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39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박영환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한국일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이후천 박사, 협성대학교 교수) / 5
추천사 2 (앨런 J. 록스버그 박사, Azusa Pacific Seminary 교수) / 7
시리즈 서문 / 13
감사의 글 / 17
서론 / 23
1부 선교적 대화의 역사와 발전
1장 선교적 교회에 관한 대화에 영향을 준 개념들 / 49
2장 『선교적 교회』의 핵심 내용 / 89
3장 선교적 대화의 도해 / 133
2부 선교적 대화를 확장하는 관점들
4장 신학적 틀의 확장과 강화 / 193
5장 세계화된 사회의 문화와 선교적 참여 / 235
6장 교회의 삶과 리더십의 선교적 실천 / 273
에필로그 / 307
참고문헌 / 312
색인 / 325
책속에서
선교적 교회에 관한 초기 대화를 이끌었던 핵심적인 통찰 중의 하나는, 선교적 교회가 본래 새로운 세대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적 접근방식을 발전시키는 교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런 전략적 접근방식들은 일반적으로 교회의 목적/선교에 초점을 맞춘다. 선교적 사고의 어떤 차원들은 분명히 그런 결과를 낳는다.
선교학은 하나님께서 세상에서 행하시는 창조사역과 구속사역을 이해하고 정의하는 것을 추구하는 신학 분야다-전문적으로 이 용어는 ‘선교’(missio)와 ‘연구’(logy)를 합성한 말로서 ‘선교에 관한 학문’을 뜻한다. 전통적으로 선교의 개념들은 주로 수도회, 선교회, 초교회(parachurch) 조직, 교단 위원회와 기구와 같이 교회 안에서 또는 교회와 함께 발전된 조직체들로부터 나왔다. 그 개념들 중에서 교회에 관한 역사적 신조들과 신앙고백들에다가 어떤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결합시킨 것은 거의 없다.
『선교적 교회』에 제시된 논증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은 하나님의 선교 곧 ‘미시오 데이’와 관련이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이 이해되고 사용되는 방식과 관련하여 한 가지 비판적인 이슈가 있다. 그것은 1960년대에 ‘미시오 데이’에 관한 논쟁 속에서 표면화됐던 것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이슈다. 1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당시 두 종류의 ‘미시오 데이’가 출현하였다. 하나는 부르심을 받고 보내심을 받은 구속된 백성을 통해 세상에서 행하시는 분으로 하나님을 이해하는 특수화된 입장(a specialized view)이었고, 다른 하나는 교회를 넘어 세속사를 통해 세상에서 행하시는 분으로 하나님을 이해하는 일반화된 입장(a generalized view)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