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34113140
· 쪽수 : 670쪽
· 출판일 : 2013-09-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병오 박사,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장) _ 5
추천사 (아서 칼리안드로 박사 외 9명) _ 9
서문(루스 스타포드 필, 제임스 C. 와이트젠, 제인 사이몬, 아서 칼리안드로) _ 11
역자서문 _ 21
감사의 글 _ 27
제1부 변화를 지원하기
제1장 변화의 시기에 _ 41
새롭게 보는 방식 | 변화와 변형 | 새 포도주를 위한 새 부대 | 정원사가 되라 |
안내 원리들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2장 공동체의 토대 _ 63
위대한 자원인 공동체 | 허위 공동체와 진실 공동체 | 두려움 없이 정직으로 소
통하는 공동체 | 갈등을 해결하는 공동체 | 자신을 사랑하는 자가 다른 이를 사
랑하는 공동체 | “나”와 “당신”사이에 있는 공동체 | 토양 돌보기 | 신앙 전통에
서 발견된 유산 | 정원사로서의 공동체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3장 정원사로서 돌보는 자와 상담자 _ 117
유연한 경청 | 자기 자신 경청하기 | 다른 이들을 위해 공간 만들기 | 정서적 반
응과 상상력 이용하기 | 용기로 투사 작용 대면하기 | 기도 행위로서의 경청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2부 전인성을 조성하기
제4장 변화 조성에 대한 안내 _ 161
치유 조성하기 | 공동체 돌봄으로 변화 지원하기 | 문제를 만들지 않는 법을 배
우기 | 돌봄과 상담에 다리 역할을 하는 설교와 기도 | 신앙 공동체: 삶에 긍정
적인 현장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5장 공동체 돌봄과 상담과 위탁 준비하기 _ 201
자아 | 쾌적하고 안전한 상담 공간 | 통전성 네트워크 | 개인들 | 조직기관들 |
단체들 | 돌봄과 상담 목회를 위한 계획 | 상담 목회를 위한 보험정책 | 정보 수
집 방법 | 위탁 상담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6장 해결중심 방법으로 지원되는 변화 _ 243
해결중심 방법 실행 | 다섯 단계의 해결중심 치료 모델 | 공동체 상담자들에 대
한 도전 | 영적 도구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3부 삶의 여정을 위한 돌봄과 상담
제7장 생애의 여러 시작과정 돌봄과 상담 _ 301
가족 형성과 공동체 돌봄과 상담 | 창조의 기적과 공동체 돌봄과 상담 | 변화의
시기에서 현대 가족 돌보기 | 혼전 돌봄 | 미혼의 삶 돌보기와 축하하기 | 중년
의 삶 재인식하기와 공동체 돌봄 | 노년의 삶 재출발하기와 공동체 돌봄 | 추가
도서와 참고자료
제8장 생애의 여러 마감과정 돌봄과 상담 _ 377
이혼과 절교로 인한 상실 | 자의적 혹은 타의적 실업으로 인한 상실 | 공동체
환경 변화로 인한 상실 | 생의 마감에 대한 공동체 돌봄: 두려움 직면하기 | 병
자와 말기환자를 위한 공동체 돌봄 | 죽음을 맞이한 사람 돕기: 상실과 변형의
시기 |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이요 | 애도 중에 있
는 자를 위한 공동체 돌봄 | 추가 도서와 참고 자료
제9장 일상생활 돌봄과 상담 _ 453
성가시게 하는 자갈 우화 | 심각한 위기상황 중재 | ABC 위기관리 과정 | 스트
레스에 대한 대응 | 공동체 돌봄과 상담: 적절한 중재 제공하기 | 스트레스와
성적 갈등 | 중독의 결과 | 학대의 고통 | 평화의 방식 찾기 | 추가 도서와 참고
자료
제4부 변화의 방법들
제10장 공동체 돌봄과 상담 사역자 자신 돌보기 _ 549
소진되지 않고 사역하기 | 짐을 가볍게 지기 | 그림자 고찰하기 | 여성에게는
위험한 목회 사역 | 목회와 변화와 스트레스 | 은혜로 여기까지 안전하게 오다
| 추가 도서와 참고 자료
부록 1 : 블란톤-필연구소 _ 599
부록 2 : 서식들 _ 603
통전적 네트워크 회원 정보 카드 | 돌봄과 상담 일지 | 위탁 상담 정보 기록부 |
내담자의 정보 공개 허가서 | 돌봄과 상담 일지 | 위탁 상담 정보 기록부 | 내담
자 정보 공개 허가서 | 단기 해결중심 치료: 목표 지속 기록부
부록 3 : 생애 발달 도표 _ 611
부록 4 : 사람들을 변화시키려는 시도: 효과 없는 접근방법들 _ 619
부록 5 : 자살 예방 안내 _ 623
참고문헌 _ 629
색인 _ 659
책속에서
캘리포니아 주의 팔로알토에 있는 정신연구소의 폴 와츨라위크(Paul Watzlawick)와 그의 동료 존 위크랜드(John Weakland)와 리차드 피시(Richard Fisch)는 사람들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연구했다. 그들은 사람들이 두 가지 변화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그것을 일차변화(first order change)와 이차변화(second order change)라고 말한다. 일차변화에서 사람들은 현 상황에 맞게 조정한다. 더 잘 기능하는 것을 배우지만 그들의 기본 상황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차변화는 패러다임 변화로서 현실에 대한 새로운 지각으로 인해 믿음과 태도와 행동 전체가 바뀌는 것을 말한다. 이차변화에서는 전체 체계가 바뀐다.
통전성에 대한 바른 비전을 가지고 있으면 우리는 우리가“ 당연하게 행해야 하는” 신앙적 의무를 혜택 받은 자들이 “다른 이들을 위해” 과시하듯 하는 어떤 행위처럼 여기지 않는다. 우리는 한 지체이기 때문에 인종차별과 경제적 탐욕과 인간 혐오 그리고 냉정과 증오에 의해 우리 공동체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구성원들은 고통을 받는다.
우리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말의 함축된 의미를 감지하기 시작하면 우리는 그 의미에 압도되기 시작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나비 효과”를 주목한 기상학자의 관찰에 의해 도움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은 세계 한쪽에 있는 나비의 날개 짓이 세계의 다른 쪽에서 엄청난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진동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작은 움직임 하나가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 공동체는 바른 작은 행동들이 전체 유기체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공동체는 그 고유의 모습을 유지함으로써 치유한다. 신앙 공동체는 치유하는 장소가 되기 위해 특별한 프로그램이나 특별한 활동에만 의지할 필요가 없다. 진정한 공동체가 됨으로써 공동체는 구성원들이 더 온전해지도록 도울 수 있다. 개방된 소통과 갈등해결의 효과적 도구와 구성원들이 다른 이들을 돕기 위해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사랑과 수용은 공동체를 특징짓는 자산들로서 치유가 일어나게 할 수 있는 조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