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5112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2-12-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홍 국 평 박사 | 연세대학교 구약학 교수 1
저자 서문 9
제1장 | 고백으로서 구약성서 12
제2장 | 구약성서의 집대성 시기 15
1. 기록 상황의 중요성 15
2. 기록과 집대성 17
3. 유다의 멸망과 포로기 19
4. 구약성서의 집대성과 고백 26
제3장 | 오경의 신앙고백 28
1. 시작에 관한 이야기인 오경 28
2. 태초에 하나님이 30
3. 맹세를 지키려 하심으로 43
4. 다만 너희를 사랑하심으로 71
제4장 | 예언서의 신앙고백 84
1. 두 종류의 예언서 84
2. 보배로운 백성이 되게 하시고 91
3.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132
제5장 | 성문서의 신앙고백 174
1. 성문서의 구성 174
2. 보리 추수를 시작할 때에 178
3. 사람이 무엇이기에 197
제6장 | 구약성서의 신앙고백 211
참고 문헌 214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이제 구약성서를 ‘신앙고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볼 것입니다. 구약성서의 모든 부분을 여호와를 믿는 사람들이 기록했다면, 어떤 형식으로든 여호와에 대한 통찰과 신앙고백이 담겨 있을 것이고, 그 고백은 다양한 시대 상황 속에서 다양한 장르로 기록된 구약성서를 아우를 수 있는 주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구약성서에 직간접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신앙고백을 함께 살펴볼 것입니다.
구약성서는 다양한 장르의 책, 또 다양한 시대에 기록된 전통을 포괄하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39권의 책을 읽으며 하나의 일관된 주제를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구약성서가 집대성될 때 기록물과 전통을 모아 책으로 엮은 고대의 저자들은 자신들이 처한, 결코 밝거나 아름답지 않은 시간 동안 구약성서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세상 어디를 가든 종교적 세계관을 가진 나라와 민족들 속에서 패망한 국가 출신의 연약한 자였지만, 자신들이 가진 여호와에 대한 신앙을 지키고, 신앙에 따른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가나안에서 이집트로, 이집트에서 가나안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스라엘의 지형 이동성은 단지 오경을 기록한 저자가 가진 과거에 대한 회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가나안-이집트-가나안’이라는 지형 이동은 저자 및 동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현재’를 나타냅니다. 그들은 과거의 핵심적인 기억을 회상하되, 자신들의 현재와 연결시키기 위해서 이 이야기를 기록했습니다. 단지 기억을 기록하되, 현재와는 전혀 상관없는 내용으로 채운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오경의 현재 형태가 포로기 혹은 페르시아 시대로부터 집대성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가나안-이집트-가나안’이라는 오경의 지형 이동성은 다분히 ‘가나안-바빌론-가나안’이라는 지형 이동성을 상기시킵니다. 오경에 기록된 이집트와 포로지였던 바빌론과 그곳에서 삶을 가리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