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0223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9-09-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박기호 박사 / 풀러신학교 아시아선교학 교수
김은호 목사 / 오륜교회 담임
안건상 박사 / 풀러신학교 성경과 선교학 교수 및 선교학부 코리안부센터장
저자 서문
제1장 선교적 교회의 뿌리 - 성경적 이해 13
1. 교회에 투영되는 하나님의 선교 13
2. 하나님 선교를 위해 흩어지는 사람들 32
3. 하나님 선교의 가시적 모델인 안디옥교회 56
제2장 선교적 교회의 몸통 - 선교학적 의미 74
1. 선교적 교회의 역사적 이해 74
2.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이해 87
제3장 선교적 교회의 가지 - 역사적 통찰 106
1. 선교적 교회론의 영향과 흐름들 이해 106
2. 선교적 교회 운동의 상황적 이해 120
3. 선교적 교회의 교회론적 이해 134
제4장 선교적 교회의 열매 - 목회적 적용 156
1.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선과제와 목회철학 156
2. 선교적 교회의 사역 패러다임 적용들 171
3.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을 위한 브리지 전략 193
미주 209
참고 문헌 218
약력(VITA) 231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제 한국교회는 복음의 황금기는 끝나고 복음의 침체기를 맞고 있다. 아니 심각한 복음의 가뭄에 접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 교회가 500년, 미국교회는 300년이 걸렸던 이런 상황이 한국교회의 경우 100년 지난 이 상황에서 시작되었다(최윤식, 최현식 2013: 14). 이런 시대적 위기 상황 앞에서 교회는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 교회의 존재 목적에 대한 재성찰만이 상실되어가는 복음의 능력을 다시 회복하는 지름길이다. 성경에서 간과되어 왔던 선교적 교회론에 재조명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선교적 교회론은 서구교회의 때늦은 그러나 가장 빠른 위기 극복의 대응책으로써 목회적, 신학적 성찰로부터 부상하고 있다(Guder 1998: 3).
또한, 안디옥교회는 순교자의 피를 토대로 세워진 교회이다(행 11:19). 즉, 핍박과 환란으로 흩어져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개척한 참 신앙인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헬라파 유대인 및 이방인들에게 복음 전파을 통해 지역 교회로서 회심 중심의 성장을 이루었다(Greenway and Monsma 2000: 58). 단지 교회가 성장을 이룬 것에서 세상을 향하여 보냄 받은 교회의 사명을 감당한 것은 아니다. 안디옥교회는 기꺼이 세계 선교를 위해 지도자를 파송하는 데 헌신된 선교적 공동체였다. 안디옥교회는 사도들이 아닌 하나님 선교의 섭리 가운데 성도들의 흩어짐과 복음 증거를 통해 세워진 교회이다. 올슨(C. Gordon Olson)은 이렇게 지적한다.
“이것이 사도적이자(the apostolic) 향후 사도적 교회(the apostolic church)의 형태이다”(1988: 288).
선교적 문화 상황의 위기를 극복하는 지름길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께 있다. 오직 “다시 세상과 소통하는 그 복음으로 돌아가자”는 주님의 성육신적 정신이 필요하다. 성육신적 가치를 지향하는 선교지의 복음은 교회의 본질적 사명에 대한 나침반이다. 선교적 교회론은 교회가 문화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문화와 관계를 맺게 하는 성육신적 정신을 제시한다(Frost and Hirsh 2003: 16). 또한, 세속주의와 소비주의에 젖어버린 교회가 교회의 제자리인 선교적 본질로 안내한다. 하나님 나라 회복을 위해 출정하는 이스라엘 백성이 불었던 행진 나팔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