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372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4-04-22
목차
추천사 (심상법 박사: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부총장, 신약학 교수) _ 5
저자 서문 _ 7
역자 서문 _ 11
| 제1장 | 주해란 무엇인가? _ 19
1. 일상 활동으로서의 주해와 특별 훈련으로서의 주해 _ 19
2. 주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_ 25
3. 성경과 주해 _ 35
4. 수세기에 걸친 성경 주해의 역사 _ 41
5. 성경 주해의 임무 _ 49
6. 참고문헌 _ 59
| 제2장 | 본문 비평: 원문에 대한 탐구 _ 65
1. 본문 이문 발견하기 _ 66
2. 어떻게 성경 본문은 보존되며 전달되었는가 _ 69
3. 본문 이문의 유형 _ 71
4. 사본 계보 _ 73
5. 성경의 비평본(Critical Edition) _ 75
6. 본문 이문 평가하기 _ 76
7.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_ 81
8. 참고문헌 _ 84
| 제3장 | 역사 비평: 시간 배경과 장소 배경 _ 91
1. 역사와 본문 _ 91
2. 역사 비평에 대한 고대 접근 _ 93
3. 본문 안에 있는 역사 _ 95
4. 본문의 역사 _ 97
5. 해석에서 본문의 수용 역사 이용하기 _ 102
6. 참고문헌 _ 104
| 제4장 | 문법 비평: 본문의 언어 _ 115
1. 본문의 언어 분석하기 _ 116
2. 언어 도구 _ 117
3. 성구 사전 사용하기 _ 119
4. 영어에서 히브리어나 헬라어로 나아가기 _ 124
5. 단어집과 단어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주의사항 _ 126
6. 문법과 구문론 _ 128
7. 참고문헌 _ 131
| 제5장 | 문학 비평: 본문의 구성과 수사학적 문체 _ 139
1. “문학 비평”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_ 139
2. 수사 비평 _ 142
3. 문학적 상황 _ 145
4. 문학적 구조 _ 146
5. 문학 양식과 기능: 몇 가지 예 _ 149
6. 문학 장치와 수사적 기법 _ 151
7. 문학적 분위기 _ 153
8. 결론 _ 154
9. 참고문헌 _ 155
| 제6장 | 양식 비평: 본문의 장르와 삶의 정황 _ 159
1. 장르와 삶의 정황(Sitz im Leben) _ 159
2. 양식 비평의 논리: 어떻게 작용하는가 _ 161
3. 성경의 예들 _ 163
4. 사회 정황 연구하기 _ 165
5. 양식 비평의 초점: 이야기와 자료의 작은 단위 _ 170
6. 양식 비평 하기 _ 171
7. 참고문헌 _ 173
| 제7장 | 전승 비평: 본문 배후의 단계들 _ 175
1. 성경 전승의 기원과 성장을 알아보기 _ 176
2. 구술 전승과 기록된 전승 _ 178
3. 구술 전승과 기록된 전승에 대한 오늘날의 예: 찬송 _ 179
4. 성경의 예 _ 181
5. 전승 비평 사용하기 _ 187
6. 참고문헌 _ 189
| 제8장 | 편집 비평: 최종 관점과 신학 _ 193
1. 편집 비평가는 어떻게 작업하는가 _ 193
2. 편집 비평을 위한 도구: 복음서 대조표 _ 195
3. 신약의 예: 복음서에 나오는 수난 이야기 _ 197
4. 경고 사항 _ 200
5. 복음서 저자들의 신학 구분하기 _ 202
6. 구약 편집 비평 _ 203
7. 결론 _ 205
8. 참고문헌 _ 207
| 제9장 | 구조 비평: 본문에 있는 보편성 _ 211
1. 구조주의의 기본 전제 _ 212
2. 구조주의 성경 본문 주해의 예 _ 219
3. 결론 _ 226
4. 참고문헌 _ 227
| 제10장 | 정경 비평: 회당과 교회의 신성한 본문 _ 231
1. 신앙 공동체 사이에서의 해석적 전략 _ 232
2. 정경 비평의 독특한 특징 _ 233
3. 정경 비평 분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 _ 238
4. 정경화 과정:
성경이 역사적 배경에서 정경적 배경으로 옮겨갈 때 _ 240
5. 정경 비평의 몇 가지 예 _ 242
6. 결론 _ 248
7. 참고문헌 _ 249
| 제11장 | 특별한 관점에 집중하는 주해:
문화, 경제, 윤리, 성(gender), 성적(sexual) 관점 _ 253
1. 해방 신학 _ 255
2. 페미니스트(feminist) 해석 _ 256
3. 포스트 식민주의 해석 _ 258
4. 아프리카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해석 _ 259
5. 동성애 주석 _ 261
6. 결론 _ 262
7. 참고문헌 _ 263
| 제12장 | 주해 과정 통합하기 _ 267
1. 예비적인 관찰 _ 267
2. 시작하기 _ 271
3. 본문의 자율성 _ 273
4. 주해: 일차적 연구 혹은 이차적 보고? _ 274
5. 주해 과제물 작성하기 _ 276
6. 실제적인 제안 _ 279
7. 결론 _ 283
| 제13장 | 성경 주해의 열매를 사용하기 _ 285
1. 역사적 재구성과 고고학적 재구성을 위하여 _ 286
2. 신학 하기를 위하여 _ 292
3. 설교를 위하여 _ 297
4. 개인적인 이용을 위하여 _ 302
5. 참고문헌 _ 308
| 부록 | 주해 시 전자 기술 사용하기 _ 315
1. 성경 소프트웨어 _ 316
2. 현재 소프트웨어의 선별 목록 _ 322
3. 웹사이트와 인터넷 사용 _ 331
4. 참고자료: 성경 연구와 관련한 추천 웹사이트 _ 333
색인 _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