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696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6
서론 9
1. 아담, 하나님의 형상 16
1.1. 여자의 몸에서 낳은 하나님의 아들 16
1.2. 하나님의 창조 세계 19
1.2.1. 하나님-사람-만물 21
1.2.2. 아담-하나님의 형상 23
1.2.3. 심히 기뻐하신 하나님 30
2. 아담의 범죄와 죄의 삯 (창 3:1-24) 32
2.1 선악과를 따먹지 말라고 명하신 하나님 32
2.2. 선악과를 따먹은 아담 34
2.3. 아담과 하와, 그리고 뱀을 심판하시는 하나님 35
2.4. 아담에게 가죽옷을 지어 입히신 여호와 40
3. 하나님의 홍수 심판과 언약 43
3.1. 폭력적인 세상 43
3.2. 육체가 된 사람들 47
3.3. 홍수로 땅을 쓸어버리는 하나님 53
3.4. 노아와 언약을 맺으시는 하나님 55
4. 하나님의 구원 계획 60
4.1. 새 아담의 모형 70
4.2. 새 언약 새 아담 81
4.2.1 새 아담을 설계하시는 하나님 85
4.2.2. 노아와 홍수 심판 86
4.2.3. 샘의 장막, 여호와의 거처 91
4.2.4. 아브라함 93
4.2.5. 모세 102
4.2.6. 다윗의 후손: 임마누엘 106
4.2.7. 임마누엘: 새 아담 112
4.2.7.1. 제단 115
4.2.7.2. 제물 116
4.2.7.3. 제사장 118
4.3. 새 아담의 죽음과 부활 118
4.4. 새 아담의 나라 130
4.4.1. 새 하늘과 새 땅 131
4.4.2. 새 아담의 나라 새 사람들 137
5. 새 아담, 임마누엘 140
5.1.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아들 140
5.2. 예수님의 순종 146
5.3. 예수님의 죽음 152
5.4. 예수님의 부활 162
5.4.1. 예수님의 부활에 대한 증언들 163
5.4.2. 베드로의 증언 165
5.4.3. 바울의 증언 165
5.4.4. 공회의 증언 169
5.5. 부활하신 그리스도 172
5.5.1. 왕이 되신 새 아담 173
5.5.2. 대제사장이 되신 새 아담 178
5.5.3. 대선지자가 되신 새 아담 183
6. 새 아담의 새 백성들 194
6.1. 새로운 왕이 되신 새 아담 196
6.2. 새 백성을 모으는 왕, 새 아담 199
6.2.1. 선지자의 사명을 받은 제자들 200
6.2.2. 성령의 세례를 받은 제자들 203
6.3. 성령의 선물을 받은 3000여명의 사람들 205
6.4. 하나님 나라의 백성을 모으는 제자들 209
6.4.1. 베드로의 복음 사역 210
6.4.2. 바울의 복음 사역 214
7. 새 창조: 새 하늘과 새 땅, 새 사람 219
7.1 육의 몸과 영의 몸 222
7.2. 하늘 아버지의 집 226
7.3. 성전(聖戰)을 통한 성전(聖殿) 230
7.4.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어라 235
7.5. 만인 선지자가 되어라 239
7.6. “내가 네 안에, 네가 내안에, 모두가 우리 안에” 249
7.7. 새 하늘, 새 땅, 새 예루살렘 252
7.8. 보아라, 내가 속히 오겠다. 259
결론 265
참고문헌 269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와 같은 창세기기 1-2장의 구조를 요약한다면 1:1은 태초에 하나님이 계셨고, 그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는 것을 대 전제로 선포한다. 이어서 창세기 저자는 “땅은 ... ”이라는 말로 독자의 관심을 땅으로 돌리고, 1:2부터 2:4까지 땅의 창조에 대한 설명을 하고 이어서 2:5부터는 사람의 창조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간다. 우리는 이것을 1:1이 2:4에서 반복하고 있는 것을 통하여 땅에 대한 이야기는 일종의 삽입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 미루어 보건데 본문 1-2장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상 만방의 사람들이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든다는 것이다. 전쟁하던 기를 녹여서 농기구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다시는 전쟁이 없는 세상이오며 평화로운 세상이 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말일에 하나님께서 이루시고자 하는 새 하늘과 새 땅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전쟁이 없는 평화의 세상이라는 것이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아담이 하나님께 불순종하여 모든 사람이 아담 안에서 저주를 받아 죄인이고, 그 죄 값으로 모든 사람이 아담과 함께 죽어야 한다는 언약적 연대성의 원리가 아브라함의 종으로 아브라함과 함께 아브라함 안에서 모든 사람이 복을 받게 하시겠다는 하나님의 구원의 원리와 로 반의적 병행을 이루고 있어서 모든 족속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구원의 원리도 아브라함과의 언약적 연대성 안에서 이루어 질 일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새 아담과 아브라함의 씨는 분명 모형과 실형 이상의 관계, 곧 “새 아담”은 결국 아브라함의 씨로부터 주어질 것을 예고하는 말씀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