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45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리처드 J. 마우 박사(전, 풀러신학교 총장) / 6
한국의 독자들에게 드리는 글 / 9
저자 서문 / 11
역자 서문 / 16
1장 21세기에 재발견된 교회 / 21
2장 교회에 관한 선교적 이해 / 43
3장 역사적 교회관들 / 73
4장 교회와 하나님의 구속적 통치 / 117
5장 교회의 본질 / 157
6장 교회의 사역 / 197
7장 교회의 조직적 삶 / 237
참고문헌 / 281
색인 / 287
책속에서
교회의 신학에서 출발하여 선교로 나아가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선교를 교회의 기능적 임무들 중의 하나로 생각한다. 특히 근대선교운동에 영향을 받은 교회일수록 이렇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근대선교운동의 입장에서 볼 때 교회는 제도적인 관점으로 이해되며, 선교는 교회가 하나님을 대신해서 감당해야할 여러 가지 임무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교회론은 매우 복합적이며 광범위한 주제다. 그것에 대해서 철저히 비판하자면 아마도 그 자체로 책 한 권의 분량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장은 비교적 좁은 범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교회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발전을 이룬 다섯 시기를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며, 더 나아가 그 발전을 북미 교회와 관련하여 고찰할 것이다. 각 시기는 그 당시의 역사적 상황, 사용된 성경적 기초, 교회의 본질과 사역과 조직을 취급하는 방식, 공식화된 교회론이 교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끼친 영향의 관점에서 검토될 것이다.
교회라는 단어는 복음서에서 단지 두 번 사용되었다. 두 번 모두 마태복음에 나온다. 이 용어가 마태가 독자로 삼고 있었던 기독교 공동체의 발전 과정에서 비교적 후기에 사용된 것이라 할지라도, 이미 예수께서 추종자들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가 점차 발전해갈 것을 충분히 예기(豫期)하고 있었음은 복음서를 통해서 분명히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