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102742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7-08
책 소개
목차
1부
<예수동행일기의 조직신학적 기초> 정성욱
Ⅰ. 삼위일체 신학과 영성 그리고 예수동행일기(조직신학 신론)
Ⅱ. 우리가 바라보는 예수는 누구인가조직신학 기독론)
Ⅲ. 성화훈련 과정으로서의 예수동행일기(조직신학 구원론/성화론)
Ⅳ. 유기적 교회론과 예수동행일기(조직신학 교회론)
Ⅴ. 밝고 행복한 종말론과 예수동행일기(조직신학 종말론)
2부
<예수동행일기를 통한 영성 형성의 신학적 근거> 유기성, 유재경, 이강학, 이은재
Ⅰ. 예수님과 친밀한 동행과 예수동행일기
Ⅱ. 기독교 영성형성의 관점에서 본 예수동행일기(영성신학)
Ⅲ. 영성형성과 영성지도: 이그나티우스 로욜라와 에반 하워드를 중심으로(영성신학)
Ⅳ. 경건주의와 예수동행일기(역사신학)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교회는 그동안 ‘죄에 대한 회개’와 ‘속죄에 대한 확신’, ‘의롭다 함을 얻은 은혜’에 대하여 가르치는 일에만 너무 집중하느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 거하는 것과 주님과 연합하는 것과 매 순간 그 분의 임재와 돌보심을 경험하는 것에 대하여 거의 가르치지 못하였습니다. 만약 우리가 처음 예수님을 믿기로 한 자들에게 예수님 안에 거하는 법을 가르쳤다면 그들의 삶에 정결함과 능력, 사랑과 기쁨, 복음전도의 열매가 풍성히 맺어졌을 것이고 한국 교회는 너무나 달라졌을 것입니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서 교인들에게 주님과 친밀히 동행하는 삶을 가르치고 훈련할 뾰족한 방법이 없었다고 해야 옳을 것입니다. 예수동행일기는 이와 같은 목회적인 고민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그리고 지난 14년 동안 참으로 놀라운 은혜와 삶이 변화된 간증이 일어나며, 교회가 달라지는 것을 경험하였습니다.
- 들어가는 말, 유기성 목사
물론 성경 자체가 ‘영성일기’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영성일기와 비슷한 문학적 장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별히 많은 시편의 내용들은 매일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의 교통 가운데 느꼈던 기쁨, 그리고 시련 속에서의 고통, 유혹과의 투쟁, 죄에 대한 통렬한 회개, 말씀에 대한 깊은 묵상과 새로운 삶에 대한 결단 등 영성일기에서 사용되는 많은 문학적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로마서 7장의 바울의 개인적인 고백 또한 영성일기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 삼위일체 신학과 영성 그리고 예수동행일기(조직신학 신론) 중
예수동행일기는 ‘영성일기’라는 이름으로 교회 역사상 수많은 믿음의 사람들이 실천해 왔습니다. 고대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이 사실상 영성일기의 산물입니다. 중세의 위대한 신앙지도자였던 토마스 아 켐피스의 저작 <그리스도를 본받아> 역시 영성일기 형식으로 쓰였습니다. 종교개혁 이후 수많은 청교도 신학자들, 18세기의 존 웨슬리와 조나단 에드워즈, 그리고 20세기에 와서 프랭크 루박같은 영적 지도자 등 수많은 믿음의 선진들이 영성일기를 통해서 주님과 깊이 교제하고, 영적인 성숙을 경험했습니다.
- 삼위일체 신학과 영성 그리고 예수동행일기(조직신학 신론)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