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경의 형성

오경의 형성

(문서가설 새롭게 하기)

조엘 S. 베이든 (지은이), 김지명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9,66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경의 형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경의 형성 (문서가설 새롭게 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34126140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3-11-06

책 소개

오경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인 문서가설과 문서가설을 통한 오경 읽기 방법을 제시한다. 문서가설에 따른 오경 읽기의 사례도 보여 주는데, 여기서 오경 본문 속에 들어 있는 불일치한 요소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해석되었는지, 그 불일치는 문서가설에 의하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정밀하고 흥미롭게 분석해 나간다.

목차

추천사 1 천 사무엘 박사︱한남대학교 구약학 교수 1
추천사 2 티모시 J. 샌도발︱Brite Divinity School 구약학 교수 3
감사의 말 11
역자 서문 13

들어가는 말 팔려 간 요셉, 창세기 37:18-36 16

제1장 문서가설 41
사례 연구 1 팔려 간 요셉, 창세기 37:18-36 81
제2장 연속성: J 자료 106
사례 연구 2 광야에서의 불평, 민수기 11장 179
제3장 통일성: E 자료 213
제4장 상보성: D 자료 268
사례 연구 3 광야에서의 반역, 민수기 16장 304
제5장 완결성: P 자료 337
사례 연구 4 바다에서의 이스라엘, 출애굽기 14장 385
제6장 편찬: 자료의 합성 426
사례 연구 5 야곱의 벧엘 귀환, 창세기 35장 453

나가는 말 문서가설 새롭게 하기 485

부록 490

저자소개

조엘 S. 베이든 (지은이)    정보 더보기
Yale University (B.A.) University of Chicago (M.A.) Harvard University (Ph.D.) Yale Divinity School 구약학 교수 저서 The Oxford Handbook of the Pentateuch (with Jerey Stacker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The Book of Exodus: A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Sibyls, Scriptures, and Scrolls (Brill, 2017) The Promise to the Patriarch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펼치기
김지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Emory University (.M.) Brite Divinity School (Ph.D.) Brite Divinity School 성경 히브리어 강사 Central Baptist eological Seminary 외래교수 현, 장로회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등촌동) 외래교수 저서 Reanimating Qohelet’s Contradictory Voices: Studies of Open-Ended Discourse on Wisdom in Ecclesiastes (Biblical Interpretation Series 166, Leiden: Brill, 2018)
펼치기

책속에서

성경 해석사의 가장 이른 시기부터 지금까지 해석자들은 이 명백한 모순과 부조화들을 받아들여야만 했다. 비평적 해석 이전의 해석자들은 본문의 단일성을 절대 의문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야기상의 문제들을 제거하거나 둘러대려고 노력했다.


18세기 유럽의 계몽주의는 비평적 성서학의 태동을 보았고, 19세기는 특별히 자료비평의 발전을 목도했다. 이로써 미드라쉬적 접근법들은 합성 저작 이론 선호와 함께 전반적으로 거부되었다. 이런 움직임은 지금까지 이어져 왔으며 이것이 바로 이 책의 주제이고, 이후 남은 지면을 통하여 자세히 알아볼 부분이다. 그러나 이 비평의 시대에도 다양한 관점에서 글을 쓰는 많은 학자가 비평적 방법론 이전과 동일한 주장을 차용하여 계속해서 본문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오경의 이야기가 서사의 흐름이라는 하나의 원리를 통해 각자를 구성하는 갈래로 나뉠 때, 즉 독자가 각 부분과 전체의 역사 진술들을 따라가다 보면, 개별 문서들의 다른 특징들이(명확도에 있어서 차이는 있지만) 점차 떠오른다. 그중 첫 부류를 우리는 ‘주제적인 것’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요소들은 한 자료의 전체 서사에 형태와 주안점을 부여한다.
P의 경우 이 ‘주제’ 요소들이 가장 부각되어 있다. 우선 우리는 이 자료의 두드러진 구조적 측면을 볼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