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282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서문을 대신해서 6
일러두기 12
제1부 친젠도르프와 헤른후트
1 친젠도르프라는 사람 23
2 교육과 학습 여행 33
3 결혼과 직업 45
4 헤른후트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50
5 1727년 8월 13일: 형제회의 전환 61
6 도전과 반응 74
7 순례 공동체 101
8 지경을 넓히다 132
9 헤른학: 베테라우 공동체 170
10 그리스도를 향한 수고 205
제2부 형제회의 신학과 유산
1 옛 형제회의 유산 237
2 공동체 의식 245
3 형제회와 여성 249
4 소그룹과 영적 교제 260
5 경건과 신비주의 262
6 예수 옆구리 상처 268
7 예배와 찬양 274
8 선교 공동체 284
9 종교적 회심의 의미 292
10 친젠도르프와 영국 모라비안 298
11 형제회와 존 웨슬리 307
12 공동체: 평가와 가치 326
친젠도르프 연대표 표시 338
참고 문헌 345
미주 351
저자소개
책속에서
친젠도르프는 해가 지나면서 자신의 소유지에 관한 용무들을 감당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거주지를 위한 명칭을 “헤른후트”로 관철시켰고, 1723년 11월 11일에는 이 지역을 위한 통행증을 발급했다. 이는 신앙 망명자들에 대한 안전보장서 같은 것이었다. 1723년 여름 베르텔스도르프에 친젠도르프의 저택이 입주 가능해지자, 가정교회가 세워졌다. 그곳에서 후일 헤른후트 공동체에서 중요해진 소그룹 모임이 시작되었다.
경건주의의 넓이와 깊이는 필요와 질문의 다양성을 반영한 것이며, 신앙적인 결단을 요청했다. “거듭난 자들”혹은 “참된 그리스도인”의 공동체로 연합이 일어났다. 공동체 안에서 종교적인 활동에 대한 평신도의 자발적인 필요가 전개되었는데, 이는 경제적으로 분업이 점증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이동이 불가피한 것을 수용했다. 미지의 범위와 크기로 교회의 범주를 돌파해야 하는 새로운 그룹 정체성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래서 다양하고 활발하게 소그룹이 전개되었다.
친젠도르프는 영국의 사역을 확고하게 하려고 1751년 8월부터 1755년 3월까지 자신의 주소를 런던으로 옮겼다. 친젠도르프는 형제회를 위한 사역에 새롭게 돌진했다. 1753년 초에 그는 별장인 린지하우스를 런던으로 옮겼다. 그는 단순하고 소탈한 귀족 저택을 개축하도록 명했다. 게르스도르프가 토지의 건축 형태를 구성하고 전체를 기획했다. 새로운 거주지는 형제회 시설의 중심일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형제회 역사에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는 장소가 되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