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34125013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10-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권연경 박사│숭실대학교 기독교대학원장·기독교학과 교수 1
추천사 2 고(故) 박정신 박사│전 숭실대학교 부총장·대학원장 3
추천사 3 신종구 목사│대한예수교장로회 재건교회총회 증경총회장 5
프롤로그 16
제1장 머리말 21
제2장 낡은 성가집 35
1. 아픈 손가락 ‘신사참배’ 문제 35
2. 왜 깃발을 들어야 했을까 42
3. 다시 세운 교회, 재건교회 52
4. 천국 소망의 노래 75
5. 인간다움, 새로운 삶에 눈뜬 노래 93
6. 다음 세대를 준비한 노래 136
제3장 찬송가 가사와 시대사상 141
1. 신학적 방향 141
1) 성경 중심으로 살아가는 교회 141
2)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개혁주의 교회 154
3) 행위 중심의 ‘신행일치’ 160
(1) 선지자적 사명감을 지닌 교회
(2) 주의와 강령의 실천
(3) 사회참여 의식
(4) 성경적 생활윤리
4) 낮은 자를 위한 신학 171
2. 신앙의 형태 186
1) 책임질 줄 아는 신앙 186
2) 성별주의(聖別主義) 신앙 202
3) 돌아봄의 신앙 207
제4장 ‘재건운동가’와 ‘신앙혁명가’ 217
1. ‘재건운동가’와 ‘신앙혁명가’의 탄생 배경 224
1) 일제강점기 말 한국기독교 교단의 범과 224
2) 기성 장로교단의 재건운동 229
2. ‘재건운동가’와 ‘신앙혁명가’ 비교 234
1) 재건교회 ‘재건운동가’ 234
2) 복음교회 ‘신앙혁명가’ 242
3) 두 성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246
3. ‘재건운동가’, ‘신앙혁명가’ 가사의 내용 분석 251
1) 도전적 가사의 사용 251
2) 미래 종말론적 사상의 수용 258
4. 두 찬송가 가사의 내력과 특징 268
1) ‘재건운동가’의 기원 268
2) 최태용의 기독교조선복음주의교회 272
3) 두 찬송가의 구성적 비교 278
5. 재건교회와 복음주의교회의 기독교변혁운동 289
1) 회개운동과 저항운동 289
2) 회유와 선동 불의에 대한 반발 291
제5장 한국교회 개혁을 위한 큰 울림, 작은 파도 299
1. 신앙양심회복운동 299
2. 종말론적 소망과 동류의식 313
3. 회개의 강조와 실천적 믿음 327
4. 시대와 부조화한 선민의식 337
제6장 정리하는 말 351
참고 문헌 365
부록 1 찬송가 515장 ‘눈을 들어 하늘 보라’ 가사 원형에 대한 연구 373
1. 서론 374
2. 가사의 내용과 성격 비교 377
1) 석진영 작사의 ‘눈을 들어 하늘 보라’ 가사의 유래 377
2) 윤판석 작사의 ‘주의 종아 어이할고’ 가사의 특징 381
3) 재건교회 성가 ‘주의 죵아’ 가사의 내용 분석 385
3. 세 찬송가 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 391
4. 세 찬송가 가사의 원형에 대한 새로운 견해 400
5. 결론 405
참고 문헌 408
부록 2 성가집 원본 사진 자료 411
에필로그 433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한국기독교 역사에서 찬송가사(讚頌歌史)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첫째, 찬송가의 순수음악적 분야로 작곡과 관련된 음악적 이론과 연주 및 찬양대의 운용에 관한 연구로 예배학의 범주에서 살피는 방법
둘째, 찬송가의 발전과정과 전파에 관한 연구로 찬송가의 역사적 측면을 연구하는 방법
셋째, 신학 사상이나 문학, 문화사적인 측면을 다루는 연구 방법8 –
특히, 세 번째 방법은 최근에 주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이다. 흔히 운동가(運動歌)나 행진가(行進歌)는 역사적 사건 속에서 당대의 부조리한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대중들이 집단적 행동을 전개하며 외치는 필수적 선전도구이기도 하다. 그만큼 선언적이고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재건교회의 신앙은 철학적 논리로 말하자면 염세적이고, 신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면 미래 종말론적 신앙임을 알 수 있다. 신앙은 철학이 아니다. 철학을 능가하는 그 무엇이다. 철학이란 학문적 구명(究明)으로 인간의 본성을 다룰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학설로 영원한 미완성의 자문에 대한 성찰일 뿐이다. 하지만 신앙은 신에게로 가까이 가고자 하는 완전한 귀의며 믿음이다. 곧 목표가 그 믿음의 결과이다. 이를 노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