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1508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5-12-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이만열 박사/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5
추천사 2(김회권 박사/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8
저자 서문 10
서장 14
1장 한국교회 북한인권운동 분석의 이론적 배경 29
2장 한국교회 인권운동 참여 85
3장 한국교회 북한인권운동 전개 134
4장 선교패러다임과 대북관에 따른 북한인권운동 분석 211
5장 결론 254
참고문헌 259
부록 282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교회가 우리 사회 주요 민간행위자임을 생각할 때 개신교 북한인권운동 구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은 북한인권을 둘러싼 보수, 진보 대립과 교차지점을 조망해 보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호보완적이고 불가분적인 인권속성이 한국교회의 북한인권운동 속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한국교회 북한인권운동을 대상으로 운동의 목적과 동기, 현황 및 결과 등을 분석하여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유형화를 통한 특징을 분석하여 북한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내 보수와 진보가 어떻게 구분되고 접근방식에 있어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북한인권에 대한 총체적 접근의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해방 후 경험하게 된 북한 공산주의에 대한 현실적 경험은 종교적 혐오증을 바탕으로 보수적 대북관을 구성하게 된 배경이다. 그러나 장기간의 분단 상황이 지속되면서 보수적 대북관을 그대로 유지하는 교회가 있는가 하면 한국사회 인권운동을 이끌었던 진보적 교회를 중심으로 분단문제를 새롭게 인식한 후 통일지향의 진보적 대북관을 형성하게 된 경우도 생겨났다. 보수적 대북관으로부터 진보적 대북관으로 변화된 데에는 선교패러다임 전환 과정에서와 같이 역사적 경험이 중요했다. 한국교회 북한인권운동 분석을 통해 대북관 변화가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교회는 북한인권과 관련해서, 장기에 걸쳐 전반적인 인권보호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대북정책에 있어서도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상반된 입장이 나타나며 이로써 정치적 갈등 이외의 새로운 갈등이 초래되기도 한다. 개신교 내에서는 진보적 교회가 일찍부터 반공주의 대북관을 극복하며 통일운동에 임했지만 냉전질서가 해체된 1990년대 이후로도 반공주의 대북관을 표방하는 보수적 교회가 여전히 많은 형편이다. 그러나 특기할 점은 1990년대 대북지원이 시작되면서 북한교회와 직접 교류하게 된 교회 중 보수적 선교관을 유지하면서도 대북관에 있어서 변화를 보이는 교회가 대거 출현한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