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81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08-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사야 박사 | 남서울대학교 교수, 한국구약학회 총무
전재영 박사 | 로잔대학교 신학-종교학과 연구교수
그램 올트(Graeme Auld)박사 외 3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일러두기
서론
제1장 흔히 신명기역사서(신명기-열왕기하)라 불리는 책의 내용
1. 신명기
2. 여호수아
3. 사사기
4. 사무엘서-열왕기서
제2장 연구사 개관: 신명기역사서는 무엇을 뜻하는가?
1. 신명기역사서 가설의 전 단계 역사
2. 마틴 노트의 신명기역사서 이론의 완성
3. 신명기역사서 가설에 대한 주요한 수정과 비평
4. 현재의 논의의 양상: 절충의 시기?
제3장 앗수르 시대에서 페르시아 시대까지의 신명기역사서
1. ‘신명기사가들’은 누구였는가?
2. 열왕기하 22-23장의 신명기사가 학파의 기원 신화: 책의 발견과 종교 개혁
3. 신명기역사서의 삼중 편집의 예가 되는 신명기 12장의 중앙화에 관한 세 가지의 다른 관점들
제4장 앗수르 시대의 신명기사가적 편집과 왕실 프로파간다
1. 기원전 7세기 신명기사가 문학의 생산 시작
2. 앗수르 시대 신명기의 첫 번째 편집본
3. 여호수아서의 정치와 군사 프로파간다
4.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서
5. 요약: 신앗수르 시대의 신명기 서고의 기원
제5장 신바벨론 시대의 신명기역사서의 형성
1. 소위 ‘포로기’의 배경
2. 신명기역사서 포로기 편집본의 구조와 이데올로기
3. 신명기역사서의 포로기 편집본
4. 요약: 신명기역사서의 포로기 편집본
제6장 페르시아 시대의 신명기역사서 편집
1. 페르시아 시대 유다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정황
2. 신명기역사서 페르시아 편집본의 주요 주제들
3. 신명기역사서의 죽음과 토라의 탄생
한국어판 저자 후기
1. “신명기역사서”존재에 대한 부정
2. 첫 번째 신명기서 편집본의 역사적 맥락에 관한 논쟁
3. 신명기사가 자료에 예언문학적 보충들
4. 오경의 반포와 신명기사가적 자료집의 재구성
5. 결론
책속에서
히브리 성서에서 신명기는 토라, 즉 오경(Pentateuch)의 마지막 책인데, 이 책은 모세의 죽음으로 끝난다(신 34장). 이 이야기는 히브리 성서의 첫 부분에 정말로 잘 어울리는 결말이다. 왜냐하면, 오경은 ‘모세의 일대기’로 이해될 수 있는데, 출애굽기에서 신명기까지의 책들이 그의 출생부터(출 2장) 죽음에 이르는 그의 일생을 다루고 있다면, 창세기는 모세와 출애굽 이야기를 여는 일종의 서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신명기가 단지 과거의 이야기들과 법전들을 마무리하는 유언장인 것만은 아니다. 신명기는 또한 다음에 나오는 ‘역사’책들인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서 그리고 열왕기의 도입부가 되기도 한다. 이 책들은 히브리 성서의 예언서 첫 부분(‘전기 예언서’)을 이루고 있다. 이 책들을 영어 번역으로 읽는 것만으로도 신명기와 동일한 문체와 어휘를 쉽게 알아챌 수 있다.
이 본문들이 한 사람의 저자-편집자의 저작이라기에는 너무나 많은 차이점들을 드러낸다(예를 들어 수 1-3장의 연대기적 모순들이나 삿 2:11-3:6에서 이민족들이 왜 그 땅에 남게 되었는지 설명하는 다양한 이유들을 보라). 당시 이런 목소리들은 변두리에 머물렀다. 그러나 노트가 고안한 개념이 널리 퍼진 이후, 가설 그 자체의 중요한 발전들이 있었고 또한 신명기역사서의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에 관하여 상반되는 견해들이 잇따르게 되었다.
이미 언급했듯이, 노트 자신은 포로기 이전 신명기사가 활동의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이는 여전히 대부분의 독일 학자들이 취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신명기에서 열왕기서까지의 모든 신명기사가 본문들이 전반적으로 포로기를 배경으로 한다면 다음의 현상들, 즉 몇몇 정복 이야기들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어조와 또한 다윗 왕조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그리고 특히 히스기야와 요시야에 대한 찬사를 설명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