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725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11-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1 _정성욱 박사(미국 덴버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_5
추천사/2 _유해룡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_7
저자 서문 _9
제1부 교부와 사막의 수도생활
제1장 교부는 누구인가?16
1. 들어가는 말 _16
2. 교부는 누구인가 _17
3. 교부의 정의와 역사 _19
4. 교부들의 유산 _21
5. 교부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_23
6. 고대성과 교부의 조건 _24
7. 동·서방 교회의 대표적인 교부들 _26
8. 시대적 특징과 연대기적 측면에서 본 교부 _27
9. 나가는 말 _32
제2장 수도생활의 기원과 역사?33
1. 들어가는 말 _33
2. 수도생활이란 무엇인가 _35
3. 수도생활의 역사 _39
4. 수도생활의 기원 _41
5. 나가는 말 _53
제3장 초기 사막 수도사들의 지리적 상황과 수도생활?55
1. 들어가는 말 _55
2. 이집트의 수도생활과 문화 _56
3. 팔레스타인의 수도생활과 문화 _68
4. 시리아의 수도생활과 문화 _72
5. 그 밖의 수도생활과 문화 _75
6. 나가는 말 _77
제2부 고대 사막 수도사들의 영성
제4장 아타나시우스가 쓴 『안토니의 생애』와 영성?80
1. 들어가는 말 _80
2. 아타나시우스와 『안토니의 생애』 _81
3. 『안토니의 생애』의 내용 분석 _87
5. 안토니우스와 사막 도시 _91
4. 『안토니의 생애』에 나타난 안토니우스의 영성 _94
5. 나가는 말 _105
제5장 파코미우스의 수도원과 영성?107
1. 들어가는 말 _107
2. 파코미우스에 대한 자료와 생애 _108
3. 파코미우스의 수도원과 수도생활 _114
4. 파코미우스의 수도원 영성 _128
5. 나가는 말 _135
제6장 『모세의 생애』와 닛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영성?137
1. 들어가는 말 _137
2. 그레고리우스의 생애와 작품 _138
3. 『모세의 생애』의 해석학적 배경 _142
4. 『모세의 생애』의 내용 분석 _145
5. 그레고리우스의 영성 _168
6. 나가는 말 _181
제7장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지성과 영성?183
1. 들어가는 말 _183
2.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생애와 작품 _184
3. 에바그리우스에 대한 탐구와 마음 이해 _191
4. 에바그리우스의 우주론과 마음의 철학 _199
5. 마음의 작동 방식 _211
6. 나가는 말 _215
제8장 요한 카시아누스의 『담화집』과 영성?217
1. 들어가는 말 _217
2. 요한 카시아누스의 생애와 주요 저술 _218
3. 『제도집』과 『담화집』의 구조와 내용 _223
4. 『제도집』과 『담화집』에 나타난 카시아누스의 영성 _234
5. 요한 카시아누스가 교회 영성에 미친 영향 _254
6. 나가는 말 _256
미주 ?258
1장┃교부는 누구인가 _258
2장┃수도생활의 기원과 역사 _259
3장┃초기 사막 수도사들의 지리적 상황과 수도생활 _259
4장┃아타나시우스가 쓴 『안토니의 생애』와 영성 _260
5장┃파코미우스의 수도원과 영성 _261
6장┃『모세의 생애』와 닛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영성 _263
7장┃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지성과 영성 _269
8장┃요한 카시아누스의 『담화집』과 영성 _274
참고 문헌 _276
저자소개
책속에서
카파도키아 시대에 아버지라는 용어는 그들의 작품이나 공의회에 참석하여 발표한 논문을 통해 기독교 정통 교리와 신앙, 정경과 정의를 수호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 바실리우스가 거룩한 교부들의 전통을 지키는 것을 강조한 데서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교부들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도적 전통이라는 통일성을 유지한 사람들이다. 교부들은 모든 세대에게 성령의 사람들이었으며, 교회와 하나님의 아들 안에서 성령의 현존에 대한 증인들이었다. 이것이 바로 기독교회가 교부들을 흠모하고 존경하는 이유다.
초기 교회 수도사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고 복음적 삶을 추구했다. 그들은 초기 교회의 신앙공동체를 그 이상으로 여겼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수도사들의 삶과 수도원의 형태는 달랐다. 수도사들은 지리적 상황과 문화적 환경, 그리고 그 지역에서 발전한 신학에 영향을 받으며 자기들만의 수도 문화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초기 교회의 수도사들은 각자의 환경에 알맞은 수도사의 생활을 발전시켰다. 초기 교회의 다양한 수도 문화는 한국 교회의 영적 환경을 새롭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레고리우스에 의하면 하나님은 방탕한 사람을 그냥 내버려둘 수는 있지만, 강퍅하게 하지는 않는다. 만약 인간의 모든 삶이 하나님의 개입에 의해 결정된다면, 인간의 선택이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선한 삶과 악한 삶도 구별할 수 없다. 그레고리우스는 “사람들이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보호받을 수 없다”는 바울의 말을 통해 선택의 자유를 강조했다. 따라서 바로의 강퍅은 하나님의 개입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지 않고 악을 선택한 바로의 자유의지에 그 원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