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7086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4-07-0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11
역자 서문 14
개요 메도디스트와 교리 17
제1장 기독교의 권위 45
제2장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53
제3장 인간 본성과 구원 63
제4장 웨슬리의 독특한 교리, “구원의 길” 70
제5장 교회, 사역, 성례전 84
제6장 심판, 영생, 하나님의 통치 104
제7장 메도디스트 교리와 정신 109
부록 사도신경, 〈종교강령〉, 〈총칙〉의 전체 텍스트 128
참고 문헌 143
용어집 146
책속에서
메도디스트 교리는 메도디스트인들이 가르치기로 합의한 것을 의미한다. 즉, 교리적 관점에서 메도디스트인들에게 더 중요한 것은 개별 신학자들의 의견이 아니라 그들이 합의하여 가르치고 실천한 내용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메도디스트인들은 그들의 가르침 안에 항상 ‘신학적’ 문제(예: 하나님, 구원, 교회)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 합의된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가 교리를 가르칠 때, 그리고 교리를 익힐 때 우리는 오늘날 우리가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삶을 교회의 집단적 지혜를 통해 탐험하고 있는 것이지 단지 그것이 기록한 말이나 구전에 침전(沈澱)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메도디스트 교리 교육의 목적은 메도디스트의 정신사적 부흥이나 진보에 있지 않다. 우리의 빛나는 유산은 언제나 그보다 더 큰 목적, 즉 하나님의 통치와 그 나라의 도래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우리는 메도디스트 교단 그 자체의 존속을 위해서가 아닌 우리의 역사적 사명이 하나님의 은혜로 성취되는 그 위대한 날을 위해, 즉 웨슬리의 유산이 마침내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되고,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의 영광 속으로 녹아 드는 날을 위해 열렬히 기도해야 한다.
하지만 기독교 권위에 대한 메도디스트인들의 이해는 근본주의자들의 이해와 일치하지 않는다. 메도디스트인들은 성경이 구원에 이르는 길을 가르치는 데 실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것이 곧 성경의 ‘무오성’(inerrancy) 또는 ‘무류성’(infallibility)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들은 또한, 성경의 일차적 권위가 교회의 전통, 인간의 경험, 이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근본적으로 배제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