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1992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0-10-0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임성빈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임희모 박사 | 한일장신대학교 명예교수
윤순재 박사 | 주안대학원대학교 총장
김한성 박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선교영어학과 교수
이규대 박사 | 인도네시아 스리위자야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
머리말
제2판 서문
초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신학적 전통의 몇 가지 원천들
제3장 복음과 인도의 르네상스
제4장 힌두교에 대한 합리적인 논증: 느헤미야 고레
제5장 지존하신 그분 외에는: 브라흐마반답 우빠디야이
제6장 인도의 컵 안에 있는 생명의 물: 순다르 싱
제7장 박띠 마르그로서의 기독교: 아빠사미
제8장 새 창조의 신학: P. 첸치아
제9장 성령의 기독론: V. 차까라이
제10장 대화를 위한 준비: P. D. 데바난단
제11장 오늘의 인도 신학
제12장 인도 신학 사상의 유형과 용어들
제13장 평가와 전망
제14장 힌두 기독교?
제15장 성취 ? 마음의 동굴에서 462
제16장 행위의 길: M. M. 토마스 512
제17장 크리스트아드바이타: 단지바이 파키르바이(1895-1967) 542
용어 해설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책속에서
오랜 세월 동안 서구 신학자들은 인도교회가 언젠가는 세계교회의 신학에 특별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 믿고 기대해 왔다.
그리스도는 그의 삶의 중심이자 그의 모든 사고를 이끄는 힘이 됐지만, 그는 자신의 사고가 서구의 틀 속으로 끌려들어 가는 것에 대해 확고부동하게 거부했다. 후기 인도 신학자들의 저작물 속에서 친숙해진 많은 개념과 범주들이 처음에 결코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을 받아들인 적이 없던 센에 의해 규정됐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센에게는 놀라울 정도로 매력적이고 감동적인 무언가가 있다. 그는 힌두 구도자의 전형으로서, 엄청나게 비싼 진주를 발견했지만, 그것을 사기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파는 것은 꺼리는 사람이다. 우리는 센이 경험한 그리스도의 실재성, 그리고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자신이 사랑하는 인도의 전통으로 표현하려고 한 그의 노력의 진정성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인도 사상가들이 그리스도에 반응하여 자신들의 경험을 해석하려고 노력했던 방식을 이해하려면 필수적으로 케샵 찬드라 센의 접근방법에 친숙해져야 한다.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브라흐마반답의 가르침을 소개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상의 일은 아마도 다시 한번 그의 훌륭한 산스크리트어 찬송인 ‘성육신의 찬가’(the Hymns of the Incarnation) 중 하나를 인용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브라흐만의 초월적인 형상이시며,
가득히 넘쳐흐르는 영원한 지성 안에서
꽃이 피고 거울처럼 비취시는?
하나님이시며 신인(God-man)이신 그분께 찬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