적 섬김의 위대성(10:35-45) ·············378
14) 예수님이 여리고에서 바디매오를 고치심(10:46-52) ···387
2. 예루살렘에서의 대결(11:1-13:37) ·················392
1) 성전에 계신 예수님(11:1-12:44) ··················393
2) 감람산에서의 예수님(13:1-37) ····················465
3.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14:1-15:47) ·········500
1) 예수님의 체포를 위한 준비(14:1-11) ···············501
2) 최후의 만찬(14:12-31) ···························513
3) 감람산에서(14:32-52)····························528
4) 산헤드린 앞에서 예수님의 재판(14:53-72) ··········543
5) 본디오 빌라도 앞에서 예수님의 재판(15:1-20) ······569
6)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15:21-32) ··················592
7) 예수님의 죽음과 장례(15:33-47) ··················605
IV. 예수님의 부활이 선포됨(16:1-8) 623
1. 예수님의 무덤에 있는 여인들(16:1-5) ·············624
2. 예수님의 부활에 대한 선포(16:6-7) ···············627
3. 여인들의 반응(16:8) ·····························630
책속에서
마가복음이 오랜 기간 동안 소홀히 대해졌던 한 가지 주요 이유는 마태복음이 첫 번째로 기록되었고 마가복음은 마태복음을 축약한 것으로, 누가가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을 사용했다는 어거스틴(354-430)에 의해 제시된 견해 때문이었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전이단계가 홀츠만(Heinrich Juius Holtzmann)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그는 1863년 마가복음이 첫 번째로 기록된 복음서였다고 주장했다. 이 견해가 폭넓게 수용되었고, 그 결과로 마가복음은 예수 연구에 있어 기초 본문(foundational text)이 되었다.
마가에 의한 아람어적 용어들의 번역과 유대 관습에 대한 설명은 특히 아람어를 말하지 않는 이방인 그리스도인들과 연관이 있다.
동시에 그 복음서는 (지중해) 동쪽 지역에서 아람어를 말하는 이들에 의해 읽혀졌을 것임에 틀림없고, 그들로 인해 높이 평가되었을 것이다. 그러할지라도, 그들에게는 아람어 용어들의 번역이 필요 없었을 것이고, 1세기의 모든 교회에서는 아니겠지만, 대부분의 교회에서 존재했던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 의해서도 유대 관습들에 대해 설명이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마가는 요한의 활동을 전파한다(preaching)는 동사로 묘사한다. 헬라어 용어인 ‘케뤼소’(kēryssō)는 대중적 영역에서, 종종 법정(courts of law)의 상황에서 (공식적으로 하는) 선포를 함의하는데, 여기에는 그 선언의 내용에 대해 반응하라는 요구가 내재되어 있다.
선지자들은 그 동사를 회개(욘 1:2; 3:2, 4) 및 메시아적 용서(사 61:1)와 관련하여 사용한다. 신약성경에서 그 동사는 메시아 예수님 안에 발현되는 하나님의 구원 행동에 대한 선포를 위한 표준적 용어다. 사람들이 그분의 선포(preaching)로 인해 요한에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