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712800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08
1 장 ______ 복음과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
모이고 흩어지는 선교적 교회 - 23
성도가 작고 카페가 있으면 되나요 - 34
선교를 열심히 하는 교회나요 - 42
모이는 실체와 흩어지는 본질의 엇박자 - 47
선교적은 선교적 교회의 브랜드 - 57
선교적 본질과 사명이 이끄는 교회 - 64
선교사의 심정을 갖은 목회자인가요 - 68
다문화 코드에 영점을 바꾼 사역 - 73
2 장 _______ 선교적 교회와 예배갱신
선교적 교회와 예배 - 83
성전식 사고와 예배를 고수하는 교회 - 88
하나님의 임재와 마라나타의 고백_리얼리티 - 93
성령의 체험과 증인들의 고백_ 모자이크 - 101
전통과 현대문화의 예배조화_ 오아시스 - 107
말씀과 성령의 역사하심의 균형_ 타페스트리 - 113
3 장 ________ 다세대를 위한 선교적 제자도
선교적 교회와 제자도 - 127
전통적 교회의 제도화된 제자훈련 - 135
자기부인과 본을 보이는 제자도_브룩힐즈 - 143
개인을 넘어 공동체적 제자도_ 뉴송 - 152
세상을 향하는 사도적 제자도_ 락하버 - 160
멀티적 재생산의 제자도_ 코너스톤 - 167
4 장 ______ 관계와 복음 중심의 선교적 공동체
선교적 교회와 공동체 - 182
전통적 교회의 제도화된 공동체의 한계 - 189
전통과 현대의 신앙의 대물림_크리스찬 어셈블리 - 194
초대와 훈련의 관계적 공동체_시티즌 소마 - 200
소속과 믿음의 선교적 공동체_ 센트럴 - 207
관계와 번식의 유기체적 공동체_ 오가닉 - 215
5 장 ______ 문화와 복음 사이에서 선교적 상황화
문화와 복음 그리고 선교적 교회 - 226
문화와 복음 사이에 교회의 전통 - 231
문화와 복음의 상황화_뉴욕 리딤머 - 237
세속화의 죄악들과 치유회복_그레이스 시티 - 245
경제적 소자들을 위한 돌봄과 나눔_ 뉴시티 - 252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책임과 정의_ 드림센테 - 259
6 장 _______ 전환과 개척의 한국형 선교적 교회
북미 대형교회의 선교적 교회 개척_힐송 - 271
1세대 한인교회의 선교적 교회 개척_시드 - 277
2세대 한인교회의 선교적 교회 전환_ANC 온누리 - 284
작은교회 형태의 선교적 교회 개척_ 작은 동네 - 291
가나안 성도들을 위한 선교적 교회_ 가나안 - 295
다문화 가정을 위한 선교적교회_ 이천 신하 - 301
선교적 제자도에 기초한 선교적 교회_ 사모초 - 305
저자소개
책속에서
선교적 교회는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교회와 목회자들에게 조금씩 부각된지 10~15년이 채 지나지 않았다. 지금 어느 상황에 와 있는가? 이때 쯤 중간 평가가 필요 하다. 보다 발전적 다음 단계를 마련 하는데도 유익 하다. 세분해 보면, 창의적 진전, 현상유지, 불안한 퇴보 중 하나일 것이다. 지금 변혁적(Innovators) 또는 초기 수용자(Early Adaptors)격 목회자들 사이에 패잔병의 시름 소리가 터져나고 있다. 새로운 교회 개척 형태로 출발한 목회자 가운데 기독교 복음을 외면하는 냉혹한 현실 앞에 고군분투 중이다.
만약 이대로 간다면 지난 영국교회가 겪었던 처참한 역사는 곧 한국교회에 불어닥칠 현실임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의식있는 목회자들의 새로운 교회개척 형태의 모험은 지난 날 잊혀진 유행가처럼 끝나고 말것이다. 선교적 교회는 정말 끓는 냄비와 같이 식어 버릴 것인가? 그 간의 뜨거웠던 관심은 카푸치노 커피(Cappuccino Coffee)의 거품처럼 진향 향기만을 남긴 채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다. 이런 냉소적(Synical)인 시선이 지나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다소 냉소적 시선에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선교적 교회의 열기가 식어 가면서 새삼 부상하는 것이 선교적 교회로의 체질변화이다. 보다 목회자들에게 필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모이는 교회에서 흩어지는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 모색이다. 교회개척은 시간과 재정, 그리고 인적자원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일반 개척교회 하나도 건사 하기 힘든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 개척이란 보기에 드럴싸한 진열장에 있는 매력적인 상품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알맹이가 없는 쭉정이 같을 수 있다.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은 한국 상황에 적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새로운 교회개척과는 달리 교회의 체질의 변화는 중소형 교회 목회자들의 리더쉽 발휘가 용이하다. 또한 목회자의 리더쉽과 그 결과로서 가시적인 변화들을 진단 및 평가가 수월하다. 이제 모이는 교회에서 흩어지는 교회로의 전환에 있어 목회자가 해결 할 핵심과제가 있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의 체질을 변화 할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