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839001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2-29
책 소개
목차
약 어 6
서 론 14
1장 사변형과 중도주의 26
영국의 군주제와 중도주의 29
영국 국교회 신학자들과 중도주의 신학 39
영국 국교회와 청교도의 성경에 관한 논쟁 46
구원과 성경의 중심적 권위 48
이성의 자유와 오늘의 교회 61
2장 규범으로서의 성경 64
성경과 중도주의 68
성경의 유일한 권위 72
성경의 권위에 대한 이론적 근거 84
성경의 완전성 90
웨슬리의 성경 해석 규칙 96
오늘날의 성경 해석 99
3장 해석으로서의 전통 108
웨슬리 시대의 전통 110
웨슬리가 이해한 전통의 내용과 권위 118
초기 기독교의 권위 120
초기 영국 국교회의 권위 124
웨슬리의 기독교 전통 사용 126
현재의 것에 대한 옹호 127
변화에 대한 옹호 128
메소디스트 전통에 대한 재평가 132
4장 도구로서의 이성 134
도구로서의 이성 136
웨슬리와 이성의 중요성 139
이성의 정의 149
이성의 범위와 한계 167
탈이성주의 세계에서의 이성 179
5장 확증으로서의 경험 192
경험의 다양한 개념 194
사건이나 행동이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195
주관적 경험의 공유에 의한 공감적 이해 196
반복을 통해 얻은 실무 능력 197
평생의 학습을 통해 얻은 실천적 · 도덕적 지혜 198
진리를 깨닫는 계기로서의 시험이나 시련 199
지식의 원천으로서의 사실이나 사건의 관찰 201
경험의 해석적 성격 203
그리스도인의 삶에서의 경험의 다양한 역할 210
그리스도를 본받는 삶을 살아갈 능력을 부여함 210
영적 순례를 위한 훌륭한 지침을 제공함 215
기독교의 핵심 교리에 대한 공적 증언을 제공함 217
교리적 판단의 지침을 제공함 219
신학적 성찰의 자극제이자 목표 228
대화 상대로서의 경험 229
결 론 232
참고문헌 254
저자소개
책속에서
"웨슬리의 사변형"이라는 말은 "현대 감리교인의 신화'와도 같은 것이 되었지만, 많은 사람에게 그 의미는 여전히 매우 모호하다. (1) 사변형(성경, 전통, 경험, 이성)은 '교리적 지침'(신학 방법)임에도 사람들은 자주 '교리적 표준'(교리의 내용)으로 오해한다. 이처럼 어떤 교리를 믿고 있는지가 아닌, 어떤 방식으로 신학을 하는지에서 정체성을 찾으려는 경향이 "교리에 대한 무관심과 바른 지식의 결핍 상태"를 초래했다. (2) 사변형이 성경, 전통, 경험, 이성 사이의 평등한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한다. 현대 사회에서 그러한 오해의 필연적 결과는 이성과 경험이 성경과 전통보다 우위에 있게 된 것이다. (3) 웨슬리와 사변형의 연관성에 관한 모호성이다. 사변형에 대한 일관된 강조가 정말 웨슬리에게서 나타나는가? 또 그것이 웨슬리만의 독특한 주장인가에 대한 많은 의문이 있다. 이러한 모호성으로 인해 웨슬리가 사변형에 대해 믿고 가르친 내용을 역사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정확히 설명하는 논문집을 만들 것을 고려하게 되었다.
_“서론” 중에서
교회가 성경을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 전통, 이성, 경험을 활용하는 다자간 대화식 신학 방법은 웨슬리가 만든 것이 아니라 유서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영국 국교회 신학자 리처드 후커의 설명이 그 핵심을 잘 나타낸다. "어떤 문제에서든 가장 먼저 성경이 명백히 전하는 것에 대한 신뢰와 순종이 있어야 한다. 그다음으로는 무엇에서든 이성에 따라 결론을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다음 뒤따르는 것이 교회의 가르침이다. 교회가 옳고 선하다고 생각하고 정의한 것은 이성과도 조화를 이루어 다른 모든 열등한 판단을 압도해야 한다." 이처럼 웨슬리가 전수받은 영국 국교회의 신학적 유산은 다음을 확언했다. 곧 성경은 근본적이며 수위성을 지닌다. 전통, 특히 가장 이른 수 세기의 기독교는 교리적으로 신뢰할 만하다. 성경이 금지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교회의 법과 실천을 만드는 데 전통과 이성을 활용할 수 있다. 설교와 예전은 회중이 '경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하고 실천해야 한다. 이처럼 사변형의 네 가지 요소를 중시한 것은 웨슬리 개인의 독특한 특징이라기보다 그가 영국 국교회적 배경에서 교육받은 사람이기에 갖게 된 특징이었다
_1장, “사변형과 중도주의” 중에서
웨슬리의 사변형은 네 가지 각기 다른 권위의 단일 원천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경인데, 올바르게 사용된 이성은 성경의 권위를 증언한다. 모든 기독교 전통이 권위를 지니는 것은 아니며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에 충실했을 경우 그 부분만 권위를 갖는다. 경험은 성경이 목표로 하는 것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신학적 논의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변형의 어떤 요소로 성경의 권위를 무효화하는 데 사용한다면, 그것은 철저히 비웨슬리적인 것이다. 성경은 내적으로 논리와 일관성을 지닌 하나의 문서다(성경의 완전성). 성경 전체의 내용이 각 구절에 대한 해석의 틀이 되게 해야 한다(신앙의 유비).
_2장, “규범으로서의 성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