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약과 교회론

언약과 교회론

(백성과 장소)

마이클 호튼 (지은이), 김진운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약과 교회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약과 교회론 (백성과 장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7567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4-11-08

책 소개

마이클 호튼(Michael Horton)은 총 4권으로 구성된 ‘언약신학’ 시리즈의 마지막 권인 이 책에서 언약신학의 렌즈를 통해 교회의 기원, 사명, 운명을 탐구한다.

목차

추천사 신 국 현 박사(서울부림교회 담임목사) 1
약어표 10
저자 서문 11
역자 서문 15

제1장 실재 부재와 임재: 교회론과 하나님의 경륜 28

제1부 기원: 은혜의 현장 91
제2장 말씀의 피조물: 성례의 말씀 92
제3장 해방되는 포로: 정경으로서의 말씀 159
제4장 표징과 인: 조약 비준 209
제5장 “이것은 나의 몸이다”: 개혁주의 성찬신학 256

제2부 정체성: 몸 이해하기 312
제6장 전체 그리스도: 하나와 다수 313
제7장 보편성과 거룩성 375
제8장 사도성: 역사적 제도와 종말론적 사건 431

제3부 목적지: 시온으로 가는 왕의 행렬 495
제9장 거룩한 땅, 거룩한 전쟁: 장소 준비하기 496
제10장 완성: 우리가 받는 왕국의 성찬 전례 549

저자소개

마이클 호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중요한 개혁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개혁 신학에 기반한 조직신학 작품들과 대중적 작품들로 사랑받고 있다. 바이올라대학교(B.A.), 웨스트민스터신학교(M.A.)에서 공부하고, 코벤트리대학교를 통해 위클리프홀에서 신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그레샴 메이천 신학과 석좌교수로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Modern Reformation의 편집장이다. United Reformed Churches in North America(URCNA)에 속한 목회자로서 교회를 섬기고 있다. 그로브시티대학으로부터 명예 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대표작으로는 언약신학적 관점으로 종말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을 각각 다룬 언약신학 시리즈 4부작이 있고, 세속화된 미국 기독교를 고찰한 비판서들과 기독교 신앙의 중요 조목들을 해설한 작품들이 있다.
펼치기
김진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A.) 성균관대학교 테솔 과정 수료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M.Div.)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M.) Macquaire University 통번역 석사 (Master i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현, 써니스 잉글리쉬 클래스 영어학원 대표 역서 『거룩한 전쟁』(존 번연, 2024, CLC) 『언약과 교회론』(마이클 호튼, 2024, CLC) 『언약과 기독론』(마이클 호튼, 2022, CLC) 『신지식론』(존 M. 프레임, 2020, CLC) 『개혁파 변증학』(존 M. 프레임, 2019, CLC) 『성경론』(존 M. 프레임, 2014, CLC)
펼치기

책속에서

또한, 승천은 단순히 역사적 실존에서 중단된 부분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종말론적 생명의 힘을 드러낸다.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으로, 이스라엘 안에서 심지어 이스라엘의 가능성 안에서도 내재적으로 생성될 수 없었던 새로운 힘이 역사적이고 자연적인 존재의 기반(基盤)에 도입된다. 왜냐하면, 이스라엘 역시 “아담 안에서” 나머지 세상과 함께 끝났기 때문이다.


모든 하늘의 은혜가 교회의 계층적 피라미드 아래로 흘러내렸는데, 그것은 더 이상 파괴적인 것이 아니라 고양하는 것이었고, 더 이상 외부에서 교회로 오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모공에서 스며 나오는 것이었다. 수도사의 삶은 교회가 천상을 향해 탑을 쌓을 때 헌신했던 정신의 승천을 개인적 차원에서 반영했다.


진리는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니체(Nietzshce)의 가정에 빚을 지고 있는 이 시대에 변화무쌍한 자아는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내 삶에 목적이 없다는 것은 그 기원의 우연성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라고 그는 썼다. “내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100
오늘날 시장은 이런 자기 변형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하지만, 이는 자율성과는 거리가 먼, 시장이 제공하는 선택의 노예가 될 뿐이다. 본질에서 낭만주의적 성격을 띤 영감의 관점에 따르면, 성경은 이런 변형을 촉진하는 한도 내에서 하나님의 말씀이다. 포이어바흐에서 프로이트에 이르는 현대 무신론은 종교가 본질에서 자아와 그 욕구의 투영이라고 주장했지만, 현대 교회의 많은 관행은 실제로 이런 관점을 파괴적 비판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암묵적으로 수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의 경건한 경험, 행위, 역사, 엄숙한 선언, 희망, 두려움 등 우리 자신에게서 벗어나 우리 밖에 계신 구세주(히 12:2)께 청각적 시선을 고정하는 것이 바로 성례전 말씀의 목적이다(혼합된 은유는 의도적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