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안승오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19357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선교의 개념 자체가 광범위하고 다양하여 선교의 정의를 명확히 내리기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저자는 그 근거를 성경에서 찾는다.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선교의 핵심구조를 파악하여 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목차

프롤로그
1. 위기의 세계교회 현황과 선교 방향 17
2. 헷갈리는 선교신학? 20
3. 성경은 선교에 대하여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22

제1부 구약성경 25
제1장 모세오경 26
1. 선교의 근거 26
1) 하나님의 창조 27
2) 인간의 타락 32
3) 하나님의 관심 35

2. 선교의 목표 38
1)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38
2) 하나님을 알리고 섬기게 함 42

3. 선교의 방법 46
1) 거룩한 정체성 유지 46
2) 율법의 준수 훈련 51
3) 윤리적 책임 감당 55

4. 선교의 내용 58
1) 하나님의 주인 되심과 구원하심 58
2) 인간의 죄성과 구원의 길 61
3) 하나님 섬김과 우상 섬김의 결과 63

5. 선교의 일꾼 66
1) 하나님 자신 66
2) 선택된 백성과 지도자들 68

6. 선교의 대상 73
1) 열방의 모든 민족 73
2) 이스라엘 75

제2장 역사서 79
1. 선교의 근거 79
1) 하나님의 계획 81
2) 선교를 위한 모델 국가 형성 83

2. 선교의 목적 86
1) 이방인의 영입 86
2) 하나님을 알고 경배케 함 88
3) 선교 백성의 양육 훈련 90

3. 선교의 방법 93
1) 하나님의 임재와 권능을 보여줌 93
2) 이스라엘 백성들의 증거와 선언 95

4. 선교의 내용 99
1) 하나님 자신이 구원과 복 99
2) 우상숭배의 화 102

5. 선교의 일꾼 105
1) 하나님 자신 105
2) 이스라엘과 다양한 일꾼들 108

6. 선교의 대상 110
1) 온 땅과 모든 만민 110
2) 이스라엘과 접촉한 이방 족속들 112

제3장 시가서 116
1. 선교의 근거 116
1) 위대한 하나님에 대한 체험과 깨달음 117
2)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복 주심에 대한 깨달음 119
3) 찬양받으시기에 합당하신 하나님에 대한 깨달음 121

2. 선교의 목표 123
1) 주의 도와 구원을 만방 중에 알리는 것 123
2) 하나님께 영광 125
3) 하나님께 돌리는 영광을 소홀히 하는 선교의 한계 128

3. 선교의 방법 131
1) 하나님의 영광과 능력의 전파와 선포 131
2) 성도의 선한 삶 134
3) 하나님의 영광 찬양 136

4. 선교의 내용 140
1) 하나님의 주인 되심과 위대하심 140
2) 여호와가 참된 지혜와 행복의 근원이심 141
3) 하나님 섬김의 구원과 복 143

5. 선교의 일꾼 147
1) 하나님 자신 147
2) 이스라엘 149
3)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은혜를 체험한 이들 151

6. 선교의 대상 153
1) 모든 열방 153
2)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모든 사람 155

제4장 예언서 159
1. 선교의 근거 159
1) 하나님의 부르심 160
2) 하나님의 말씀을 주심 162

2. 선교의 목표 165
1) 선민 이스라엘을 선교 백성으로 세움 165
2) 모든 열방으로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게 함 168

3. 선교의 방법 170
1) 말씀의 선포와 보여줌 170
2) 백성의 훈련 173
3) 고난의 삶 177

4. 선교의 내용 180
1) 화와 복의 기준이신 하나님 180
2) 우상숭배를 떠나라 183
3) 미래의 구원 약속 185
4) 정체성을 지키라 188

5. 선교의 주체 192
1) 하나님과 택함 받은 선지자들 192
2) 남은 자들과 돌아온 이방인들 196
3) 고난받는 종 198

6. 선교의 대상 201
1) 이스라엘 백성들 201
2)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열방 203

제2부 신약성경 208
제1장 복음서 209
1. 선교의 근거 209
1) 그리스도의 권세와 명령 209
2) Missionis Christi(그리스도의 선교) 212

2. 선교의 목표 216
1) 예수 자신의 사역과 말씀에 나타난 선교의 목표 216
2) 제자들에게 주신 선교의 목표 221

3. 선교의 방법 225
1) 상대의 자유? vs. 진리에 대한 강권? 225
2) 육신적 도움? vs. 영적인 도움? 228
3) 점진적인 변화? vs. 급진적인 변화? 229

4. 선교의 내용 232
1) 죄 사함을 얻게 하는 복음 232
2) 유일한 구원의 길이신 예수 234

5. 선교의 일꾼 237
1) 그리스도 237
2) 보내는 자와 보냄 받은 자 239
2) 제자들 241
3) 사도들의 터 위에 세워진 교회 242

6. 선교의 대상 244
1) 이방인은 제외? 244
2) 작은 자들만? 247

제2장 사도행전 250
1. 선교의 근거 250
1) 주님의 명령 250
2) 부활 사건 252
3) 성령의 강림 253

2. 선교의 목적 255
1) 전도와 구령 255
2) 자립교회 설립 258

3. 선교의 방법 260
1) 예수의 이름과 능력을 보여줌 260
2) 말씀의 선포 261
3) 복음의 능력으로 변화된 삶을 보여 줌 262
4) 협력 사역 263
5) 현지 지도력 양성을 통한 자립교회 설립 265

4. 선교의 내용 267
1)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 267
2) 환난의 복음 270

5. 선교의 일꾼 272
1) 성령 272
2) 택함 받은 많은 일꾼 274

6. 선교의 대상 277
1) 유대인을 넘어 이방인으로 277
2) 구원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자? 280

제3장 바울서신 282
1. 선교의 근거 282
1) 회심과 소명 282
2) 은혜에 대한 확신 284
3) 종말 신앙 287

2. 선교의 목표 289
1) 영혼 구원 289
2) 화목하게 하는 사역 291
3) 하나님께 대한 순종과 영광 294

3. 선교의 방법 296
1) 복음전도 296
2) 기도 전략 297
3) 성육신 자세 299
4) 삶을 통한 모범 전략 301

4. 선교의 내용 302
1)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302
2)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의 304

5. 선교의 일꾼 307
1) 삼위일체 하나님 307
2) Missio Dei(하나님의 선교)와 Missionis Christi(그리스도의 선교) 309
3) 교회 311

6. 선교의 대상 313
1) 그리스도 밖에 있는 자들 313
2) 전략적인 차원에서의 선교 대상 315

제4장 공동서신 및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선교 317
1. 선교의 근거 317
1) 종노릇하던 이들을 놓아주신 아들 317
2) 하나님의 불러내심 319

2. 선교의 목표 321
1)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 321
2) 믿음의 결국 곧 영혼의 구원 323
3) 아들을 통한 생명 325

3. 선교의 방법 326
1) 선포 326
2) 대답을 통한 증거 328
3) 거룩함과 사랑을 실천하는 삶 329

4. 선교의 내용 331
1) 그리스도께서 주신 구원 331
2) 아들을 통해 주어지는 생명 333
3) 믿음에 부요한 삶 334

5. 선교의 일꾼 336
1) 신앙을 위하여 흩어진 자들 336
2) 복음을 위하여 고난당하는 자들 337
3) 택함을 입은 자들 339

6. 선교의 대상 341
1) 그리스도 밖에 있는 자들 341
2) 불분명한 선교의 대상 이해 343
3) 만유의 구원? 345

에필로그 성경적인 대안 신학을 추구하며 347
1. 창조신학이 아닌 구속사신학을 기초로 하는 선교신학 347
2. 종합적인 고려를 하면서도 우선순위를 염두에 두는 선교신학 351
3. 명확한 선교 개념을 지닌 선교신학 356
4. 효율성을 중시하는 선교신학 359
5. 윤리를 중시하면서도 윤리와 선교를 구분하는 선교신학 361
6. 방법으로서의 ‘협력’과 목표로서의 ‘복음화’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선교신학 364
7. 선교의 일꾼인 교회를 중시하는 선교신학 366
8. Missionis Christi(그리스도의 선교)를 추구하는 선교신학 370
9.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선교신학 373

참고 문헌

저자소개

안승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럽을 중심으로 서구 교회들이 심각한 퇴조의 모습을 보이며 제2/3세계 선교의 핵심 주자 역할을 감당하던 한국 교회마저 내우외환으로 위기를 겪는 모습을 보면서 기독교의 회복과 건강한 성장 방향을 찾아 고뇌하는 선교학자이다. 특별히 대안 선교인 ‘제4 선교신학’을 주창하면서 위기의 기독교를 살리는 선교 방향 찾기에 힘쓰고 있다. 성결대학교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원(M.Div.)에서 수학한 후, 미국 풀러신학대학원에서 선교학으로 신학 석사(Th. M.) 학위와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총회 파송을 받아 필리핀에서 선교 사역을 했으며, 풀러신학대학원 객원교수, Journal of Asian Mission 편집 위원, 한국로잔연구교수회장, 영남신학대학교 대학원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선교와 신학」 편집 위원, 「복음과 선교」 편집 위원, 「선교와 교회」 편집장, 지구촌선교연구원장, 영남신학대학교 선교신학 교수 등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7 Key Principles of Dynamic Church Growth, Rethinking the Theology of WCC, 『선교사가 그린 선교사 바울의 생애』,『능력 있는 예배를 위한 7가지 질문』, 『건강한 교회 성장을 위한 핵심 원리 7가지』, 『사도행전에서 배우는 선교 주제 28가지』, 『현대 선교학 개론』(공저), 『한 권으로 읽는 세계선교 역사 100장면』, 『성장하는 이슬람 약화되는 기독교』,『현대 선교신학』, 『현대 선교의 핵심 주제 8가지』, 『이슬람의 어제와 오늘』, 『현대 선교의 프레임』, 『제4 선교신학』,『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현대 선교신학(개정판)』, 『현대 선교의 목표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출애굽기 3장 10절에 “이제 내가 너를 바로에게 보내어 너에게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리라.”고 말씀하신 대로 모세는 자주 하나님이 보내신 자로 설명되었다(출 3:10-15; 신 34:11; 삼상 12:8; 시 105:26).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모세 등을 부르셔서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선교 백성으로 조성하셨다. 따라서 이들을 부르심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보편적인 목적, 즉 모든 나라를 향한 축복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위한 수단이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주어지는 축복(Blessing)은 항상 책임(Responsibility)과 함께 수여되었다.


이런 이유에서 잠언 8장 5절은 “어리석은 자들아 너희는 명철할지니라 미련한 자들아 너희는 마음이 밝을지니라.”라고 명한다. 여기에서 ‘어리석은 자’로 번역된 ‘페타임’(petayim)의 원형 ‘페티’(peti)는 ‘단순한 사람’ 혹은 ‘유혹에 빠지기 쉬운 사람’을 뜻하며, 세상의 다양한 유혹에 빠져 하나님을 쉽게 잊어버리는 자들이다.75 따라서 어리석은 자들은 여호와를 경외함으로 지혜를 얻어야 하고 마음이 밝아져야 그 인생이 형통하게 된다는 것이다. 전도서 12장 13절도 “일의 결국을 다 들었으니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의 명령들을 지킬지어다 이것이 모든 사람의 본분이니라.”고 선언하는데, 결국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어리석은 자들, 그분의 명령을 무시하는 모든 사람은 선교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즉 예수께서 보여주신 모든 삶과 말씀이 선교의 내용이 되는 것이며, 이것은 곧 예수를 믿음으로 얻는 죄 사함과 죄 사함 이후의 마땅한 삶의 모습이 되는 것이다. 죄 사함은 아직 그리스도를 영접하지 못한 자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고, 죄 사함 받은 이후의 마땅한 삶의 모습은 그리스도를 이미 만난 자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두 경우 다 기본적으로 그리스도를 구원의 길로 영접함으로써 가능해지는 일이다. 그리스도를 영접할 때 죄 사함이 일어나고, 그리스도를 통해 죄 사함을 받은 사람이라야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삶에서 지키게 되는 것이다. 결국, 첫 출발은 그리스도를 유일한 구원의 길로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