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493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10-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구원 박사_개신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 5
편집자 서문 / 7
저자 서문 / 11
역자 서문 / 13
서론 / 19
제1장 성경 시문학에서 발견되는 구전 문학적 형태 / 33
제2장 다양한 구전 문학적 형태 / 65
제3장 구전 문화와 문자 문화에 대한 새 관점 / 93
제4장 문자 문화의 지표 / 137
제5장 구약성경에 나타난 구전 문화적 사고방식 / 173
제6장 구약성경에 나타난 문자 문화적 사고방식 / 193
제7장 구전 문화와 문자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 211
제8장 구전 문화적 사고방식과 문자 성경 / 227
결론 / 271
색인 / 279
책속에서
성경에 수록된 자료가 구술로 작성되었다는 것을 증명할 직접적인 방법은 없지만, 명백하게 구술로 작성된 다른 문헌자료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특징이 성경자료에서도 발견되는 것이 사실이다. 즉 성경자료는 “구전 문학적 형태”에 속해 있다는 말이다. 구전 문학적 형태란 어떤 문학 작품이 구술 또는 문자로 작성된 방식을 가리키는 표현이 아니라, 구술로 작성되었던지 문자로 작성되었던지 혹은 귀에 들려졌던지 눈으로 읽혔던지 간에 상관없이 작품 자체가 지니고 있는 문학적 양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창세기 1장과 마찬가지로 창세기 2-3장 역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전통적 주제 양식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창세기 2-3장에서 발견되는 이미지와 양식은 창세기 1장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는 구조 양식과 다르다. 창세기 2-3장은 창조 이전의 세계와 창조 과정을 고대 이스라엘 시문이나 산문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이행 혹은 삼행 평행구절을 통해서 기술한다.
고대 이스라엘 사회 전반에 깔려있었던 구전 문화에 대해 논할 때 구전 문화와 문자 문화가 연동관계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을 항상 전제해야 한다. 1장에서 살펴보았듯이, 구전 문화적 사고방식이 구약성경이 히브리 문자로 기록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성경 저자들이 견지했던 “문자 세계”에 대한 인식 또한 전통적인 구전 문화적 사고방식을 따라 기록된 글이 성경에 최종 수록되는 형태에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