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

크레이그 밴 겔더, 드와이트 J. 샤일리 (지은이), 최동규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4,0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39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선교적 교회 시리즈 3권. 선교적 교회의 태동 배경을 설명하며, ‘미셔널’(missional)이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내려주고 있으며 선교적 교회의 역사적 신학적 이해를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교적 교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추천사 1 (박영환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한국일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이후천 박사, 협성대학교 교수) / 5
추천사 2 (앨런 J. 록스버그 박사, Azusa Pacific Seminary 교수) / 7
시리즈 서문 / 13
감사의 글 / 17
서론 / 23

1부 선교적 대화의 역사와 발전
1장 선교적 교회에 관한 대화에 영향을 준 개념들 / 49
2장 『선교적 교회』의 핵심 내용 / 89
3장 선교적 대화의 도해 / 133

2부 선교적 대화를 확장하는 관점들
4장 신학적 틀의 확장과 강화 / 193
5장 세계화된 사회의 문화와 선교적 참여 / 235
6장 교회의 삶과 리더십의 선교적 실천 / 273
에필로그 / 307
참고문헌 / 312
색인 / 325

저자소개

크레이그 밴 겔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Georgia State University(B.A.) -미국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M.Div.) -미국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Ph.D., 선교학) -미국 University of Texas(Ph.D., 도시행정학) -현, 미국 Luther Seminary 명예교수 -현, ‘ 복음과 우리 문화 시리즈’(Gospel and Our Culture series) 편집장 저서 -The Missional Church in Perspective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CLC, 2015) -벤자민 L. 머클, 『장로와 집사에 관한 40가지 질문』(CLC, 2012) -J. 앤드류 커크,『 선교란 무엇인가』(CLC, 2009) -랄프 무어,『 새시대 교회확산운동 이야기』(베다니, 2006) -데이빗 쉔크, 『초대교회 모델을 따라 교회를 개척하라』(베다니, 2004) 외 다수
펼치기
드와이트 J. 샤일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Stanford University(B.A.) -미국 Yale Divinity School(M.Div.) -미국 Luther Seminary(Ph.D.) -현, 미국 Luther Seminary 회중선교와 리더십 교수 저서 The Agile Church: Spirit-Led Innovation in an Uncertain Age(Morehouse Publishing, 2014) People of the Way: Renewing Episcopal
펼치기
최동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Full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교회성장학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으며, 현재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실천신학 교수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 『미셔널 처치』, 『미래세대의 전도와 목회』(공저, 이상 대한기독교서회), 『초기 한국교회와 교회 개척』, 『바울에게서 배우는 교회 개척의 원리』(이상 CLC)가 있으며, 역서로 『선교란 무엇인가』, 『교회의 본질』,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 『소통하는 전도』 (이상 CLC)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교적 교회에 관한 초기 대화를 이끌었던 핵심적인 통찰 중의 하나는, 선교적 교회가 본래 새로운 세대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적 접근방식을 발전시키는 교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런 전략적 접근방식들은 일반적으로 교회의 목적/선교에 초점을 맞춘다. 선교적 사고의 어떤 차원들은 분명히 그런 결과를 낳는다.


선교학은 하나님께서 세상에서 행하시는 창조사역과 구속사역을 이해하고 정의하는 것을 추구하는 신학 분야다-전문적으로 이 용어는 ‘선교’(missio)와 ‘연구’(logy)를 합성한 말로서 ‘선교에 관한 학문’을 뜻한다. 전통적으로 선교의 개념들은 주로 수도회, 선교회, 초교회(parachurch) 조직, 교단 위원회와 기구와 같이 교회 안에서 또는 교회와 함께 발전된 조직체들로부터 나왔다. 그 개념들 중에서 교회에 관한 역사적 신조들과 신앙고백들에다가 어떤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결합시킨 것은 거의 없다.


『선교적 교회』에 제시된 논증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은 하나님의 선교 곧 ‘미시오 데이’와 관련이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이 이해되고 사용되는 방식과 관련하여 한 가지 비판적인 이슈가 있다. 그것은 1960년대에 ‘미시오 데이’에 관한 논쟁 속에서 표면화됐던 것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이슈다. 1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당시 두 종류의 ‘미시오 데이’가 출현하였다. 하나는 부르심을 받고 보내심을 받은 구속된 백성을 통해 세상에서 행하시는 분으로 하나님을 이해하는 특수화된 입장(a specialized view)이었고, 다른 하나는 교회를 넘어 세속사를 통해 세상에서 행하시는 분으로 하나님을 이해하는 일반화된 입장(a generalized view)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