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4085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2-03-31
책 소개
목차
추 천사 1
강 대 흥 박사 | 한국세계선교협의회 KWMA 사무총장
권 성 찬 박사 | 한국해외선교회(GMF) 대표
김 성 욱 박사 | 총신대학교 선교신학 교수, 통합대학원장
변 창 욱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신학 교수, 총회 세계선교훈련원장
안 희 열 박사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선교신학 교수
이 재 훈 박사 | 온누리교회 담임목사
장 훈 태 박사 | 아프리카미래협회(AFA) 회장, 국제난민연구소 소장
허 원 구 박사 | 부산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홍 경 환 박사 |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해외 ‧ 다문화 선교처 총무
프롤로그: 오늘의 기독교는 과연 선명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 흔들리지 않고 달려가고 있는가? 18
1. 선명한 목표의 중요성 18
2. 너무 많은 목표에 빠져 길을 잃은 기독교 선교 19
3. 기준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21
4. 기독교를 건강하게 세워나가는 선교 목표를 추구하라 23
5. 이 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점들 24
제1장 인간화(Humanization) 27
1. 들어가는 말 27
2. 인간화 개념의 태동 배경 28
3. 인간화 개념의 강조점들 34
4. 인간화를 선교의 목표로 삼을 때 생각할 점들 39
5. 선교의 목표로서의 인간화 개념의 기여점과 한계점 45
6. 요약 및 전망 54
제2장 정의(Justice) 56
1. 들어가는 말 56
2. ‘정의’가 선교의 목표로 등장하게 된 배경 58
3. 선교의 목적으로서의 ‘정의’의 구체적인 관심 영역들 64
4. ‘정의’를 선교의 목적으로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 71
5. 요약 및 전망 80
제3장 평화(Peace) 82
1. 들어가는 말 82
2. 평화에 대한 WCC의 관심 흐름 84
3. WCC가 말하는 평화의 주된 특징들 90
4. 평화를 선교의 한 목표로 설정할 때 고려할 점들 95
5. 요약 및 전망 103
제4장 창조질서 보전(Integrity of Creation) 105
1. 들어가는 말 105
2. 창조질서 보전 사역이 강조된 배경 106
3. 창조질서 보전(Integrity of Creation) 사역에 대한
WCC 관심의 흐름 111
4. 창조질서 보전(Integrity of Creation)에 나타난 강조점들 115
5. 선교의 목표로 창조질서 보전(Integrity of Creation)을
말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 121
6. 요약 및 전망 129
제5장 화해(Reconciliation) 131
1. 들어가는 말 131
2. 에큐메니컬 화해 개념의 배경과 특징 132
3. 에큐메니컬 화해 개념의 음과 양 141
4. 요약 및 전망 152
제6장 하나님의 나라(Kingdom of God) 154
1. 들어가는 말 154
2. ‘하나님의 나라’ 문제에서 주된 논쟁점들 155
3. 협의회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의 경향 163
4. 에큐메니컬 하나님 나라 이해의 기여점과 한계점 171
5. 요약 및 전망 179
제7장 복음화(Evangelization) 182
1. 들어가는 말 182
2. 복음화 중심 선교에 대한 에큐메니컬 진영의 문제 제기 183
3. 에큐메니컬 진영이 보여 주는 복음화와 연관된 강조점 경향 192
4. 복음전도가 여전히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들 197
5. 요약 및 전망 209
제8장 건강한 교회 세움(Building up Healthy Church) 211
1. 들어가는 말 211
2. 전통적인 선교의 한 목표였던 ‘교회 세움’과 연관된 전략들 212
3. 교회가 아닌 세상을 우선 순위에 두는 선교 개념 등장 218
4. 여전히 선교의 핵심 목표인 교회 세움 223
5. 요약 및 전망 233
제9장 하나님의 영광(Glory of God) 234
1. 들어가는 말 234
2. 성도의 의무와 선교의 목표로서의 하나님께 영광 돌림 235
3. 선교의 한 목표로서의 ‘하나님의 영광’ 의 기여점 241
4. ‘하나님께 영광’을 목표로 하는 선교의 수행 과제들 256
5. 요약 및 전망 265
에필로그: 기독교 선교는 어떤 선교 목적을 향해 나가야 하는가? 267
1. 에큐메니컬 진영의 관심 vs. 전통적 복음주의 진영의 관심 267
2. 양 진영의 갈등을 봉합하고자 한 통전적 선교의 관심과 한계 269
3. 바람직한 선교 목표 설정의 기준들 272
부록: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점 소고 280
1. 들어가는 말 280
2. 역사적 관점에서 본 통전적 선교의 한계 281
3. 성경적 관점에서 본 통전적 선교의 한계 288
4. 실천적 차원에서의 한계 295
5. 요약 및 전망 303
참고 문헌 304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통적인 선교에서 수행된 문명화 선교는 적어도 선교의 목표 자체를 문명화로 삼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인 선교는 문명화를 선교의 다리로 보거나 구령의 결과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그리고 전통적인 문명화 선교가 추구한 사회 변혁은 다소 점진적인 변화였다. 반면에 에큐메니컬 진영의 인간화 선교는 급진적인 방식을 통한 사회 구조 악 제거를 선교의 목표로 삼는 것이다. 이것은 성공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으며, 이루어진다 해도 그것은 단지 하나의 사회 변화일 뿐 하나님과의 관계 변화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협의회의 관점은 교회로 하여금 평화 실현을 위한 교회의 과제를 상기시키고 도전한다는 점에서 분명 기여점이 있다. 평화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평화를 윤리적 목표가 아닌 선교의 목표로 설정할 때는 여전히 고민해야 할 한계점들도 보인다. 그것들은 앞에서 살펴본 대로 협의회가 말하는 ‘정의로운 평화’ 개념의 모호성, 영적 차원의 미흡,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어려운 과제를 선교에 포함시키는 문제 그리고 평화와 전도의 딜레마 등이 될 것이다.
창조 세계를 돌보고 창조 세계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은 하나님을 창조주 하나님으로 모시는 모든 기독교인의 당연하고도 엄중한 책임이다. 창조 세계의 보전 문제는 인간들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이다. 특별히 전 세계에 불어 닥친 코로나 19 사태는 우리에게 생태 보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협의회가 JPIC를 강조하면서 창조질서 보전의 책임을 강조한 것은 시의적절하고 옳은 일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