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048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10-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정우 박사_총신대 명예교수, 한국신학정보연구원장
왕대일 박사_전 감신대 구약학 교수
유윤종 박사_평택대학교 구약학 교수,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장
유선명 박사_백석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
하경택 박사_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김선종 박사_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홍국평 박사_연세대학교 구약학 교수
저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제2이사야의 문학과 희망의 메시지
제3장 제3이사야의 묵시문학적 메시지
제4장 스가랴서의 묵시문학적 메시지
제5장 다니엘서의 묵시문학적 메시지
제6장 제2성전 시대 묵시문학 장르에 나타난 참회기도 연구
(이사야 63:7-64:11과 다니엘 9:3-19을 중심으로)
제7장 쿰란 다니엘 문서(4Q242, 243-245, 246 )
제8장 마카비 혁명 시대의 하시딤
제9장 4Q위-에스겔(Pseudo-Ezekiel)에 나타난 에스겔 전승의 재해석
제10장 벨리알과 사탄에 대한 역사적 개념 변천 연구
제11장 묵시문학적 관점에서 본 쿰란문서의 ‘죽음과 부활’ 이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사야 44:24 이하 단락은 ‘고레스 단락’으로 불린다. 이 단락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페르시아제국의 창건자 고레스 왕(기원전 559?530년)이다. 이사야 44:24-45:8은 고레스의 정체성과 임무를 밝힌다. 이 단락에서 고레스 왕의 이름이 두 번 직접적으로 언급된다. 즉, “고레스에 대하여...내 목자라”(사 44:28)와 “기름부음을 받은 고레스”(사 45:1)라 부른다. 스위니는 이 묘사를 기원전 539년 바벨론 신년축제에서 바벨론의 왕으로 고레스가 선포되는 장면을 염두에 둔 것으로 여긴다.
이사야 60장은 새예루살렘의 영광을 묘사하는데, 이곳에 하나님의 영광이 출현하고, 열방의 재물이 모이고,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며 중요한 성읍으로 부상한다. 이 장은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이는 네 빛이 이르렀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위에 임하였음이니라”는 구절로 시작한다.
이사야 60장은 시온의 장래 영광을 노래한다는 점에서 주현절(Epiphany)에 불리는 구절이다. 이사야 60장은 시온에서 빛이 나와 시온이 열방을 인도하고, 예루살렘이 열방 가운데 높임을 받게 될 것을 약속한다. 이사야 60:1-9은 예루살렘으로 재물을 갖고 오는 이방 나라들(미디안, 에바, 스바, 게달, 느바욧, 다시스 등)을 열거한다.
다니엘서 2장의 메시지는 이방인 통치하에서 살던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삶의 태도를 규정한다. 이방의 교육과 문화에 동화되어 살 수 있지만, 음식법과 같은 종교적인 문제에서는 타협이 없다는 것과 이방의 신과 하나님을 함께 섬길 수 없다는 삶의 태도를 제시한다. 다니엘서 2장은 디아스포라 유대인에게 혁명이나 반역보다 인내를 가르친다. 다니엘과 친구들은 이방인 통치자나 그들의 문화와 교육을 거부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방인 왕을 하나님의 계획의 일부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