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출애굽기·레위기 연구 입문

출애굽기·레위기 연구 입문

윌리엄 존스톤, 레스터 L . 그라베 (지은이), 윤성덕, 임요한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출애굽기·레위기 연구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출애굽기·레위기 연구 입문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631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12-20

책 소개

출애굽기와 레위기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핵심적으로 정리해 안내한다. 제1부에서 출애굽기의 역사, 제도, 문학, 주요 신학적 문제 그리고 연구방법을 다룬다. 제2부에서는 레위기의 형성 자료와 배경, 레위기의 주된 내용인 희생제사 제도, 정함과 부정함, 제사장과 레위인, 절기 등을 다룬다.

목차

추천사 1 5
추천사 2 6

◆ 제1부 출애굽기
저자 서문 14
역자 서문 15
약어표 17

제1장 출애굽기 개론····································································19
1. 출애굽기 1:1-15:21 20
2. 출애굽기 15:22-18:27 20
3. 출애굽기 19:1-40:38 21

제2장 역사적 문제: 마당 치우기················································23
1. 성경 연대표 24
2. 고대 근동 자료들 27
3. 주전 1000년대 셈족과 이집트의 관계에 대한 증거 30
4. 역사적 재구성 33
5. 역사적 접근법에 관련된 다른 문제 45
6. 출애굽기는 어느 정도까지 역사서로 보아야 할까? 52
7. 논의를 전개하는 데 필요한 모세의 모습 61

제3장 제도적 문제: 종교적 핵심················································ 65
1. 유월절 67
2. 무교절 73
3. 초태생 76
4. 신현 78
5. 계약 83
6. 법 87

제4장 문학적 문제: 창조적 종합················································98
1. 새뮤얼 롤스 드라이버와 ‘문학비평’ 100
2. 마틴 노트와 ‘전승사’ 106
3. 브레바드 스프링스 차일즈와 ‘정경비평’ 115
4. 편집비평 119
5. 문학적 접근 142
6. 이 주제의 실례로 살펴보는 십계명 147

제5장 신학적 문제: 넓게 퍼져 있는 의도································ 162
1. ‘야웨’라는 이름을 계시 163
2. 신명기 판본의 신학 170
3. 제사장 판본의 신학 178

◆ 제2부 레위기

역자 서문 186
약어표 188
참고 문헌 190

제1장 레위기 개론····································································· 192
1. 레위기와 ‘P 자료’ 194
2. 레위기의 발전 202
3. 새로운 접근과 방법 204
4. 구조와 내용 206
5. 레위기와 실제 성전 제사의 관계 208
6. 이스라엘과 고대 근동에서의 율법 211

제2장 희생제사 제도 ······························································ 220
1. 레위기에서 희생제사의 주요 유형 220
2. 이스라엘의 희생제사 제도 해석하기 233
3. 희생제사의 일반 이론을 향해 241

제3장 정결한과 부정결한, 정함과 부정함······························· 249
1. 레위기 기사 250
2. 정결법에 대한 근거 256
3. 인류학에서의 통찰 258
4. 요약 265

저자소개

윌리엄 존스톤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Aberdeen 종교학과에서 히브리어와 셈어파를 가르쳤고, 저서로는 Chronicles and Exodus (UNKNO, 1998) 등이 있다.
펼치기
레스터 L . 그라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Hull의 성경연구 명예교수이며 European Seminar on Methodology in Israel’s History 대표이다. 저서로는 The Dawn of Israel (T&T Clark, 2022), Ancient Israel (T&T Clark,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임요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미국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Th.M.) 남아공 University of Pretoria(Ph.D.) 칼빈대학교 구약학 교수 월간 「원문과 설교」 구약 분야 편집 및 집필 담당 현, 세계선교신학원 구약학 교수 저서 『구약 주해와 텍스트 언어학』(2012) 역서 『성서신학』(2014) 『성경 주해 핸드북』(2014) 『히브리 성경 연구』(2016) 『역대상: 틴데일 구약주석』(2017) 『역대하: 틴데일 구약주석』(2017) 『욥기 주석』(2017) 『사사기‧룻기‧에스더 연구 입문』(2018) 『고대 근동 문헌과 구약성경』(2018) 『잠언 주석』(2019) 『구약성경 주변 세계 탐구』(2019) 『언약으로 성경 읽기』(2020) 『하나님의 도성 읽기』(2020, 이상 CLC) 외 다수
펼치기
윤성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히브류 유니온 컬리지, 히브리 성서와 고대근동학(박사) 히브리 대학교, 유대민족사학(석사) 연세대학교, 신학과(학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와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히브리유니언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구약성서, 이스라엘 역사, 랍비 유대교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고대근동학회 학회지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 『예레미야 애가』 『법으로 보는 이슬람과 중동』 『평화교육』이 있다. 고대 슈메르의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슈메르 사람들의 이야기』가 출간될 예정이며, 쐐기문자로 기록된 문학작품에 관한 책을 집필 중이다. (공)역서로는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 정치』 『고대근동문학선집』 『구약 성경문학 탐구』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유대교 정결법이 상상하는 공간」 「미쉬나 본문에 나타난 사마리아인에 대한 태도」 「고대 서아시아 지혜문학의 분류법」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쨌든 열왕기상 6:1에 남아 있는 480년이라는 숫자는 출애굽에서 솔로몬까지 모두 열두 세대가 지났다고 가정하고, 한 세대에 40년을 부과하여 계산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만약 한 세대의 길이에 관 해 좀 더 보편적인 숫자인 25년을 적용한다면, 출애굽이 발생한 연대 는 180년 정도 낮아질 것이다. 그러나 사실 열두 세대라는 정보도 매 우 도식적인 숫자라고 볼 수 있다.


시내광야 남부와 남동부 해안 지방을 대상으로 한 고고학 연구들 이 중기 청동기 시대 초부터 철기 시대 초 또는 그 이후 시대까지 출애굽 이야기에 언급된 장소에서 아무런 거주 흔적을 찾지 못해 서 당황스럽기도 하다.
예를 들어, 바알스본에는 페르시아 시대 즉 주전 539-331년까지 사람이 살지 않았고 가데스 바르네아에서는 솔로몬 시대까지 이 스라엘 사람들이 살았던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만약 고고학적 증거와 성경 전통이 말하는 것처럼 이스라엘이 동 쪽부터 정착을 시작했다면, 이런 현상도 그리 놀랄 일이 아닐지 모르지만,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지내던 시기는 고고학적으 로 뒷받침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면 출애굽기에 남아 있는 이야기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내가 보기에 이것은 출애굽기의 이야기 형식 안에 포함된 증거들이 후기 청동기 시대 말과 철기 시대 초의 역사 흐름, 즉 이집트가 서아시 아에 미치던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하여 이집트의 동부 경계선 안에 갇 히고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에 새로운 민족국가들이 들어서던 상황과 얼마나 유사한지에 달려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