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508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4-02-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손운산 박사_한국목회상담학회/협회 전 회장) _005
추천사 2 (앤 기욤 가토부 박사 외 3명) _008
저자 서문 _010
역자 서문 _013
1장 신학에 관한 이 모든 논쟁이 정말 필요한가? _017
2장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의 메타 모델 _071
3장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 관계:
삼위일체 하나님과 치료적 공통 요소 _119
4장 책임 있는 삶:
개인적 경건과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 _151
5장 상담실에서 거리로:
사회적 경건, 사회정의와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 _187
6장 무조건 용서?
대속과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 _241
7장 미래의 관점에서 본 현재:
종말론과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 _283
후기 _325
참고문헌 _330
색인 _338
책속에서
이 내담자들은 그들의 고통에 대한 기독교적 의미를 찾으려 애쓰고 있었고, 그들은 나의 도움을 구하고 있었다. 그들은 내게 신학 강의를 원한 것이 아니지만, 사실 어려운 신학 질문들을 던지고 있었다. 그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위해서 하실 수 있거나 해주셔야 한다고 믿는 것과 현재의 고통스런 환경 사이의 단절에 대해 몹시 괴로워했다. 어떤 사람은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공의에 대해 씨름을 했다. 다른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의 주권과 심하고 부당하게 침해를 당한 자신들의 경험 사이의 신학적 불일치에 의해 당황해 했다. 이 내담자들은 하나님과 기독교인의 삶에 관한 명시적 지식과 예수님의 제자로서의 삶에 관한 내재적 지식 사이에서 갈등을 겪으며 살고 있었다.
신학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이 통합적 상담의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통합적 상담이 만들어내는 것은 단지 지식만이 아니다. 상담자가 누구인가는 그만큼 중요한 것인데, 이것은 기독교 상담자가 상담에 가져오는 헌신의 종류에 반영된다. 우리의 영적, 신학적, 치료적 헌신은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상담을 위한 전달체제를 제공한다(그림 1.1).
이 모델의 중요한 이동은 주의하여 듣기(attending), 이야기하기(addressing), 정렬하기(aligning), 그리고 달성하기(attaining)를 포함한다. 상담자들은 내담자의 이야기에서 신학적 반향(echo)에 주의하고, 상담에서 관련된 신학적 주제들을 내담자가 이야기하도록 초청한다. 치료적 목적을 향한 상담 작업의 결과로서, 내담자들은 삶의 방식이 자신의 신앙고백(예를 들면, 마 5-7장; 롬 12:1-3)과 더 잘 일치할 수 있는지 자신의 삶을 정렬해보기를 선택한다. 그 결과 그들은 믿음, 소망, 사랑에 표현된 성화의 깊은 수준에 도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