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523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1-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선일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1
추천사 2 김종일 목사│동네작은교회 담임, 교회개척학교 ‘숲’ 대표코치 2
추천사 3 지성근 목사│일상생활사역연구소 소장, 미션얼닷케이알 대표 3
저자 서문 9
역자 서문 14
제1장
개인적 관점에서 본 문화 변화 17
제2장
합리적 구조와 인간의 가치 44
제3장
교회와 철장 68
제4장
우리가 접근하려는 대상은 누구인가? 100
제5장
신앙에 대한 경축 142
제6장
예언자적 은사 182
제7장
이야기하기 212
제8장
미래 교회를 꿈꾸며 245
책속에서
‘교회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있는가?’가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그리스도와 비슷해졌는가?’가 실체를 더 확실하게 일러 주는 질문일 것이다. 즉, 예수님 자신이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단지 11명의 핵심 제자들만 남겨 놓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많은 프로그램을 성공과 동일시한다면(우리가 가진 프로그램과 숫자, 수많은 상이한 그룹에 적용할 프로그램을 갖추었는가 등등을 기준으로 성공 여부를 가늠한다면), 영성을 분주함과 혼동하게 되고 인간의 ‘진짜’ 문제들을 다루는 대신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만들어 우리 자신의 무능을 감추는 위험이 상존(常存)하게 될 것이다.
맥도날드화의 논지를 교회에 적용하려는 내 의도가 리처의 이론을 지지하는 자들과 반대하는 자들과 더불어 맥도날드화에 대해 그가 설명한 방식을 수정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이 내가 말하려는 요점이다. 맥도날드화 과정이 근대성(modernity) 아니면 탈근대성(post-modernity) 안에서 자리매김을 하는지에 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 그러나 이 모델이 교회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맥도날드화 현상이 단지 이해 가능한 문화적 기반 내에서 작동한다는 가정에 도전한다. 비록 기술의 부상과 기술 기반의 의사소통 도구들의 부상으로 인해 세계화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주장이 널리 수용된다고 할지라도, 누군가가 세계화에 대해 생각하기 오래전에 교회가 세계화를 고안했다는 사실이다.
탈근대주의자들(post-moderners)의 핵심적인 특징은 분류되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삶이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과 우리의 풍부하고도 다양한 경험들이 예측 가능한 일련의 합리적 범주들로 축소되는 것이(내가 말하려는 것은 다른 사람들뿐 아니라 하나님에 관해서도) 너무 제한적이고 너무 불확실하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것이 리처가 의미하는 ‘맥도날드화의 철장’의 일부분이며, 사람들이 이런 문제를 일상생활에서 직면하게 될 때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문제가 된다면, 그것은 교회와 연관된다. 그것은 이미 자신들을 탈근대주의자들이든 아니면 아직 도래하지 않은 세대들로 간주하는 사람들에게 당연히 접근하고 도전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