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409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11-0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형동 박사: 부산장신대학교 교수).5
시리즈 서문.6
저자 서문.8
역자 서문.14
약어표.16
지도: 베드로전서의 회람.23
◆ 서론
1. 저자.28
2. 기록 장소.47
3. 기록 연대.51
4. 수신자와 독자들.53
5. 기록 목적.56
6. 베드로전서의 성격과 가능한 자료들.57
7. 베드로전서의 현저한 논지들.63
◆ 본문 주석
Ⅰ. 문안인사: 사도 베드로가 하나님의 영원한 돌보심 가운데 있는 나그네들에게 문안함(1:1-2).71
Ⅱ. 일반적 교리: 너희 구원의 탁월성(1:3-2:10).83
1. 기뻐하는 믿음을 통하여 그리스도인으로서 성숙하라(1:3-12).83
2. 적용: 너희는 모든 행실 가운데 거룩해야 한다(1:13-25).116
3. 어떻게 거룩함의 진보를 이룰 것인가?(2:1-10).143
Ⅲ. 특별한 윤리적 가르침들: 불신자들 가운데서 어떻게 거룩할 것인가?(2:11-5:11).175
1. 일반적 원리들(2:11-12).175
2. 시민으로 살아가기: 그리스도를 위하여 정부 당국에 복종하라(2:13-17).181
3. 사환으로 살아가기: 너희 주인들에게 순종하라(2:18-25).190
4. 결혼한 사람들의 삶(3:1-7).207
5. 전반적으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기 (3:8-4:19).225
6. 교회 구성원과 중직자로 살아가기(5:1-7).283
7. 영적인 갈등상황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기(5:8-11).299
Ⅳ. 마무리 인사(5:12-14).305
1. 나는 이 서신을 신실한 실루아노 편에 보낸다(5:12a) .305
2. 너희는 내가 기술한 은혜에 굳게 서라(5:12b).307
3. 로마에 있는 교회와 마가로부터의 안부 인사(5:13).308
4. 서로 문안하라(5:14a).309
5. 그리스도 안에 있는 너희 모두에게 평강이 있기를!(5:14b).310
<부 록> 그리스도께서 노아를 통하여 선포하심: 유대 문헌의 유력한 주제들의 관점에서 다루어진 베드로전서 3:19-20 .311
1. “옥에 있는 영들”은 누구인가?.316
2. 그리스도께서는 무엇을 선포하셨는가?.341
3. 언제 그리스도께서 선포하셨는가?.343
4. 결론.362
추가 주석
1. 새 언약의 보상(1:4).91
2. “시기와 정황” 혹은 “누구 혹은 언제?”(1:11).113
3. 하나님이 거하시는 처소 (2:5).158
4. 성경 안에서 택함 받음과 배척 (2:8).166
5.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까지 우리의 죄악을 끌어올리셨는가?”(2:24).204
책속에서
이 주석은 아마도 성경과 다른 외경을 평균 이상으로, 그리고 다른 주석들을 평균 이하로 인용할 것이다. 이 시도는 의도적인데, 나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전문가가 선호하는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이 스스로 그 해석을 지지하는 증거를 발견했고 그 증거가 그들 자신을 설득했기 때문에, 어느 구절에 대한 특정 해석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베드로전서의 수신자는 첫 구절에 명확하게 진술되어 있다.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진 나그네.” 1898년에 홀트(Hort)는 이 이름들이 그 편지의 전달자가 따라갔던 여행 경로를 묘사하였으며, 그는 흑해 남쪽의 네 개의 로마 관할지를 관통하여 여행하였는데, 그곳은 소아시아로 불리는, 주로 현대의 터키 안에 속하는 땅이었다고 주장하였다…순환 경로는 소아시아에서의 모든 기독교적 영향력이 강한 주요 핵심부들은 편지로 닿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경유한 곳마다 (그 편지의) 사본들이 만들어져서 인근 도시들의 보다 작은 교회들에게 배포될 수 있었을 것이다.
“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하시느니라.” 이 어구의 의미는 논란이 많다. 이와 연관된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옥에 있는 영들은 누구인가?
-세상을 떠난 불신자들?
-세상을 떠난 구약 시대의 성도들?
-타락한 천사들?
2. 그리스도는 무엇을 선포하셨는가?
-회개를 위한 두 번째 기회?
-구원사역의 완성?
-최종적인 정죄?
3. 그리스도는 언제 선포하셨는가?
-노아의 시대에?
-그분의 죽음과 부활 사이에?
-그분의 부활 후에?
다양한 답변들이 이 질문에 대해 제시되었다. 다섯 개의 가장 보편적인 견해들이 본서 부록에 설명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