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교적 교회의 냉정과 열정

선교적 교회의 냉정과 열정

장기명 (지은이)
도서기획 나들목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교적 교회의 냉정과 열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교적 교회의 냉정과 열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712800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09-01

책 소개

북미 사회의 특수한 문화적이면서 선교적 상황에 따른 선교적 교회들의 본질적 원리와 핵심가치를 제시해 주고 있다. 선교적 교회의 핵심가치들과 원리들에 대한 저자의 선교학적이면서 목회자로서의 해석과 적용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08

1 장 ______ 복음과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

모이고 흩어지는 선교적 교회 - 23
성도가 작고 카페가 있으면 되나요 - 34
선교를 열심히 하는 교회나요 - 42
모이는 실체와 흩어지는 본질의 엇박자 - 47
선교적은 선교적 교회의 브랜드 - 57
선교적 본질과 사명이 이끄는 교회 - 64
선교사의 심정을 갖은 목회자인가요 - 68
다문화 코드에 영점을 바꾼 사역 - 73

2 장 _______ 선교적 교회와 예배갱신

선교적 교회와 예배 - 83
성전식 사고와 예배를 고수하는 교회 - 88
하나님의 임재와 마라나타의 고백_리얼리티 - 93
성령의 체험과 증인들의 고백_ 모자이크 - 101
전통과 현대문화의 예배조화_ 오아시스 - 107
말씀과 성령의 역사하심의 균형_ 타페스트리 - 113

3 장 ________ 다세대를 위한 선교적 제자도

선교적 교회와 제자도 - 127
전통적 교회의 제도화된 제자훈련 - 135
자기부인과 본을 보이는 제자도_브룩힐즈 - 143
개인을 넘어 공동체적 제자도_ 뉴송 - 152
세상을 향하는 사도적 제자도_ 락하버 - 160
멀티적 재생산의 제자도_ 코너스톤 - 167

4 장 ______ 관계와 복음 중심의 선교적 공동체

선교적 교회와 공동체 - 182
전통적 교회의 제도화된 공동체의 한계 - 189
전통과 현대의 신앙의 대물림_크리스찬 어셈블리 - 194
초대와 훈련의 관계적 공동체_시티즌 소마 - 200
소속과 믿음의 선교적 공동체_ 센트럴 - 207
관계와 번식의 유기체적 공동체_ 오가닉 - 215

5 장 ______ 문화와 복음 사이에서 선교적 상황화

문화와 복음 그리고 선교적 교회 - 226
문화와 복음 사이에 교회의 전통 - 231
문화와 복음의 상황화_뉴욕 리딤머 - 237
세속화의 죄악들과 치유회복_그레이스 시티 - 245
경제적 소자들을 위한 돌봄과 나눔_ 뉴시티 - 252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책임과 정의_ 드림센테 - 259

6 장 _______ 전환과 개척의 한국형 선교적 교회
북미 대형교회의 선교적 교회 개척_힐송 - 271
1세대 한인교회의 선교적 교회 개척_시드 - 277
2세대 한인교회의 선교적 교회 전환_ANC 온누리 - 284
작은교회 형태의 선교적 교회 개척_ 작은 동네 - 291
가나안 성도들을 위한 선교적 교회_ 가나안 - 295
다문화 가정을 위한 선교적교회_ 이천 신하 - 301
선교적 제자도에 기초한 선교적 교회_ 사모초 - 305

저자소개

장기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B.A)입학 후 예수전도단 (Youth With a Mission, YWAM) 선교단체 활동을 통해서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만났다. 대학을 졸업 후 신림동 고시촌이 아 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선교지(YWAM 선교 센터)로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3년간 위탁하였다. 선교센터에서 선교 사 훈련(귀납적 성경 연구학교; SBS)과 성경연구학교 간사 및 길 거리 노숙인 사역, 판자촌 사역을 통하여 하나님의 선교와 복음의 역사를 경험하였다. 귀국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 석사(M.Div)과정을 졸업 후 동성교회(중곡동 2004-2008)에서 교육전도사와 강도 사로 교육부와 해외 선교위원회에서 사역 하였고, 오륜교회 (2008-2012)에서 부목사로 교구 사역(가락, 문정 / 잠실,강남)과 국 제사역부(외국인 예배와 다문화 사역)을 담당하였다. 선교적 교회 의 비전을 품고 도미하여 2013년 풀러신학교 선교대학원 (Fuller Theology Seminary Missiology)에서 선교신학(Th.M)과 선교 학(D.Miss)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풀러 신학교 선교 학부와 연계된 아시아선교연구소(IAM)연구위원으로 활동중이다. 귀국 후 선교적 교회 연구원(MDIC, Missional Disciple in Church)과 선교적제자 사역원(MDIM, Missional Disciple in Ministry)을 시작 하였다. 사회적 약자들인 4자들(고아, 과부, 외국인, 가난 자)을 위한 선교적 사모초 교회를 개척하였다. 저서들로는 선교적 교회론의 입문서인 <하나님의 심장을 품은 교회(CLC)>와 선교적 제자도의 개념서인 <하나님의 심장으로 뛰는 교회(CLC)>, 북미 선교적 교회들을 소개한 <선 교적 교회의 냉정과 열정(나들목)>, 뉴노멀의 선교적 세대들을 소개한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사람들이 온다(나들목)>, 개척교회 간증집으로<다시 은혜의 광야로(나들목)>, 강해설교집 <은혜의 간극>이 있다. 그 밖에 뉴노멀 세대를 위한 <교회(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의 본질을 붙잡는 제자훈련> 교재 시리즈인(1권, 2권, 3권) 과 <복음(하나님의 나라와 대위임령)의 본질을 붙잡는 제자훈련>(1 권, 2권,3권) 등을 집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교적 교회는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교회와 목회자들에게 조금씩 부각된지 10~15년이 채 지나지 않았다. 지금 어느 상황에 와 있는가? 이때 쯤 중간 평가가 필요 하다. 보다 발전적 다음 단계를 마련 하는데도 유익 하다. 세분해 보면, 창의적 진전, 현상유지, 불안한 퇴보 중 하나일 것이다. 지금 변혁적(Innovators) 또는 초기 수용자(Early Adaptors)격 목회자들 사이에 패잔병의 시름 소리가 터져나고 있다. 새로운 교회 개척 형태로 출발한 목회자 가운데 기독교 복음을 외면하는 냉혹한 현실 앞에 고군분투 중이다.

만약 이대로 간다면 지난 영국교회가 겪었던 처참한 역사는 곧 한국교회에 불어닥칠 현실임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의식있는 목회자들의 새로운 교회개척 형태의 모험은 지난 날 잊혀진 유행가처럼 끝나고 말것이다. 선교적 교회는 정말 끓는 냄비와 같이 식어 버릴 것인가? 그 간의 뜨거웠던 관심은 카푸치노 커피(Cappuccino Coffee)의 거품처럼 진향 향기만을 남긴 채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다. 이런 냉소적(Synical)인 시선이 지나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다소 냉소적 시선에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선교적 교회의 열기가 식어 가면서 새삼 부상하는 것이 선교적 교회로의 체질변화이다. 보다 목회자들에게 필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모이는 교회에서 흩어지는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 모색이다. 교회개척은 시간과 재정, 그리고 인적자원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일반 개척교회 하나도 건사 하기 힘든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 개척이란 보기에 드럴싸한 진열장에 있는 매력적인 상품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알맹이가 없는 쭉정이 같을 수 있다.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은 한국 상황에 적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새로운 교회개척과는 달리 교회의 체질의 변화는 중소형 교회 목회자들의 리더쉽 발휘가 용이하다. 또한 목회자의 리더쉽과 그 결과로서 가시적인 변화들을 진단 및 평가가 수월하다. 이제 모이는 교회에서 흩어지는 교회로의 전환에 있어 목회자가 해결 할 핵심과제가 있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의 체질을 변화 할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