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4 선교신학

제4 선교신학

(위기의 기독교를 위한 대안적 선교 패러다임)

안승오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4 선교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4 선교신학 (위기의 기독교를 위한 대안적 선교 패러다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8448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6-11-30

책 소개

현재까지 나타난 선교의 세 가지 유형인 복음주의 선교, 에큐메니칼 선교, 통전적인 선교의 태동 배경, 핵심 내용, 강점과 한계점 등을 명쾌하게 분석한 후 위기에 처한 기독교 선교가 나아갈 대안적 선교 패러다임을 제4 선교로 제시하는 책이다.

목차

차 례
서문 / 5

제1부_ 복음주의 선교신학 (초대교회 - 2010년 케이프타운 로잔 3차 대회) /20
1장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태동 배경과 흐름 / 23
1. 종교개혁과 경건주의 / 23
2. 복음주의 부흥 운동과 근본주의 운동 / 25
3. 에큐메니칼 운동에 반대하는 선교 운동 / 28
2장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강조점들 / 36
1. 성경의 권위 / 38
2.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 / 40
3. 개인의 회심 / 42
4. 교회의 설립과 성장 / 44
5. 구령의 책임과 긴급성 / 46
6. 사회봉사에 대한 관심 / 48
3장 복음주의 선교의 주요 전략들 / 52
1. 삼자원리 / 53
2. 믿음 선교 전략 / 61
3. 교회성장 전략 / 66
4. 미전도 종족 선교 전략 / 69
4장 복 음주의 선교신학에 대한 평가 / 74
1. 구령의 열정과 선교 열매 / 74
2. 역동적인 기독교 조성 / 76
3. 사회의 변화로 이어진 개인들의 변화 기여 / 78
4. 복음화를 위한 연합 추구 / 80
5. 비윤리적인 선교 행태 / 82
6. 사회에 대한 관심의 약화 가능성 / 86

제2부_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1910년 에딘버러 대회 - 1975년 나이로비 대회) / 89
5장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태동 배경과 흐름 / 92
1. 에큐메니칼 운동의 의미와 태동 배경 / 92
2.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흐름 / 102
1) 선교를 위한 협력 패러다임(1910-1948년) / 102
2)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패러다임(1952-1963년) / 107
3) 인간화 패러다임 (1968-1975년) / 111
4) 생명 패러다임 (1983년 - 현재) / 116
6장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주된 관심 / 126
1. 세계 / 127
2, 화해와 일치 / 131
3. 대화와 공존 / 134
4. 생명 / 138
7장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기여점과 한계점 / 143
1. 교회의 화합과 일치에 기여 / 143
2. 세계 속에서의 교회와 교인의 책임 강조 / 145
3. 샬롬에 대한 책임 도전 / 146
4. 복음화 역량의 약화 가능성 / 147
5. 선교의 주된 역군인 교회의 약화 가능성 / 150
6. 광범위한 포괄성과 그로 인한 효율성 감소 가능성 / 153

제3부_ 통전적 선교신학(1975년 나이로비 대회 - 현재) / 157
8장 ‘통전적 선교신학’ 이란 용어의 의미와 태동 배경 / 160
1. 양 진영 사이의 갈등 상황 / 160
2. 갈등 상황에서 대안으로 제시된 통전적 선교신학 / 163
9장 에 큐메니칼 진영의 ‘통전적 선교신학’ 흐름 / 166
1. 통전적 선교를 향한 에큐메니칼 진영의 노력 / 166
2. 에큐메니칼 진영이 말하는 통전적 선교 / 168
10장 복음주의 진영의 “통전적 선교신학” 흐름 / 172
1. 복음주의 진영의 점진적인 변화 / 172
2. 2000년 이후의 적극적인 변화 / 177
11장 통 전적 선교신학의 기여점과 한계점 / 183
1. 균형감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도전 / 183
2. 패러다임과 개념의 혼란 가능성 / 187
3. 현실성의 문제 / 192
4. 효율성의 감소 가능성 / 196
5. 전도와 교회의 약화 가능성 / 199

제4부_ 대안신학으로서의 제4 선교신학 / 204
12장 제4선교신학의 태동 배경과 필요성 / 207
1. 약화되는 기독교 현황 / 207
2. 위기 앞에서 무력한 오늘의 선교신학 / 210
13장 제4선교신학의 주된 강조점 / 215
1. 교회의 위치를 중시하는 선교신학 / 215
2. 윤리를 중시하면서도 윤리와 선교를 구분하는 선교신학 / 219
3. 우선순위를 놓치지 않는 선교신학 / 224
4.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선교신학 / 229
14장 제4선교신학의 기본적인 틀거리 / 235
1. 선교의 개념 / 235
2. 선교의 목표 / 242
3. 선교의 방법 / 249
4. 선교의 내용 / 256
5. 선교의 주체 / 262
6. 선교의 대상 / 270
7. 4가지 선교 패러다임 비교분석 / 275
영문요약(Abstract) / 279
참고문헌 / 290

저자소개

안승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럽을 중심으로 서구 교회들이 심각한 퇴조의 모습을 보이며 제2/3세계 선교의 핵심 주자 역할을 감당하던 한국 교회마저 내우외환으로 위기를 겪는 모습을 보면서 기독교의 회복과 건강한 성장 방향을 찾아 고뇌하는 선교학자이다. 특별히 대안 선교인 ‘제4 선교신학’을 주창하면서 위기의 기독교를 살리는 선교 방향 찾기에 힘쓰고 있다. 성결대학교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원(M.Div.)에서 수학한 후, 미국 풀러신학대학원에서 선교학으로 신학 석사(Th. M.) 학위와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총회 파송을 받아 필리핀에서 선교 사역을 했으며, 풀러신학대학원 객원교수, Journal of Asian Mission 편집 위원, 한국로잔연구교수회장, 영남신학대학교 대학원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선교와 신학」 편집 위원, 「복음과 선교」 편집 위원, 「선교와 교회」 편집장, 지구촌선교연구원장, 영남신학대학교 선교신학 교수 등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7 Key Principles of Dynamic Church Growth, Rethinking the Theology of WCC, 『선교사가 그린 선교사 바울의 생애』,『능력 있는 예배를 위한 7가지 질문』, 『건강한 교회 성장을 위한 핵심 원리 7가지』, 『사도행전에서 배우는 선교 주제 28가지』, 『현대 선교학 개론』(공저), 『한 권으로 읽는 세계선교 역사 100장면』, 『성장하는 이슬람 약화되는 기독교』,『현대 선교신학』, 『현대 선교의 핵심 주제 8가지』, 『이슬람의 어제와 오늘』, 『현대 선교의 프레임』, 『제4 선교신학』,『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현대 선교신학(개정판)』, 『현대 선교의 목표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복음주의 선교신학은 선교를 해야 할 당위성을 성경에서 찾는다. 모든 사람을 제자로 삼으라는 성경의 명령을 신중하게 생각하면서 상황이 어떻게 변하든 이 명령을 순종하는 것이 중요한 사명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지닌다. 즉 성경과 상황 중에서 성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상황을 성경보다 우위에 두는 경향을 보이는 진보진영의 성경 이해와 대조적인 면이며, 이처럼 성경의 명령을 시대와 상황을 초월하여 순종해야 하는 말씀으로 이해하는 자세 때문에 복음전도 위주의 선교를 역동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에딘버러 대회(1910년)는 에큐메니칼 운동의 효시라 할 수 있는 대회였다. 물론 이 대회가 세계 최초의 선교 대회는 아니었다. 이 대회 이전에도 많은 선교 대회들이 있었는데, 예를 들면 1825년 봄베이에서 세계선교 대회가 열렸고 그 후에도 여러 선교 대회들이 열렸다. 그러나 에딘버러 대회는 “이 세대 안에 세계복음화”란 주제를 가지고 어떻게 하면 모두가 함께 협력하면서 효율적인 선교를 할 것인가를 다룸으로써 20세기 선교와 연합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통전적 선교신학의 또 하나의 기여점은 윤리적 책임에 대한 강력한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에큐메니칼 진영은 본래부터 사회참여나 윤리적 책임 등의 문제들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졌지만 복음주의 진영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복음전도에 우선순위를 두었기에 윤리적 책임 또는 사회참여 등의 문제들에 대해서는 다소 관심이 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전통적인 선교는 개인의 회심과 개교회의 성장 등에 많은 강점을 두는 반면, 세상 속에서 빛을 발하는 윤리적 차원에 대해서는 다소 약한 면이 있었고, 그리스도의 모범을 교회 내로 제한하여 교회와 세상을 이원적으로 볼 수 있는 약점이 내재된 것이 사실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